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7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충북대학교 대학원 : 축산학과 축산학전공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112313 

유전체 정보의 한우 육종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enomic Information to Hanwoo (Korean Cattle) Breeding Model



 
저자 이승수
형태사항 x,89p. : 삽화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내수.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충북대학교 대학원 : 축산학과 축산학전공 2013.2
KDC 527.4341 5
발행국 충청북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3
소장기관 충북대학교 도서관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of Hanwoo genetic evaluation as estimation of the accuracy of GEBV (Genomic Estimated Breeding Value) with GBLUP (Genomic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559 progeny-test bulls which were tested in Livestock Improvement Main Center from 45th, 46th, 48th and 49th progeny-test between 2009 and 2012. Pedigree data of interest were collected and 5 phenotype data (carcass weight, eye muscle area, back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were recorded. Genotypes were analyzed with Illumina bovineHD BeadChip (777K SNP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of 552 Progeny-Test bulls were estimated 352.99±37.83㎏ for CW (Carcass Weight), 82.35±8.30㎠ for EMA (Eye Muscle Area), 7.99±3.08㎝ for BF (Back Fat) and 3.05±1.47 points for MS (Marbling Score), respectively. The effect of batch-number and the age at slaughter (month) affect significantly on carcass traits.

 2. Through quality control, out of 777,962 SNPs except sex chromosome SNPs, 180,083 SNPs were eliminated because those were over 20% of missing proportion and below 0.05 of minor allele frequence. 4,846 SNPs which had major homozygotes only and didn't have heterozygote were eliminated. 69,078 SNPs which showed extremely biased Hardy-Weinberg equilibrium were eliminated. Finally 578,489 SNPs were chosen and used to estimate.

 3. Imputation were conducted to estimate genotype which were omitted. The number of total SNP markers on used 552 individuals were 319,325,928 and imputation on 898,304 SNP markers were conducted. Estimated gene contents on missing value were between 1 for heterozygote and 2 for homozygote of second allele.

 4. Using least-square method, out of 578,489 SNPs, the number of significant SNP markers were estimated as 50,632 for CW, 50,435 for EMA, 67,213 for BF and 46,592 for MS, respectively.
 5. To estimate the accuracy of GEBV calculated by RR-BLUP (Ridge Regression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10-fold cross validation method was used. Out of 552 animals which had genotypes and pedigree data, 90% (502 animals) were randomly selected as reference set to estimate the SNP marker effects and fixed effects in each traits. The rest 10% (50 animals) were used as validation to estimate the GEBV and this procedure repeated 10 times. The estimated relationship between to sets were quite high. The inbreeding coefficient based on genomic data was 0.4304 and the inbreeding coefficient based on pedigree data was 0.3926. The estimated accuracy of GEBV were 0.915 ~ 0.957 by each traits.

 6. To compare with GRM (Genomic Relationship Matrix) and NRM (Numerator Relationship Matrix) elements, All diagonal and off-diagonal 285,156 elements were investigated for distribution and regression. The estimated regression equation between NRM and GRM elements was Y = 0.8763X - 0.0227 (R2 : 0.7424).

 7. Estimated accuracies for 534 genotyped individuals using combined relationship matrix() which were consisted of GRM and NRM were increased at most 9.56%, 5.78%, 5.78% and 4.18% for CW, EMA, BF and MS, respectively. Estimated accuracies for un-genotyped individuals which were containing 3,674 co-ancestor using combined relationship matrix() were increased 13.54%, 6.50%, 6.50% and 4.31% for CW, EMA, BF and MS, respective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사
1. 육종가 추정 방법의 발전
2. 유전체 정보를 이용한 가축개량
3. 외국의 유전체 선발
4. 우리나라의 유전체 선발 연구

Ⅲ. 재료 및 방법
1. 공시 재료
2. 통계분석

Ⅳ. 결과 및 고찰
1. 표현형 자료 및 일반능력
2. 가계 및 유전체 자료를 이용한 혈통 분석
3. SNP 마커에 대한 정도 관리
4. 결측치에 대한 대치(Imputation)
5. SNP 마커의 효과 추정
6. 유전체 혈연 행렬
7. BLUP과 GBLUP으로 추정된 육종가의 정확도 비교
8. 고찰

Ⅴ. 적요

Ⅵ.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7 15 유전학 유전체 서열 조합을 위한 차세대 염기서열 자료의 k-mer 분석 / 김민선 2015  727
26 15 유전학 노로바이러스 전장유전체 분석 및 식중독 바이러스 동시 검출법 개발 / 이정수 2016  544
25 15 유전학 미생물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과 약제내성 기작 연구를 위한 유전정보의 활용 / 차선호 2010  541
24 15 유전학 유전체 맞춤의학 연구와 위험의 개념 이해 / 이일학, 김성혜, 유승협, 김소윤 2012  505
23 15 유전학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을 위한 통계적 방법에 관한 연구 / 윤병국 2016  437
» 15 유전학 유전체 정보의 한우 육종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이승수 2013  431
21 15 유전학 후생동물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데이터베이스(Mitome) 구축 및 유용성 검증 / 이용석 2009  406
20 15 유전학 국제 공공재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의료 / 김한나 외 2016  369
19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2015  332
18 15 유전학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 정창록 2015  324
17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6
16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전방욱 2015  277
15 15 유전학 웹 기반 유전체 데이터 분석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버-클라이언트 환경에서의 유전체 데이터 관리 시스템 개발 / 송명선 2012  250
14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법적 지위에 대한 인격적 측면에서의 고찰 -인격성의 본체로서 DNA의 성격을 중심으로- / 유지홍 2015  237
13 15 유전학 곤충유전체 연구의 생물정보학적 동향 / 박준형 외 2014  218
12 15 유전학 배아 유전자 치료 / 조은희 2017  192
11 15 유전학 유전체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자의 구현 및 성능분석 / 송명선 외 2012  180
10 15 유전학 한국인 유전체 시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 / 양은주 외 2002  165
9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에 관한 윤리 교육 연구 / 정은경 2004  142
8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역분화줄기세포의 유전체 수준 비교 / 백진아 외 2013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