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공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87012 

동성결혼 합법화 과정에서 나타난 미국 연방 대법원의 위헌심사기준 변화에 대한 논의
=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s Decisions Legalizing Same-Sex Marriage and the Implication of Judicial Restraint


 
제어번호 101887012
저자명 송현정(Song, Hyun-Jung)
학술지명 公法學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6] 
발행처 한국비교공법학회(KOREAN COMPARATIVE PUBLIC LAW ASSOCIATION) 
발행처URL http://www.kcpla.co.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63(33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미국 연방 대법원은 위헌심판의 대상이 된 법률이 헌법이 보호하는 기본적 권리를 침해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위헌심사기준을 결정하여 왔다. 하지만 관습적 가치에서 벗어난 새로운 과도기적 가치(대표적으로 동성애)에 대한 헌법적 보호를 요청하는 사건들이 연방 대법원에 도달하면서 기존 위헌심사기준의 틀은 어긋나기 시작하였다. 과거 연방대법원은 사법 적극주의를 펼치며 여론을 무시하고 낙태권을 헌법이 보호하는 기본적
 권리라고 판시하여 대중들로부터 지탄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낙태권을 제한하려는 주(州)차원의 지속적인 시도에 직면한 적이 있다. 이후 연방 대법원은 동일한 경험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하여 동성애과 동성결혼을 금지하는 법을 심판함에 있어 점진적으로 헌법적 보호를 유도하는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었다. 이러한 태도는 2013년부터 2015년 사이에 공개된 세 건의 동성결혼금지법 관련 판결에서 더욱 분명히 드러났고, 그 결
 과 전국적으로 동성결혼을 합법화한 연방 대법원의 판결은 여론의 지지를 받으며 미국내에 즉각적이고 전면적인 영향력을 미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최초로 동성결혼의 법적 허용을 위한 사건이 계류 중에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동성결혼의 합법화를 이루어 낸 미국 연방 대법원의 위헌심사기준에 대한 분석은 차후 우리나라에서 전개될 동성애 및 동성결혼의 헌법적 보호에 대한 사회적 수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 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여겨진다.

 

 
목차
Ⅰ. 서론
Ⅱ. 동성애 관련 판결에서 적용된 위헌심사기준의 변화
Ⅲ. 동성결혼 관련 판결에서 적용된 위헌심사기준에 대한 검토
Ⅳ. 결론


주제어
연방 대법원  ,위헌심사기준  ,동성애  ,동성결혼  ,실체적 적법절차  ,평등보호  ,United States Supreme Court  ,constitutional review  ,homosexuality  ,same-sex marriage  ,substantive due process  ,equal protec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28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 / 목광수 2018  129
1427 9 보건의료 정치경제학으로 한국의 건강과 보건의료 들여다보기 / 우석균 외 2017  129
1426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적 해석을 통한 자기결정권의 재고 : 존엄사를 중심으로 / 김태일 2012  129
1425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29
1424 5 과학 기술 사회 가습기 살균제 연구의 교훈과 의생명과학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 /김승훈 2018  129
1423 1 윤리학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2012  129
1422 18 인체실험 웨스턴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특성 / 신희영 2007  129
1421 9 보건의료 영리법인병원 허용문제에 대한 조사연구 / 성정민 2008  129
1420 4 보건의료 철학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대응 양상 : Q 방법론 적용 / 최진규 2019  128
1419 1 윤리학 취약한 존재를 위한 정의론 / 김은희 2018  128
1418 20 죽음과 죽어감 네팔의 자살과 자살 예방 정책에 관한 연구 /Bimala Sharma 2018  128
1417 13 인구 인구감소시대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응/심재승 2017  128
1416 5 과학 기술 사회 법패러다임 변화의 관점에서 인공지능과 법담론 : 법에서 탈근대성의 수용과 발전/정채연 2016  128
1415 18 인체실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박선경 2017  128
1414 5 과학 기술 사회 AI Net : 국내 인공지능 분야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네트워크 / 박남석, 이양옥, 전길남 1985  128
1413 18 인체실험 미국과 영국의 줄기세포은행 시스템 비교 / 윤보애 외 2013  128
1412 20 죽음과 죽어감 벨기에 법에서의 질병과 삶의 종말 / 이브앙리르뢰 2015  128
1411 9 보건의료 인체의 치료 및 진단 방법 특허 보호에 대한 연구 / 심미랑 외 2019  127
1410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에서 시행한 뇌사자 신장이식과 비교한 중국 원정 신장이식의 문제점 / 주만기 외 2006  127
1409 9 보건의료 노인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본 치매대응체계 진단과 과제/권중돈 2018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