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60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02596 

생명윤리와 문화에 대한 소고
= A Study on Bioethics and Cultural


 
제어번호 101802596
저자명 정화성 ( Hwa Seong Jeong ) 
학술지명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권호사항 Vol.9 No.2 [2015] 
발행처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발행처 URL http://build.cau.ac.kr/cmelcente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73-194(22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오늘날 의·생명과학기술은 급진적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특히 생명의료기술은 인간의 삶과 죽음 사이에 펼쳐지는 생명과 관련된 분야와 연계됨으로써 많은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렇게 야기된 윤리적 문제는 생명윤리의 탐구를 통해 이를 해결하려고 한다. 이와 같이 생명윤리란 ‘사람이 어떠한 삶을 살고 싶은지’, ‘어떠한 삶을 사회가 제공할 것인가’가 관련되어있기 때문에 문화적 측면의 고려는 당연한 일이다. 또한 생명윤리는 항상 사회나 문화의 차이를 의식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생명윤리란 용어가 언론을 통해 이슈화되면서 생명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그런 면에서 생식기술, 뇌사와 장기이식, 연명치료중단 등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생명윤리의 문제들은 모두 문화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생명윤리에 대한 문화적 측면을 고려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는 알 수 없으며, 단지 문화비교나 문화설명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문화는 다양하며 인간의 인식과 가치관은 문화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상대주의와 문화제국주의의 대립은 기본적으로 문화이해의 본질과 보편적 인간정신의 규명이 가능한가 하는 문제를 둘러싼 이론적 논의의 양상을 띠고 있다. 왜냐하면 각각의 문화는 고유의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 가치는 다른 문화의 자로 잴 수 없다는 사고가 문화상대주의이고, 이에 대하여 아시아·아프리카 등 제3세계 나라들에게 서양 제국이 말하는 보편적 인권의 사상에 대한 지배문화를 강요하는 것이 문화제국주의이기 때문이다. 또한 문화가 상대적인 것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윤리가 상대적인 것을 정당화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상대주의에서 윤리적 상대주의를 분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윤리적 상대주의가 문화상대주의를 배경으로 삼을지라도 윤리적 상대주의를 거부하면서 문화적 상대주의를 인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초문화적 생명윤리가 문화간의 이해를 촉진시킨다. 그러므로 초문화적 생명윤리는 적극적인 측면에서 다른 민족의 문화와 가치를 이해하고 자신들의 가치와 신념체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특정문화를 벗어나는 보편적인 핵심가치들을 확인하는 것들이 강조되어야만 한다. 그런 이유로 어떤 문화권에서 다른 문화권의 개념을 수용한다 하더라도 이를 내면화하여 그 문화권에서 순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주제어
생명윤리  , 문화상대주의  , 문화제국주의  , 윤리적 절대주의  , 윤리적 상대주의  , Bioethics  , Cultural Relativism  , Cultural Imperialism  , Ethical Absolutism  , Ethical Relativis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0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황상익 2017  273
139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진교훈 2017  249
138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8
137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의 연구윤리에 관한 연구 / 장선아 2007  626
136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박광현 2013  211
135 18 인체실험 한국에서 생명공학의 발전과 생명윤리 / 한지영 2015  948
134 18 인체실험 패널토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사결정에 나타난 의사결정 변화 양상과 내용 분석 / 문성채 2015  267
133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132 2 생명윤리 생명윤리학의 탄생: 의학과 생명과학, 철학에 말을 걸다 / 김상득 2014  509
131 2 생명윤리 샌델의 생명윤리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 박성민 2015  489
130 2 생명윤리 생명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연구 / 조윤미 2003  275
129 15 유전학 체육철학 : 유전자도핑과 생명윤리 -스포츠를 중심으로- / 이문성 2014  452
»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문화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5  379
127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45
126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 이한주 2016  348
125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6
124 18 인체실험 국내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현황과 문제점 / 이준석 외 2006  634
123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122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운영현황 실태분석 및 개선안 모색 / 김병수 2008  205
121 18 인체실험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체계 / 조홍석 2014  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