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5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호스피스간호전공 2016.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46647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 The Perceptions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Attitude of Nurses at Long-Term Care Hospitals


http://www.riss.kr/link?id=T14146647






초록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의료기관평가인증을 받은 100병상 이상 규모의 요양병원 10개소에 근무하는 임상경력 5개월 

이상인 간호사 156명을 대상으로 2016년 1월 4일부터 1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정희[30]와 이은자[31]의 측정도구를 김명숙[32]이 수정․보완한 호스피스인식 도구, Frommelt[34]가 

개발하고 조혜진과 김은심[35]이 번역, 수정․보완한 임종간호태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99.4%, ‘연령’은 평균 46,1세이었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77.6%, 최종학력은 ‘전문대 졸업’이 62.8%로 가장 많았다. 병원경력은 평균 14.6년으로 145개월 이상이 50.6%, 요양병원경력은 평균 4.6년이며 3년 이상이 50.6%이였다. 종교는 ‘무교’가 41.7%이었다. 가까운 지인의 임종경험은 69.9%가 있었고, 임종경험횟수는 평균 6.8회이다. 호스피스와 관련된 교육경험은 60.9%가 없었고, 호스피스 관련 교육을 받은 시간은 평균 7.8시간이었다. 임종간호의 필요성은 100%가 ‘필요하다’로 응답하였으며, 필요한 이유는 통증 및 증상 관리(88.4%)가 가장 높았다. 호스피스완화간호의 정보습득은 59.0%가 병원(의료진을 통해)이었고, 호스피스제도 도입이 활발하지 않은 이유로는 병원의 경제성(타산이 맞지 않으므로)이 72.9%로 가장 많았고, 92.3%가 호스피스를 받을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호스피스완화간호 필요성은 ‘필요하다’가 67.9%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 정도는 평균 3.24점(1-4점), 하위영역별로 보면, 정의·철학영역(3.39점), 대상자영역(3.25점), 서비스 내용영역3.29점), 윤리 및 심리영역(2.98점), 홍보 및 교육의 필요성 영역(3.21점) 이었다. 3.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 수준은 평균 3.61점(1-5점), 하위영역별로 보면, 개인에 대한 태도영역(3.49점), 가족구성원에 대한 태도영역(3.96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의 정도는 연령(t = 10.72, p< .000), 결혼상태(t = 2.28, p< .023), 병원 경력(t = 3.85, p= .02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는 연령(t = 8.63, p<.000), 병원경력(t = 5.17, p< .007), 요양병원경력(t = -1.98, p= .049), 가까운 사람의 임종경험 유무(t = 2.30, p< .02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는 양의 상관관계(r = .555, p< .001)로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이 높을수록 임종간호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7. 대상사의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가까운 지인의 임종경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이며, 설명력은 32.5%로 나타났다(F= 15.921, ρ<.001). 이상과 같이 요양병원 간호사는 지인의 임종경험이 있을수록 임종간호 태도가 높고, 호스피스 간호인식이 높을수록 임종간호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를 위한 긍정적인 태도를 향상시키는 전략으로 임종간호와 관련된 직무교육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간호사들이 근무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임종경험을 나눌 수 있는 전문적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3

  • II. 문헌 고찰 5

  • 1. 요양병원간호사 5

  • 2.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 6

  • 3. 임종간호태도 8

  • III. 연구방법 11

  • 1. 연구설계 11

  • 2. 연구대상 11

  • 3. 연구도구 12

  • 4. 자료수집방법 및 기간 13

  • 5. 자료 분석방법 13

  • 6. 연구의 제한점 13

  • 7. 윤리적 고려 14

  • IV. 연구결과 15

  •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15

  • 2.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 수준 18

  • 3.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 수준 21

  •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 24

  • 5.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 26

  • 6.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와의 상관관계 28

  • 7.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29

  • Ⅴ. 논의 30

  • Ⅵ. 결론 및 제언 34

  • Ⅶ. 참고문헌 36

  • 설문지 45

  • 영문초록(Abstract) 5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5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7
24 9 보건의료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 / 박학영 2010  1061
23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17
2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유양숙, 조옥희 2013  945
»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김경희 2016  878
2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2013  842
19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비시행(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 / 한수옥 2010  779
1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 안미숙, 이금재 2014  772
17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2011  689
16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8
1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가족기능 / 이민혜 2014  554
14 19 장기 조직 이식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최화영 2012  471
13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조옥희 2013  466
12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2016  448
11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 남성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 이은주 2014  421
10 20 죽음과 죽어감 DNR에 대한 환자 보호자의 윤리적 인식 및 태도 / 송경옥 2010  376
9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병원 직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태도와 교육요구 / 김미림 2016  361
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2008  323
7 12 낙태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조세희 2015  275
6 2 생명윤리 일 대학생의 성의식과 생명윤리의식이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권수빈 외 2016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