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圓光法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695915 
배아연구와 인간의 존엄과 가치
 :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에 대한 검토 = The Debate on Human Embryo Research and Human Dignity(Human Right to Life) -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on May. 27. 2010, case no. 2005 heonma 346

                               

  • 저자명

    서종희                                              

  • 학술지명

    圓光法學                                

  • 권호사항

    Vol.27 No.1 [2011]                                                            

  • 발행처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43-270(28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1년

  • 초록 (Abstract)
    • One of the understanding the latest issues in bioethics is stem cell research used embryos, which is being discussed intensely in society from all corners of the earth. Embryos are used in various techniques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such a...
    • One of the understanding the latest issues in bioethics is stem cell research used embryos, which is being discussed intensely in society from all corners of the earth. Embryos are used in various techniques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such as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donation. They may be subject to embryo cryopreservation for later use if IVF procedures have resulted in more embryos than is currently needed. Some aspects, e.g. selective reduction in the beginning of pregnancy have triggered a moral debate, because prenatal diagnosis or preimplantation diagnosis involves testing embryos for diseases or conditions. At the same time, human embryos are being researched to determine their use in treating diseases. Stem cell research, reproductive cloning, and germline engineering are all currently being explored. The morality of this research is also debated because an embryo is commonly sacrificed. That is to say, this research cannot be divorced from ethical problems since it requires the destruction of eggs of fertilized eggs. Lively debates have been held over which should be more respected, freedom of research or human dignity(the right to life of embryo). Some insist that a human embryo can't have the right to life and human dignity since it is not considered viable organism, because it cannot survive outside the uterus. Others say that though embryo has the right to life or the human dignity, the human dignity and embryo research are compatible. Recently, many nations said “yes” to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signing an executive order to permit funding for the research in the mame of achieving health and life of humankind. However human dignity and mankind’'s diversity attacked by an indiscreet research which is such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human status’' would become meaningless, that is, it is a threat to human existence. After all, though we allow to do research embryo, we should control the capacity of abuse of embryo research for human dignity. Also we must always be careful of violating of human dignity in that there is still eugenical discrimination by embryo research through the creation of human iP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and artificial abortion in use of PGD(preimplatation genetic diagnosis).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대상결정에 대한 기본적 이해
    • Ⅲ. 생명윤리법 제17조에 대한 대상결정 분석
    • Ⅳ. 생명윤리법 제16조에 대한 대상결정 분석
    • Ⅴ. 맺는말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188 9 보건의료 한국형 멜드 시스템 도입 전후의 뇌사자 간이식 성적 비교: 단일기관 연구 / 이지아 외 2018  114
    1187 2 생명윤리 의사소통적 여성주의 생명윤리학과 공동의사결정 / 이은영 2017  114
    1186 22 동물복지 질환모델 동물의 바이오 이미징 기술 / 김보경 2018  114
    1185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술에서 배양조건 개선을 위한 마우스모델 실험 / 유창석 2015  114
    1184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권리와 공유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 고은경 2017  114
    1183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을 위한 제 요건 2009  114
    1182 9 보건의료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및 표준화 프로세스 / 김현준 2017  114
    1181 15 유전학 유전정보의 상업적 이용과 개인정보 보호/이준형 2017  114
    1180 9 보건의료 민간의료보험료 가구부담 및 보험금 수령에 따른 의료비 부담완화 효과 분석 / 김유진 2017  114
    1179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체계 내에서 진료정보교류의 법제 / 배현아 2016  114
    1178 15 유전학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의 돌연변이 분석 / 우혜인 2012  114
    » 18 인체실험 배아연구와 인간의 존엄과 가치 / 서종희 2011  114
    1176 9 보건의료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114
    117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교육 자료 개발 / 정윤중 2010  114
    1174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이해 / 김광태 2015  114
    117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와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고찰/김영태 2014  114
    1172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방안/정복례 2014  114
    1171 7 의료사회학 한국의 의사상에 기반을 둔 일반역량 및 위임가능 전문직무(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선우 2019  113
    1170 16 환경 4차 산업혁명 시대 스마트 환경관리 체계로의 전환 / 이은환 외 2019  113
    1169 9 보건의료 한국의 고령화와 의료산업 / 윤재중 2018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