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1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 신학과 조직신학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60086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기독교의 대응 : 베아줄기세포 연구의 위험성에 대하여
= The experiment of embryonic stem cell & the counteracting of the Reformed Church:about the experiment of embryonic stem cell


 
 
저자 윤재지 
형태사항 iii, 104 p.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상원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 신학과 조직신학 2015.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5
소장기관 총신대학교 도서관


 
초록
Abstract In this days, modern people want to gain eternal life in part through incurable disease treatment of every kind and human enhancement by means of embryonic stem cells and biotechnology. But we must prohibit it because it is wrong in pursuit of immoral and desires from the nature in original sin and which destroy human embryo., Hwang’s scandal that was broken out in 2004 year exposed a hidden disgrace and a fabrication experiment and false climate which has been pervaded in Korea society for a long time. All was responsible for the then government and biotechnology confederate that did not receive advice and warning which Korea Christian bioethics association asked for. It was even misgovernment of populism policy in such background. also Korean women and nation were lacking in bioethics about embryonic stem cells. I prepared my thesis to be a help to prevent from occurring the same fault and to grasp such a radical problem. In my thesis I tried to demonstrate that mutual agreement of people is very important in the experiment of embryonic stem cells and work. But If it violates against the bible, I tried to say even such a mutual agreement of people can be rejected. In this thesis I analyzed out trends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Korea about embryonic stem cells and searched some response of the religious world(the Reformed church and Catholic church) after Hwang’s scandal The point of argument on my thesis is to enumerate cause for the occurrence of embryonic stem cell experiment and the problem, and to disclose a possibility of danger to inflict to modern and future humanity with embryonic stem cell experiment. I will argue that killing embryo to experiment is massacre to be under ban in the Bible and Christian church must find how to cope with. I would say that the influx of an immoral way to produce fetus by artificial making with embryonic stem cells and about returning possibility of the eugenics which committed horrible evildoing, if we do not prevent the experiment of killing embryonic stem cells By such a significance, I endeavor to access to conclusion in view of the Reformed theology and the Bible. Though to search all data of thesis and biology and genetics data to be difficult to understand were hard to me, Professor Lee Sang Won’s direction who had guided whole course about bioethics was to become much help. Though the chapter of conclusion on my thesis is short, but I attempted to lead conclusion which says in the Bible and the Reformed Theology, unfolding whole summary about the experiment of embryonic stem cells. I began to start my thesis like a grain of sand with belief. After this, I hope to be help and reference to somebody who will study with the same subject or theme. Such a result will save innumerable nameless embryos who are our lovely fellow creatures which can be God’s sons and daughters. I thank to Professor Heun Chang Hak who is a professor of old testament at HapDong Theological Seminary. Also thank to my senior minister Yang Shng Hwan. Thank to my elder sister Yun Heun Sook and all my family and friends. I want to express my heartfelt thanks to Jesus Christ, my the Redeemer. Though My thesis is very scant, but I want my spiritual mind contained in this thesis is dedicated to my Lord. Yun Jae Ji.

 
목차
I.서 론:배아줄기세포와 황우석 사태에 대한 분석 1
1.한국 여성들의 무책임한 난자 기증 가치관 2
2.정치적인 포퓰리즘과 선동된 배아줄기세포 Hub Dream 5
II.본 론:배아줄기세포연구와 기독교의 대응 11
1.배아줄기세포연구란 무엇인가? 11
가.배아줄기세포의 발견과 개요 11
나.배아의 기본개념 13
다.줄기세포의 갈래와 배아줄기세포 연구방식 14
2.세계와 국내의 배아줄기세포 동향 19
가.배아줄기세포 연구과정과 정치,사회적 동향 19
나.세계의 배아줄기세포연구 동향 23
다.국 내 배아줄기세포연구 동향 27
3.배아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종교계의 반응 31
가.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기독교의 반응 31
나.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가톨릭의 반응 35
4.배아줄기세포 추출의 윤리적인 문제점들 40
가.연구과정 절차상의 문제점과 관련 법률 40
나.배아줄기세포 추출의 문제점 47
다.배아줄기세포와 '키메라'의 위험성 52
5.신학적인 입장에서 바라본 배아줄기의 문제점 55
가.배아의 생명관에 관한 논쟁들 55
나.개혁주의 신학의 배아의 생명관에 관한 성경적 정립 69
6.배아줄기세포연구로 파생될 수 있는 위험성 74
가.인간강화의 욕망과 근본적인 가족제도의 변형과 붕괴 74
나.우생학의 위험성과 미래사회의 경고 79
III.결 론 91
1.논문의 전반적인 요약 91
2.논문과 관련된 최근 동향과 향후 제언 94 

영문요약(Abstract) 97
IV.참 고 문 헌 99


주제어
배아줄기세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71 14 재생산 기술 윤리적ㆍ불교적 입장에서 살펴 본 잉여냉동배아의 이용 / 곽만연 2005  896
70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진교훈 2009  3859
69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특성 분석/신정아 2012  1211
6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에 관한 공법적 연구/임단비 2017  168
67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2017  491
66 15 유전학 (Nature) 줄기세포 노화에 따른 Hoxa9 유전자 의존성 2016  275
65 18 인체실험 참여정부의 발전국가적 BT 육성 정책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연구팀 지원 정책의 실패를 중심으로 / 황소영 2006  161
64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의 연구윤리에 관한 연구 / 장선아 2007  626
63 18 인체실험 국내 줄기세포 정책연결망 분석 : 1997~2005 / 손향구 2009  145
»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기독교의 대응 : 베아줄기세포 연구의 위험성에 대하여 / 윤재지 2015  501
61 18 인체실험 인간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신경세포구를 이용한 망막전구세포의 분화 및 생존에 관한 연구 / 윤철민 2016  244
6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유래 세포치료제의 개발 전략 및 임상화 과정 / 조명수 외 2012  395
59 18 인체실험 세계 각국의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분석 및 이용 연구 현황 / 정주원 외 2012  149
58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결에 이용되는 동결방지제에 대한 연구 / 정주원 외 2013  150
57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치료 기술분야 특허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최호성 외 2013  145
56 18 인체실험 난소줄기세포에 관한 연구 동향 / 김윤영 외 2013  119
55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역분화줄기세포의 유전체 수준 비교 / 백진아 외 2013  139
54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의 신경세포분화 연구 동향 / 홍성회 외 2013  247
53 18 인체실험 생명공학기술의 특허법적 보호와 전망 / 박종용 2013  290
52 18 인체실험 미분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정을 위한 특성분석 방법 / 태지윤 외 2013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