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199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3360392 
절박유산과 정상임부 및 시험관아기시술 환자에서 초기임신인자의 임상적 유용성
= Clinical Usefulness of Early Pregnancy Factor in Women with Threatened Abortion , Normal Pregnant Women and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Patients

                                   

  • 저자명

    이진용, 문신용, 김정구, 배광범                        

  • 학술지명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 권호사항

    Vol.40 No.6 [1997]                                                         

  • 발행처

    대한산부인과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sog.org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46-1156(1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1997년

  • 초록 (Abstract)
    • Early pregnancy factor(EPF) is believed to be a pregnancy-associated immunosuppressive polypeptide which might inhibit the function of maternal lymphocyte during pregnancy. The physiological role of EPF in human pregnancy has remained controversal. Th...
  • Early pregnancy factor(EPF) is believed to be a pregnancy-associated immunosuppressive polypeptide which might inhibit the function of maternal lymphocyte during pregnancy. The physiological role of EPF in human pregnancy has remained controversal.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whether EPF determinations have prognostic value in women with threatened abortion, and to evaluate usefulness in diagnosing early pregnancy and in predicting the outcome of embryo transferred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IVF-ET) program. EPF activity was measured by a recently developed, micro rosette inhibition test in sera from 76 normal pregnant women, 25 normal healthy women with tubal ligation, 58 women with therapeutic surgical abortion(n=18) or threatened abortion(n=40) and 29 IVF-ET patients. Rosette inhibition titer≥3 was defined as an index for the presence of EPF activity. EPF activity was undetectable in sera of normal healthy women with tubal ligation and in sera taken before ET. In normal pregnancy EPF was detected in 88~92% of sera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rimester and almost disappeared in the third trimester. Surgical therapeutic abortion in the first trimester lead to disappearance of EPF activity in 92.3% of cases second day after procedure. The sensitivity of the EPF assay in predicting the outcome in pregnant women with threatened abortion was 88.0% and the specificity was found to be 86.7%. In patients who became pregnant after IVF-ET procedure EPF activity was detected in 85.7% of sera on the 5th day and in all sera on the 12th day. In 80.0%(9/13) sera of patients who failed to become pregnant after ET, EPT activity was detected on the 5th day but 17(94.4%) of 18 sera was proved to be negative for EPF activity on the 12th day. These data suggest that EPF assay by micro rosette inhibition test may be useful in monitoring the embryo after ET, in dignosing early pregnancy and in predicting the outcome in women with threatened abor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72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환경윤리의 비교 연구 / 김일방 2016  253
2727 18 인체실험 충북대학교의 IRB 운영체제와 연구자 이용실태 및 제언 / 박상희 2016  253
2726 12 낙태 여성주의 안에 나타나는 딜레마에 대한 이해 시도 / 최형미 2014  253
2725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평가 중에 발생한 심장사 후 장기기증에 의한 신장이식: 단일기관 장기추적 결과 / 허나윤 외 2015  253
2724 8 환자 의사 관계 미검증 의료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정책학적 연구 / 채규현 2015  253
2723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간이식의 적응증 / 김용주 2001  253
2722 2 생명윤리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추병완 2015  253
2721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2015  253
2720 1 윤리학 데이터 소유권 개념을 통한 정보보호 법제의 재구성 / 박상철 2018  252
2719 9 보건의료 질병과 지역에 따른 소득분위별 의료이용 불평등도 추이 / 김윤주 2018  252
2718 9 보건의료 문재인정부 복지정책의 전망과 과제 - 한국 복지국가의 경로를 바꿀 것인가? - / 김연명 2018  252
2717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에 대한 페미니즘 담론 연구/최영주 2008  252
» 14 재생산 기술 절박유산과 정상임부 및 시험관아기시술 환자에서 초기임신인자의 임상적 유용성 / 이진용 1997  252
2715 14 재생산 기술 산부인과 전문병원 내원환자의 난임 특성과 보조생식술 유형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 김윤정 2016  252
271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이후의 삶: 노동하지 않아도 행복한가? / 현남숙 2016  252
271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의 중단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과 관련하여 / 석희태 2009  252
2712 4 보건의료 철학 20세기 초 미국 의사들의 열대질병 연구와 상업적 후원 / 정세권 2015  252
2711 14 재생산 기술 국제인권법상 재생산권에 관한 소고/장복희 2015  252
2710 1 윤리학 의료인의 환자 전인 치유를 위한 영적 돌봄 / 노현기 2015  252
2709 1 윤리학 개인의료정보보호에 관한 법적 연구 / 박인경 2007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