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701845 
보건의료정책 기반마련을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 Utilization of Open Government Data for Health Policy

                                 

  • 저자명

    이은환, 김희선, 이병호, 최현진, 김진아

  • 학술지명

    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 No.- [2016]                                                          

  • 발행처

    경기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10(21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공공데이터를 개방하고, 그 활용가치를 극대화하려는 노력이 활발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 역시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제정함으로써...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공공데이터를 개방하고, 그 활용가치를 극대화하려는 노력이 활발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 역시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제정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의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경기도 역시 이에 발맞추어 「경기도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활용에 대한 중요성을 공감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정책의지에도 불구하고 보건의료분야의 경우 공
    공데이터의 개방 및 활용에 대한 세부적인 추진전략 또는 구체적 방안은 아직까지 제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의 주요 보건문제 해결이라는 목표 아래 경기도의 보건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효과적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보건의료분야의 공공데이터 개방시스템 및 자료원들을 살펴보고, 주요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유용한 정보의 생산과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경기도의 보건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효과적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활용방안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경기도 보건의료정책을 위한 효과적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활용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의 보건의료 관련 정보 및 공공데이터 제공의 통합 창구 역할을 할 수 있는 ‘경기도 보건의료 정보포털(가칭)’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정책 실무자들은 물론 민간에서 손쉽게 경기도의 포괄적인 보건의료 정보와 자료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보건의료분야의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경기도의 보건수준을 비롯한 보건의료비 지출 관련 정보, 보건의료자원 사용 관련 정보, 의료기관 및 의료의 질 관련 정보, 감염병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경기도의 다양한 보건의료 관련 정보 및 자료에 대해 시・군 단위로, 더 나아가 읍・면・동 단위로 세분화하여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경기도 전체는 물론 시・군의 지역보건의료정책 수립 시 해당 시․군의 정확하고 세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다양한 시각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정보의 가치와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단순히 사전에 입력된 정보를 통해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시각화 자료가 아닌 사용자가 직접 입력 및 선택할 수 있고, 이를 시각화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인터렉티브 시각화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지]
    • [연구요약]
    • [차례]
    • 표차례
    • 그림차례
    • [제1장 서론]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제2장 공공데이터 정책 및 활용 현황]
    • 제1절 공공데이터의 개념
    • 제2절 공공데이터 관련 정책 및 연구 동향
    • 제3절 공공데이터 활용 현황 및 사례
    • [제3장 보건의료 분야 공공데이터 제공 현황 및 사례 분석]
    • 제1절 보건의료 분야 공공데이터 제공 현황
    • 제2절 보건의료분야 공공데이터 사례 분석
    • [제4장 경기도 보건의료정책을 위한 공공데이터 제공 및 활용방안]
    • 제1절 연구결과 종합 비교 및 고찰
    • 제2절 경기도 보건의료정책을 위한 공공데이터 제공 및 활용방안 제언
    • 제3절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988 4 보건의료 철학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생명윤리 교육이 간호신입생의 좋은 죽음인식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 조옥희 외 2018  148
2987 9 보건의료 최근 사례를 통해 본 (시술관련) 의료관련감염 / 이재갑 2018  148
2986 22 동물복지 동물복지 인증 제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윤지영 김가람 정순희 2018  148
2985 12 낙태 낙태죄 폐지 반대 운동만이 최선일까? / 정겨운 2018  148
2984 18 인체실험 임상연구에서의 부수적 발견(IF) 관련 제도 개선방안 고찰/ 조혜란 2017  148
2983 9 보건의료 일개 응급의료센터에서 전문의에 의한 fast track 운영의 효과 / 정진희, 배현아 2008  149
2982 9 보건의료 의료기관 홈페이지의 합리적 관리방안 / 박경라 2013  149
2981 5 과학 기술 사회 [신기술 정보] 단순한 작업을 인간처럼 빠르게 배우는 인공지능 알고리즘/한만배 2016  149
2980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리와 실현 / 윤석찬 2015  149
2979 9 보건의료 전문병원 홈페이지의 의료광고 콘텐츠 분석 / 정해린 2016  149
2978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 Specialist Palliative Care (SPC)가 우리나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주는 시사점 / 태윤희 2016  149
297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규정을 위한 법률안의 제안 / 윤혜란 2006  149
»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 기반마련을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 이은환 2016  149
2975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사고발생에 따른 형사책임의 귀속여부 - 레벨4단계를 중심으로 - 2017  149
2974 19 장기 조직 이식 재생의학에서의 3D 프린팅 기술 전망 / 정교민, 안두현 2013  149
2973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이 경험하는 상실에 관한 질적 연구 / 전순초 외 2018  149
2972 9 보건의료 개정 의료법상 설명의무에 관한 비판적 고찰 / 현두륜 2017  149
2971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연구(比較法硏究) : 안락사에 관한 국제법 및 비교법적 고찰 / 장복희 2011  149
2970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법적 쟁점 및 과제 -환자중심의료를 중심으로- / 이무선 2018  149
2969 14 재생산 기술 이중결과론은 남은 배아연구를 정당화할 수 있는가 / 이향연 2019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