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41287 

한국의 산전 유전자 검사 제도와 법적 허용 질환에 대한 근거중심 가이드라인

= A study on the regulation of prenatal genetic testing and suggestion of evidence-based guidelines in Korea

                                         

  • 저자

    송주선                                       

  • 형태사항

    100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기창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학과 2017.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초록 (Abstract)

  • 배경: 우리나라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의해 165개의 유전질환에 대해서만 배아 및 태아 유전자 검사가 허용되어 있으나, 허용 및 불허용에 대한 근거와 기준이 불분명하다. 본 연...
  • 배경: 우리나라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의해 165개의 유전질환에 대해서만 배아 및 태아 유전자 검사가 허용되어 있으나, 허용 및 불허용에 대한 근거와 기준이 불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전 유전자 검사에 대한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 학회 가이드라인과 규정, 시행 현황, 논문 등을 통해 우리나라의 배아 및 태아 유전자검사를 허용하는 기준에 대한 근거 기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를 현재 허용되어 있는 165개 질환 중 단일 유전자 질환에 해당하는 163개 질환에 대해 적용하여 그 유용성과 적절성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방법: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 학회 및 정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검사 시행 현황, PubMed를 이용한 문헌 연구를 통해 배아 및 태아의 유전자 검사에 대한 객관적 근거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근거들을 바탕으로 단일 유전자 질환의 검사 허용 여부를 근거 수준에 따라 분류하고, 163개 단일 유전자 질환에 적용해보았다. 결과: 산전 유전자 검사는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 수준 및 산전 유전자 검사 시행 사례를 근거로 6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근거가 불충분한 카테고리를 포함하여 총 7가지로 분류 가능하였다. 이러한 질환 분류를 163개의 단일 유전자 질환에 적용하였을 때,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에서 산전 유전자 검사를 허용하고 있고 검사 시행 사례가 있는 카테고리 1 로 분류된 질환은 83개,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에서 검사를 허용하고 있으나, 검사 시행 사례는 없는 카테고리 2로 분류된 질환은 2개,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 중 하나 이상의 지침에서 부분적으로 허용하고 있으며 HFEA, ESHRE 그리고 PubMed 중 최소 두 군데 이상에서 검사 시행 사례가 있는 카테고리 3으로 분류된 질환은 47개, 한 군데만 검사 시행 사례가 있는 카테고리 4로 분류된 질환은 7개, 검사 시행 사례가 보고되지 않은 카테고리 5로 분류된 질환은 5개,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는 없으나 검사 시행 사례는 있는 카테고리 6으로 분류된 질환은 18개,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나 시행 근거 및 HFEA, ESHRE 그리고 PubMed의 검사 시행 사례를 찾을 수 없는 근거 불충분 카테고리로 분류된 질환은 총 2개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한 근거 수준에 따른 카테고리별 질환의 개수를 볼 때,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와 관계 없이 실제 검사 사례가 있는 카테고리 1, 3, 4, 6으로 분류된 질환은 전체 163개 질환 중 155개였다. 이에 반해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에서 검사를 부분적으로 허용하고 실제 검사 사례를 찾을 수 없는 카테고리 5로 분류된 질환과 전문가 단체의 권고 및 실제 검사 사례 보고가 모두 없는 근거가 불충분한 질환으로 분류된 총 7개 질환은 산전 유전자 검사 허용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1
  • I. 서론 …………………………………………………………………… 3
  • II. 본론
  • 1. 연구방법 …………………………………………………………… 12
  • 2. 연구결과 …………………………………………………………… 17
  • III. 고찰 및 결론 …………………………………………………… 83
  • 참고문헌 ……………………………………………………………… 88
  • ABSTRACT ………………………………………………………… 9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75

2 생명윤리 유전자혁명, 생명의 지속가능성 그리고 책임윤리 / 김문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84

5 과학 기술 사회 Nanotechnology, Governance, and Public Deliberation: What Role for the Social Sciences?

발행년 2005 

  • 조회 수 85

19 장기 조직 이식 The Argument Against Live-donor Liver Transplantation

발행년 1996 

  • 조회 수 85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Immigration Justice and the Grounds for Mandatory Vaccinations

발행년 2015 

  • 조회 수 85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 나노기술을 중심으로 / 김원제

발행년 2016 

  • 조회 수 85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 다양성으로 접근하기 / 조길수

발행년 2017 

  • 조회 수 85

19 장기 조직 이식 지적(知的)장애인의 장기제공에 관한 법적 문제 / 송영민

발행년 2016 

  • 조회 수 85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템플릿 비트분할 분산 저장기법을 통한 생체인증 시스템 설계 / 홍윤기

발행년 2017 

  • 조회 수 85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우리나라 의료관광 법적 연구의 현황과 검토 / 조형원

발행년 2017 

  • 조회 수 85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발행년 2017 

  • 조회 수 85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청소년의 건강 관련 의사결정패턴 / 허정미

발행년 2018 

  • 조회 수 85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윤리교육에서 철학적 방법 교육과 지침 교육 비교 연구 - 의료윤리지침을 활용한 의대생 교육의 타당성 - / 장동익

발행년 2018 

  • 조회 수 85

9 보건의료 한국 보건의료의 제도적·운용적 특성과 공공성 연구/여영현, 김혜정

발행년 2018 

  • 조회 수 85

23 연구윤리 국책연구기관 연구윤리평가 실태 및 개선방향 / 김병철

발행년 2013 

  • 조회 수 85

9 보건의료 미국의 공중보건 위기 대응을 위한 보건의료정보기술(Health IT) 법제 / 왕승혜

발행년 2017 

  • 조회 수 85

19 장기 조직 이식 각막기증 및 이식 활성화를 위한 법제 연구 / 배현아

발행년 2010 

  • 조회 수 86

2 생명윤리 관찰연구의 윤리 / 유상호

발행년 2010 

  • 조회 수 8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실 단기 교육 프로그램 / 이재인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86

9 보건의료 식약청의 바이오의약품 분야 평가기반 연구현황 / 유시형

발행년 2011 

  • 조회 수 86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의 발달을 둘러싼 현대사회의 법적 과제 -대리모 및 대리출산을 중심으로 / 함철훈

발행년 2003 

  • 조회 수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