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중앙대학교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666543 

담론 분석을 통한 국내 일간지의 '황우석 사태' 보도에 관한 연구 : 조선일보와 한겨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ws about the 'candal of Dr. Hwang' in Discourse Analysis



 
저자 이경미 
형태사항 iv, 100 p. ; 26 cm
일반주기 참고문헌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신문방송전공 2006.8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06
소장기관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초록
본 논문에서는 국내 일간지 중 조선일보와 한겨레를 통해 보도된 ‘황우석 사태’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구성된 뉴스 담론이 어떻게 변화해가는지, 그리고 왜 이런 식의 보도가 이루어졌는지를 사회적인 맥락 속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언론의 과학기술 보도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그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두 신문의 보도 특성은 사태를 보도하는 논조를 제외하고는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한겨레가 사태 내내 중립적인 입장에서 보도해 나간 반면 조선일보의 경우 사태 초반 황우석에 대해 긍정적인 논조로 보도하다가 ‘논문조작’ 의혹이 제기된 후 급격히 황우석 비판 쪽으로 방향을 선회하였다. 이러한 두 신문의 차이는 1면 기사를 통해 더욱 확연히 드러났다. 한겨레가 비교적 가치 배제적인 기사를 보도한 것에 비해 조선일보는 자극적이고 편향적인 표현을 통해 현실을 특정한 방향으로 구성해가고자 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조선일보의 이러한 성격은 보도기사 뿐만 아니라 사설ㆍ칼럼 등의 의견 기사를 통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다양한 장르를 활용하여 ‘황우석 사태’와 관련된 이슈를 다양한 방식으로 재확인하였다. 이처럼 ‘황우석 사태’와 관련해 적극적으로 담론을 구성해 나간 것은 조선일보였다. 조선일보는 선진화를 위한 경제담론과 ‘황우석 사태’로 구성한 담론을 보도를 통해 자연스럽게 결합함으로써, 성과만 있으면 그 과정상의 조작과 진실의 왜곡은 문제되지 않는다는 담론을 구성해 나갔다. 이러한 조선일보의 보도는 선진화를 외치는 그들의 보도가 결코 선진적이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과학기술 보도가 어떤 식으로 방향을 전개해야 하는지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과학 전문기자의 육성과 더불어 전문가인 과학자나 기술자들이 직접 참여하는 연재나 기고 등의 보도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진이나 그래픽 등의 사용은 독자의 이해를 돕는 동시에 기사의 신뢰도와 질적 수준 또한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앞으로의 과학기술 보도는 과학의 가치를 실질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전개되어야 하며, ‘황우석 사태’와 같이 사회적 논란의 핵심이 될 수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사회적 의제를 정확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런 의제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과학적 사실들을 제공하도록 노력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제2절 선행연구의 고찰 4
제3절 연구문제 8
제4절 논문의 구성 10
제12장 이론적 배경 12
제1절 뉴스의 사회적 현실 구성에 관한 논의 12
제2절 뉴스보도와 담론 15
1.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뉴스담론 15
2. 뉴스담론의 이데올로기성 17
3. 뉴스의 비판적 담론 분석 18
제3절 언론의 과학기술보도 20
1. 과학기술과 언론보도 20
2. 과학기술보도의 중요성 22
3. 국내 과학기술보도의 발달과정 24
4. 국내 과학기술보도의 경향과 문제점 27
제3장. 분석대상 및 방법 29
제1절. 분석대상 29
제2절. 분석방법 30
제4장 연구결과 37
제1절 ‘황우석 사태’ 보도의 특성 37
1. 형식상의 특성 38
2. 내용상의 특성 44
제2절 ‘황우석 사태’ 보도의 의미구조 52
1. 헤드라인 52
2. 1면 기사 56
제3절 장르의 활용을 통한 사건의 재확인 76
제4절 선진화 담론과 ‘황우석 사태’ 보도 83
제5장 결론 87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87
제2절 과학기술보도의 방향성 제언 90
제3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92
참고문헌 93
국문초록 98
영문초록 10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68 9 보건의료 주요국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예방의료서비스 현황 조사 / 김계현 2017  139
1567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조윤경 2017  139
1566 15 유전학 한국인에서 약년 성인형 파킨슨병 환자들의 임상 양상 및 유전자 분석 / 정은주 2007  139
1565 1 윤리학 정부기관의 정보열람 요구와 ISP의 협조의무 / 박훤일 2016  139
1564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을 통해 본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방안 / 권혁빈 2014  139
1563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 케어산업 성장과 글로벌 보건 및 인력개발 / 최병목 2015  139
1562 5 과학 기술 사회 세상속으로: 해외동향 : 미국: IBM 왓슨(Watson)을 통해 살펴본 인공 지능 기술과 빅 데이터의 접목과 활용 가능성 / 윤창근 2012  139
1561 9 보건의료 병원경영진단 사례연구-문제점과 개선안을 중심으로 / 정기선 1995  139
1560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 생명공학 정책의제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 김훈기 2002  139
1559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역분화줄기세포의 유전체 수준 비교 / 백진아 외 2013  139
1558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규제개혁을 위한 핵심 덩어리 규제의 식별 / 김성준 외 2016  139
1557 15 유전학 산전 세포유전진단 시행에 있어서 유전상담의 효과 / 송찬호 외 1992  139
155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절차 및 재원조달을 중심으로 / 김효영 2008  139
1555 9 보건의료 국내 보건의료 빅데이터 법제의 구축에 관한 고찰 / 이서형 2018  138
1554 12 낙태 낙태에 관한 인터넷 포럼에서의 플레이밍 현상 / 이성범 2018  138
1553 9 보건의료 건강한 사람 대상 임상시험의 윤리적 위험성 최소화 방안 연구 / 방성윤 2018  138
1552 19 장기 조직 이식 대학생의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실천의지에 관한 조사연구 / 이선옥 2017  138
1551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도덕적 민감성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순희 외 2017  138
1550 22 동물복지 체세포 복제견의 임신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강배 2016  138
1549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박형욱 2017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