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중앙대학교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666543 

담론 분석을 통한 국내 일간지의 '황우석 사태' 보도에 관한 연구 : 조선일보와 한겨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ws about the 'candal of Dr. Hwang' in Discourse Analysis



 
저자 이경미 
형태사항 iv, 100 p. ; 26 cm
일반주기 참고문헌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신문방송전공 2006.8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06
소장기관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초록
본 논문에서는 국내 일간지 중 조선일보와 한겨레를 통해 보도된 ‘황우석 사태’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구성된 뉴스 담론이 어떻게 변화해가는지, 그리고 왜 이런 식의 보도가 이루어졌는지를 사회적인 맥락 속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언론의 과학기술 보도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그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두 신문의 보도 특성은 사태를 보도하는 논조를 제외하고는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한겨레가 사태 내내 중립적인 입장에서 보도해 나간 반면 조선일보의 경우 사태 초반 황우석에 대해 긍정적인 논조로 보도하다가 ‘논문조작’ 의혹이 제기된 후 급격히 황우석 비판 쪽으로 방향을 선회하였다. 이러한 두 신문의 차이는 1면 기사를 통해 더욱 확연히 드러났다. 한겨레가 비교적 가치 배제적인 기사를 보도한 것에 비해 조선일보는 자극적이고 편향적인 표현을 통해 현실을 특정한 방향으로 구성해가고자 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조선일보의 이러한 성격은 보도기사 뿐만 아니라 사설ㆍ칼럼 등의 의견 기사를 통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다양한 장르를 활용하여 ‘황우석 사태’와 관련된 이슈를 다양한 방식으로 재확인하였다. 이처럼 ‘황우석 사태’와 관련해 적극적으로 담론을 구성해 나간 것은 조선일보였다. 조선일보는 선진화를 위한 경제담론과 ‘황우석 사태’로 구성한 담론을 보도를 통해 자연스럽게 결합함으로써, 성과만 있으면 그 과정상의 조작과 진실의 왜곡은 문제되지 않는다는 담론을 구성해 나갔다. 이러한 조선일보의 보도는 선진화를 외치는 그들의 보도가 결코 선진적이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과학기술 보도가 어떤 식으로 방향을 전개해야 하는지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과학 전문기자의 육성과 더불어 전문가인 과학자나 기술자들이 직접 참여하는 연재나 기고 등의 보도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진이나 그래픽 등의 사용은 독자의 이해를 돕는 동시에 기사의 신뢰도와 질적 수준 또한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앞으로의 과학기술 보도는 과학의 가치를 실질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전개되어야 하며, ‘황우석 사태’와 같이 사회적 논란의 핵심이 될 수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사회적 의제를 정확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런 의제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과학적 사실들을 제공하도록 노력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제2절 선행연구의 고찰 4
제3절 연구문제 8
제4절 논문의 구성 10
제12장 이론적 배경 12
제1절 뉴스의 사회적 현실 구성에 관한 논의 12
제2절 뉴스보도와 담론 15
1.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뉴스담론 15
2. 뉴스담론의 이데올로기성 17
3. 뉴스의 비판적 담론 분석 18
제3절 언론의 과학기술보도 20
1. 과학기술과 언론보도 20
2. 과학기술보도의 중요성 22
3. 국내 과학기술보도의 발달과정 24
4. 국내 과학기술보도의 경향과 문제점 27
제3장. 분석대상 및 방법 29
제1절. 분석대상 29
제2절. 분석방법 30
제4장 연구결과 37
제1절 ‘황우석 사태’ 보도의 특성 37
1. 형식상의 특성 38
2. 내용상의 특성 44
제2절 ‘황우석 사태’ 보도의 의미구조 52
1. 헤드라인 52
2. 1면 기사 56
제3절 장르의 활용을 통한 사건의 재확인 76
제4절 선진화 담론과 ‘황우석 사태’ 보도 83
제5장 결론 87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87
제2절 과학기술보도의 방향성 제언 90
제3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92
참고문헌 93
국문초록 98
영문초록 10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68 19 장기 조직 이식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에 등록한 시신기증인들의 사회적 특성 / 황선종, 이은영, 허영도, 허석열, 손현준 2012  305
1567 19 장기 조직 이식 바이오뱅크 기증자의 포괄적 동의와 역동적 동의 / 유호정 2016  208
156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식세포 기증·수증의 공적 관리 및 지원 / 김은애 2009  175
1565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 / 정은영, 서지혜 2016  193
156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등의 기증계약 / 안법영 2004  90
1563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 기증·이식에 관한 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김지혜 2011  89
1562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 조직과 세포의 기증 및 활용에 관한 법적 규율 / 이정념 2016  147
156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태도 연구 / 장희경,노소민,박소연,김민지,한주연 2014  374
156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및 이식의 활성화 방안 / 김양이 ,양승훈 2007  265
1559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 시신 기증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연계연구 / 이영일 2003  194
155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 김상희 2006  265
1557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장기와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김주영 2003  254
1556 19 장기 조직 이식 유방암 장기 생존자의 삶 / 백민자 2016  444
1555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김경희 2016  876
155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계 종사자들의 ‘웰다잉’에 대한 태도 / 이종식 2016  230
1553 18 인체실험 The Proposed Rule for U.S. Clinical Trial Registration and Results Submission/Deborah A. Zarin 2015  96
1552 18 인체실험 Previously unidentified duplicate registrations of clinical trials: an exploratory analysis of registry data worldwide/Gert van Valkenhoef 2016  98
1551 18 인체실험 Trial Reporting in ClinicalTrials.gov — The Final Rule/ Deborah A. Zarin 2016  190
» 18 인체실험 담론 분석을 통한 국내 일간지의 '황우석 사태' 보도에 관한 연구 : 조선일보와 한겨레를 중심으로 / 이경미 2006  236
1549 18 인체실험 참여정부의 발전국가적 BT 육성 정책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연구팀 지원 정책의 실패를 중심으로 / 황소영 2006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