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ERI Brief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86732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내환경 점검과 정책 방향

                

  • 저자명

    김윤경                                              

  • 학술지명

    KERI Brief                           

  • 권호사항

    Vol.16 No.33 [2017]                                                          

  • 발행처

    한국경제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6(1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KDC

    320

  • 초록 (Abstract)
    •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각국 정부 및 민간의 대응이 속도를 더해가고 있다. 국내의 본격적 논의는 제4차 산업혁명의 이해를 주제로 내세운 다보스포럼과 딥마인드의 바둑대결이 펼쳐진 2016...
    •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각국 정부 및 민간의 대응이 속도를 더해가고 있다. 국내의 본격적 논의는 제4차 산업혁명의 이해를 주제로 내세운 다보스포럼과 딥마인드의 바둑대결이 펼쳐진 2016년에 들어서 시작되었다. 사실 4차 산업혁명에 대 한 인식은 2011년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의 스마트팩토리를 중심으로 한사이버물리시스템 기반의 제조업 혁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최근에는 서비스업을 포괄한 전 산업환경의 변화와 다양한 비즈니스 형태의 개발을 포괄하고 있다. 시장을 선도하는 첨단기술 보유 여부가 미래의 개인, 국가의 승패를 결정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현재 한국의 기반 환경에 대한 점검과 함께 글로벌 기업의 동향을 이해하여 적극적 참여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유지하며 ICT 산업에 강점을 보이는 한국은 4차 산업혁명의 파급효과가 큰 국가 중 하나일 것이다. 또한 과거부터 기초 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연구개발 투자와 학문적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나 사업화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기업의 전략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ICT 산업내 4차 산업혁명의 선도 분야인 소프트웨어에서 두드러진다. 첫째, 글로벌기업은 혁신기업을 우선적으로 인수하여 기술개발의 시간을 줄이고, 융합적 신사업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둘째, 신시장 개척을 위한 공동대응을 위해 컨소시엄과 융합얼라이언스를 형성하고 있다. 이같은 세계 동향을 주목하고 국내 기업 역시 조속히 동참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민간의 개발과 사업화 노력 외에도 정부의 정책적 변화가 동반되어야 한다. 정책개발 속도가 시대의 변화속도를 더 이상 앞서갈 수 없음을 인식하고 수요자 우선의 정책전환과 함께 관련 정책의 통일성을 위한 일원화가 필요하다. 우선적으로 창의성과 자율성을 극대화하도록, 일본의 그레이존 해소제도와 기업실증특례제도 등의 규제 개혁으로 새로운 혁신의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제기
    • Ⅱ. 제4차 산업혁명 시대
    • Ⅲ. 국내 환경 점검 및 글로벌 기업의 전략 동향
    • Ⅳ. 정책적 시사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48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체외수정 및 대리출산 법제 개관 / 이재열 2017  122
    134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 관련 국내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윤영미 외 2017  122
    1346 18 인체실험 임상윤리상담과 병원윤리위원회 / 최경석 2017  122
    1345 14 재생산 기술 임상연구 :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체질량지수가 체외수정시술에 미치는 영향 / 전균호 외 2009  122
    134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허용여부에 대한 기초론적 고찰 2010  122
    1343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규제의 특성과 규제거버넌스(Governance)의 재구성 / 김유환 2016  122
    134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과 생명연장의 경제적 가치: 실증분석 결과 / 류근관 2014  122
    1341 1 윤리학 EU의 2016년 일반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그 시사점 / 함인선 2016  122
    »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내환경 점검과 정책 방향 / 김윤경 2017  122
    133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김동진 2003  122
    1338 15 유전학 In vivo selective gene knockout through in situ delivery of RNA-guided Cas9 nuclease using lipidoid / 송명재 2014  122
    1337 12 낙태 낙태규제에 있어서 형법의 효용성 / 정현미 2011  122
    1336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생명윤리학적 연구 / 이선희 2001  122
    1335 20 죽음과 죽어감 [특별기고] 생명말기에 관한 논쟁과 인격주의 생명윤리/곤잘로 미란다 2016  122
    1334 2 생명윤리 윤리문제연구원 설립에 의한 인문학적 소양함양을 위한 사회교육 활성화 방안 / 황경식, 이정전, 구영모, 유호종 2009  122
    1333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 이식술을 받은 젊은 환자에서 발생한 2예의 지연성 칸디다 척추 골수염 / 강민석 외 2019  121
    1332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사회의 4차 산업혁명 수용과정과 대응전략의 시사점 / 윤정현 2018  121
    1331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방법 / 박지용 2017  121
    1330 5 과학 기술 사회 여성스포츠선수의 인권보호에 대한 국제적 기준과 국내 이행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성폭력과 관련하여 / 권형둔 2017  121
    1329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빅데이터 분석, 의료 빅데이터 표준화, 의료 온톨로지, 의료 보안, 상호호완성, CDSS, 정밀의료, 지능형 의료 플랫폼 / 이승룡 외 2018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