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3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41287 

한국의 산전 유전자 검사 제도와 법적 허용 질환에 대한 근거중심 가이드라인

= A study on the regulation of prenatal genetic testing and suggestion of evidence-based guidelines in Korea

                                         

  • 저자

    송주선                                       

  • 형태사항

    100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기창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학과 2017.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초록 (Abstract)

  • 배경: 우리나라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의해 165개의 유전질환에 대해서만 배아 및 태아 유전자 검사가 허용되어 있으나, 허용 및 불허용에 대한 근거와 기준이 불분명하다. 본 연...
  • 배경: 우리나라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의해 165개의 유전질환에 대해서만 배아 및 태아 유전자 검사가 허용되어 있으나, 허용 및 불허용에 대한 근거와 기준이 불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전 유전자 검사에 대한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 학회 가이드라인과 규정, 시행 현황, 논문 등을 통해 우리나라의 배아 및 태아 유전자검사를 허용하는 기준에 대한 근거 기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를 현재 허용되어 있는 165개 질환 중 단일 유전자 질환에 해당하는 163개 질환에 대해 적용하여 그 유용성과 적절성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방법: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 학회 및 정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검사 시행 현황, PubMed를 이용한 문헌 연구를 통해 배아 및 태아의 유전자 검사에 대한 객관적 근거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근거들을 바탕으로 단일 유전자 질환의 검사 허용 여부를 근거 수준에 따라 분류하고, 163개 단일 유전자 질환에 적용해보았다. 결과: 산전 유전자 검사는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 수준 및 산전 유전자 검사 시행 사례를 근거로 6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근거가 불충분한 카테고리를 포함하여 총 7가지로 분류 가능하였다. 이러한 질환 분류를 163개의 단일 유전자 질환에 적용하였을 때,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에서 산전 유전자 검사를 허용하고 있고 검사 시행 사례가 있는 카테고리 1 로 분류된 질환은 83개,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에서 검사를 허용하고 있으나, 검사 시행 사례는 없는 카테고리 2로 분류된 질환은 2개,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 중 하나 이상의 지침에서 부분적으로 허용하고 있으며 HFEA, ESHRE 그리고 PubMed 중 최소 두 군데 이상에서 검사 시행 사례가 있는 카테고리 3으로 분류된 질환은 47개, 한 군데만 검사 시행 사례가 있는 카테고리 4로 분류된 질환은 7개, 검사 시행 사례가 보고되지 않은 카테고리 5로 분류된 질환은 5개,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는 없으나 검사 시행 사례는 있는 카테고리 6으로 분류된 질환은 18개,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나 시행 근거 및 HFEA, ESHRE 그리고 PubMed의 검사 시행 사례를 찾을 수 없는 근거 불충분 카테고리로 분류된 질환은 총 2개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한 근거 수준에 따른 카테고리별 질환의 개수를 볼 때,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와 관계 없이 실제 검사 사례가 있는 카테고리 1, 3, 4, 6으로 분류된 질환은 전체 163개 질환 중 155개였다. 이에 반해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에서 검사를 부분적으로 허용하고 실제 검사 사례를 찾을 수 없는 카테고리 5로 분류된 질환과 전문가 단체의 권고 및 실제 검사 사례 보고가 모두 없는 근거가 불충분한 질환으로 분류된 총 7개 질환은 산전 유전자 검사 허용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1
  • I. 서론 …………………………………………………………………… 3
  • II. 본론
  • 1. 연구방법 …………………………………………………………… 12
  • 2. 연구결과 …………………………………………………………… 17
  • III. 고찰 및 결론 …………………………………………………… 83
  • 참고문헌 ……………………………………………………………… 88
  • ABSTRACT ………………………………………………………… 9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4

15 유전학 유전자 패널을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분자 유전학적 원인 규명 / 홍현대

발행년 2016 

  • 조회 수 209

15 유전학 한국의 산전 유전자 검사 제도와 법적 허용 질환에 대한 근거중심 가이드라인 / 송주선

발행년 2017 

  • 조회 수 180

15 유전학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의 돌연변이 분석 / 우혜인

발행년 2012 

  • 조회 수 115

8 환자 의사 관계 의대생의 임상 실습에 따른 환자-의사 관계 평가 비교 / 윤희정

발행년 2010 

  • 조회 수 206

18 인체실험 마취와 관련된 임상시험에의 참여 요구 시 수술이 예정된 환자가 받는 심리적 부담이 환자의 기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김상덕

발행년 2012 

  • 조회 수 132

9 보건의료 병원정보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임상남

발행년 2016 

  • 조회 수 381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지원시스템 모델 개발 / 장광수

발행년 2013 

  • 조회 수 54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 빅데이터의 민간활용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에 대한 연구 : 일반인 인식조사와 법제 개선방향 모색 / 손영주

발행년 2016 

  • 조회 수 232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지용수

발행년 2016 

  • 조회 수 260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영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소현정

발행년 2007 

  • 조회 수 2637

13 인구 한국 다출산·저출산 가정의 특성과 원인분석 / 강명화

발행년 2010 

  • 조회 수 186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발행년 2004 

  • 조회 수 1113

13 인구 저출산 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 김현무

발행년 2010 

  • 조회 수 449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 김지혜

발행년 2008 

  • 조회 수 1154

13 인구 저출산 현상에 대한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인식탐색 / 김정숙

발행년 2006 

  • 조회 수 265

13 인구 직장여성의 저출산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직종별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 이연주

발행년 2008 

  • 조회 수 278

13 인구 저출산 정책의 비판적 검토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임혜숙

발행년 2007 

  • 조회 수 260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발행년 2014 

  • 조회 수 27991

13 인구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서상록

발행년 2009 

  • 조회 수 134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정부의 관리 전략 / 정순화

발행년 2012 

  • 조회 수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