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86163 

유전자 가위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제도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 : 빅데이터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 Social Impact and Legal/Policy related Issues of Gene Editing Technology : Evidence based on Opinion Mining and Expert Interviews

                                              

  • 저자

    김성은                                       

  • 형태사항

    viii, 96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소윤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료법윤리학협동과정 보건학전공 2016. 8

  • DDC

    344.04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초록 (Abstract)

  • 환자 중심의 보편적 의료 개념이 발달하면서 환자의 건강 상태와 질병과 관련된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맞춤화된 처방전 및 치료 제공을 통해 예방하는 ‘맞춤의학’ 개념이 주목받고 ...
  • 환자 중심의 보편적 의료 개념이 발달하면서 환자의 건강 상태와 질병과 관련된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맞춤화된 처방전 및 치료 제공을 통해 예방하는 ‘맞춤의학’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서 의료 소비자의 다양한 신체 상태 및 일상생활 맥락과 관련된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적확한 서비스를 추천해 주는 시스템이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인간의 신체 상태와 관련된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 수정하는 유전자 편집 기술이 최근 의료계에서는 중요한 토론 주제가 되고 있다. 특히 효과적으로 유전자 내 특정 부위를 조절하고, 편집하여 새롭게 형질이 개선된 유전자를 생산하는 ‘유전자 가위 기술’이 화제가 되고 있다. 기존의 논의들은 유전자 가위 기술에 대한 막연한 비판이나 긍정적 전망에 대해서 일방적으로 다루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난치병 치료 및 각종 유전 형질에 의한 병증 치료를 위해 유전자 가위 기술 도입이 필요함을 제시하는 연구가 늘어나고 있고, 예방 의학 차원에서 유전자에 의한 건강 진단이 절실함을 언급하는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유전자 가위 기술은 ‘생명 정보학’, 즉 인간의 건강 정보 및 각종 생체 정보를 편집, 가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 첨병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에서는 전문가 인터뷰 및 빅 데이터 분석에 입각한 국민 정서 분석을 토대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했다. 그리고 지금까지 업계나 학계에서 수동적으로 언급해 왔던 유전자 가위 기술의 도입 시나리오를 보다 다양한 생태계적 관점에서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 산업 관련 의사결정자들이 보다 입체적인 시각을 갖고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데 의의를 지닌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50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형사정책적 연구 / 윤영수 2002  387
3507 12 낙태 낙태죄의 역사 / 최규진 2018  386
350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 이경은 2017  386
3505 12 낙태 낙태 범죄화와 여성 섹슈얼리티 통제 -"낙태죄 합헌결정"(헌법재판소 2 012. 8. 23. 선고 2010헌바402 결정) / 이연우 2015  386
3504 15 유전학 인간 내성 리트로 바이러스(HERV)와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의 상관관계 / 옥미선 외 2015  386
3503 9 보건의료 정부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메르스 확산 사례를 중심으로 / 이승아 2016  386
3502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목광수,류재한 2015  386
3501 1 윤리학 사생활의 비밀의 절차적 보호규범으로서의 개인정보보호법리 : 개인정보보호법 및 위치정보보호법의 해석 및 적용의 헌법적 한계 / 박경신 2011  385
3500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에서 HRPP운영 도입의 한계점과 개선방향 / 이종림 2015  385
3499 9 보건의료 한국형 의료기관 중심 작업치료기록 표준용어 개발 / 송영진 2016  384
349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과 부모 결정 : 법적·철학적 함의 / 박준석 2013  384
349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와 가족이 경험한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형숙 2016  383
3496 14 재생산 기술 기술화된 계약 임신 경험을 통해 본 대리모의 행위성 구성에 관한 연구 / 이은주 2008  383
3495 15 유전학 커먼룰과 보관된 인체유래물에 관한 제공자의 권리 / 박수헌 2012  383
349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그리고 의사의 진료의무 2008  382
3493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 주 형법상 자살관여행위 규제에 관한 입장과 그 시사점 / 임정호 2014  382
3492 15 유전학 영화 가타카(GATTACA)가 현실로! 맞춤형 아기 시대의 도래 / 박보야나 2015  381
3491 9 보건의료 병원정보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임상남 2016  381
3490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Rh 혈액형 변환 / 김영훈 2014  381
348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에 대한 민사책임 / 이태섭 2011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