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연세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494287 
일반논문 : 배아,태아,유아에 대한 불법행위와 위자료청구권
= Illegal Acts against and Claim to Compensation for Embryo, Fetus, and Infants

                                 

  • 저자명

    최장섭 ( Jang Seop Choi )                                               

  • 학술지명

    연세법학               

  • 권호사항

    Vol.21 No.- [2013]                                   

  • 발행처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YONSEI ASSOCIATION OF LEGAL RESEARCH)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09-139(3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3년                                                                                                                                      

  • 초록 (Abstract)
    • 민법 제3조에 의하면 사람은 생존한 동안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된다. 생존한 동 안만 권리의 주체성이 인정되기 때문에 태아에게는 원칙적으로 권리능력이 인정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태아...                            

    민법 제3조에 의하면 사람은 생존한 동안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된다. 생존한 동 안만 권리의 주체성이 인정되기 때문에 태아에게는 원칙적으로 권리능력이 인정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태아를 보호하기 위해 민법은 개별적인 보호규정을 두고 있다. 그 대표적인 규정이 민법 제762조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에 대한 출생의제 규정이다. 출생의제 규정의 해석과 관련하여서 전통적으로 정지조건설과 해제조건설이 주장되어 왔으나 이러한 전통적인 견해에 의할 때에는 모체와 함께 사망하거나 사산 된 태아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법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인 사안에서보다 부모의 위자료를 증액하여 인정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그러 나 이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방법이 될 수 없다. 전통적인 견해에 의할 때 사산된 태아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은 민법 제762조를 제3조에 대한 특별규정으로 인정하여 제 3조와 분리하여 별개로 해석, 적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민법 제762조를 민법 제3 조로부터 분리시키면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에서는 태아를 완전한 사람으로 인정하게 되므로, 사산한 경우에도 태아 자신의 위자료청구권을 포함한 손해배상 청구권을 인정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상속도 인정할 수 있게 된다. 민법에서 보호하는 태아는 수정란이 모체에 착상된 시점부터 인정되는 것인데, 배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실에서 착상 이전의 배아 단계에 대한 보 호도 중요하게 논의되어야 한다. 배아에게 직접 불법행위가 행해져 배아가 모체의 자 궁에 착상되지 못한 경우에는, 착상되지 못한 배아를 권리주체로 인정할 수 없기 때문 에 배아에게 위자료청구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배아가 착상되고 출생에 이르지 못한 경우에는 배아가 태아의 단계까지는 이른 것이므로, 태아에 대한 논의에서와 마찬가지로, 태아에게 위자료청구권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나아가 배아에 대한 불법행위가 행해져 장애를 가진 상태로 출생한 경우에는 완전한 사람으로 출생한 것 이므로 위자료청구권을 인정해야 한다. 배아는 권리주체로 인정할 수는 없지만 생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특별한 물건으로 인정할 수 있으므로, 혈액이나 신체 일부 보다 더욱더 존중되어야 하는 권리의 객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배아에 대한 불법행위는 배아생성자의 인격권 침해에 해당하여 배아생성자의 위자료청구권 이 인정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74
2908 22 동물복지 동물보호법개정논의에 즈음한 비교법적 고찰 / 김수진 2006  282
2907 2 생명윤리 인간의 존엄과 생명가치에 대한 법적 판단의 문제 / 이재명 2017  282
2906 14 재생산 기술 완만동결된 배아와 유리화 동결된 배아를 이식했을 때의 임신 예후의 비교 /곽은희 2014  282
2905 9 보건의료 지카바이러스의 역사와 중남미 발생 상황의 이해 / 이재갑 2016  282
2904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ABS) 시행 이후 중국 관련법제 및 향후 정책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안/강문경, 배정생 2014  282
2903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전방욱 2015  282
2902 9 보건의료 의료기기 정보검색 웹사이트 개발 2019  281
2901 20 죽음과 죽어감 적극적 안락사의 정당성에 관한 형법이론적 고찰 2010  281
2900 19 장기 조직 이식 가족간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 현상이 이식 장기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10  281
2899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형 맞춤 의료 대책 방안 연구 : 감염병 중심으로 / 허준구 2016  281
2898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81
289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의 존엄케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강성자 2018  280
» 14 재생산 기술 배아,태아,유아에 대한 불법행위와 위자료청구권 / 최장섭 2013  280
2895 9 보건의료 의사 · 한의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검토 -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 김한나 외 2016  280
2894 2 생명윤리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혜림 외 2016  280
289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법적 이해 : 규범적 맥락과 법제화의 방향 / 김나경 2015  280
2892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최준희 외 2017  279
289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업무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도 2007  279
2890 9 보건의료 한국 공공의료체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박금령 2016  279
2889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발전방안 / 이미정 2005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