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일감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08967 

한국 이주법제의 변천과 전망
= A Study on the Changing and Prospective of Migration Law in Korea


제어번호 101808967
저자명 최윤철 ( Yoon Cheol Choi )
학술지명 一鑑法學(Ilkam law review)
권호사항 Vol.33 No.- [2016] 
발행처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05-532(28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산업화와 세계화 현상은 한국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보다 나은 생활조건과 환경을 찾아 이동하는 현상은 전세계에 걸쳐서 일어나고 있다. 이주현상은 특정 국가에만 국한 되는것이 아니라 모든 국가에 해당되며, 모든 국가가 대응하는 초국가(超國家)적인 현상이다. 최근의 산업화와 개방을 경험한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저출산과 고령화는 한국 사회의 지속발전의 중요한 위협요인이 되었으며, 급속한 도시화는 국가의 균형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 요인이 되었다. 노동력 공급의 불균형은 제조업과 농어업 인력의 심각한 부족을 가져왔다. 1990년대 중반부터 급증한 외국인의 유입은 대체적으로 외국인 노동자, 재외동포, 결혼이민자, 유학생, 난민 등으로 유형화 할 수 있다. 2000년대에 제정된 외국인 법령도 이러한분류에 기초하고 있다. 이주 현상을 예상하지 못하거나 할 수 없었던 입법자에 의해 만들어졌던 ``국적법``, ``출입국관리법``도 대폭 개정되었다. 2000년 초반의 ``외국인 근로자 고용 등에 관한 법률``, 2000년대 후반에는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다문화가족 지원법``, ``재외동포의 법적지위에 관한 법``, ``결혼중개업법``등이 새로이 제정되거나 대폭 개정되었다. 2010년대에는 ``난민법``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한국의 이주관련 법제는 단기간에 마련되고 이에 기초한 정책과 추진체계도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졌다. 다른 국가들이 장기간에 걸쳐서 이주민에 대한 법령과 정책들을 준비하여 왔던 것에 비하면 매우 이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한국사회의 구조적인문제의 심각성과 이주현상에 대한 한국사회의 신속한 대응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다른한 편으로는 사회의 충분한 합의가 부족한 가운데 정부의 주도에 의해서 이루어짐으로서사회의 자율적 기제가 부족하여 법령이 실질적인 효력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생기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단기간에 급증한 외국인과 외국계 국민은 한국사회에 새로운 기회와 도전이다. 한국사회의 기존 구성원과 이주민과의 통합은 한국사회의 지속발전의 본질적인 요소이다. 이주민을 한국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보고 긴장과 갈등을 최소화 하면서 이들과 함께 한국사회 공동체의 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실질적인 법제의 정비와 정책 및 추진체계의 정비가필요한 시점이다. 이미 이주사회를 경험하고 긴장과 갈등을 겪었던 다른 국가의 사례와 이주 20년을 맞고 있는 한국의 그간의 경험과 사례, 원주민과 이주민의 의견 등이 충분히 반영된 가운데 현행 법제도와 정책들에 대한 분석과 개선이 있어야 한다. 외국인, 이주자는 나와동등한 가치를 가지는 존엄한 인간이라는 생각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 한국 사회가 저출산·고령화로 인하여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어서 이를 해결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외국인의 유입을 필요로 한다는 생각은 매우 위험하다. 이주자는 수단이 아니라 목적 그자체이다.


주제어
외국인  , 이주법제  , 다문화  , 사회통합  , 입법학  , Foreigner  , Legal System of Migration  , Multiculture  , Social Integration  , Science of Legislativ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1508 18 인체실험 한국에서 생명공학의 발전과 생명윤리 / 한지영 2015  947
1507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74
1506 18 인체실험 한국 줄기세포연구정책 거버넌스의 특성 / 김명심 2015  310
1505 18 인체실험 사람의 골수와 제대정맥에서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TREK1 통로의 기능적 발현 / 박경선 외 2015  225
1504 18 인체실험 전문가들의 미래기술 예측은 왜 빗나가는가? / 박보야나 외 2015  123
1503 18 인체실험 전단력 자극에 따른 줄기세포 분화 연구를 위한 순환 세포배양 시스템의 설계 및 제작 / 김형우 외 2015  184
1502 18 인체실험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Non-coding RNAs의 기능 / 백진아 외 2015  107
1501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로부터 퇴행성 황반변성 치료를 위한 망막색소상피의 생선 연구 동향 / 유대훈 외 2015  272
1500 18 인체실험 착상 전 유전진단으로 획득된 비정상 배아를 이용한 유전질환 인간 배아줄기세포 수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5  890
1499 18 인체실험 물리적 인장 자극에 의한 줄기세포의 분화에 동반되는 미토콘드리아의 특성 변화에 관한 고찰 / 신지원 외 2015  1172
1498 18 인체실험 임상 적용을 위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 환경에 관한 연구 동향 / 정주원 외 2015  138
1497 18 인체실험 패널토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사결정에 나타난 의사결정 변화 양상과 내용 분석 / 문성채 2015  267
1496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법적 지위에 대한 인격적 측면에서의 고찰 -인격성의 본체로서 DNA의 성격을 중심으로- / 유지홍 2015  237
1495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대책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삼식 2016  649
1494 13 인구 정부 저출산 대책 Bridge Plan 2020 / 정윤순 2016  291
1493 13 인구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 이문숙 2016  589
1492 13 인구 건강보험제도의 현황과 정책과제 / 강희정 2016  317
1491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시대 과학기술인력 수급전망 / 엄미정 2016  275
» 13 인구 한국 이주법제의 변천과 전망 / 최윤철 2016  157
1489 13 인구 인구감소에 따른 사회 지속발전 가능성 강화전략 / 박종서 2016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