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경찰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56832 
개인정보 유출을 통해 본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방안
= Right to be forgotten and Privacy Protection Act of Korea: Focusing on the Leak of Private Information

                               

  • 저자명

    권혁빈                                                                                   

  • 학술지명

    한국경찰연구                          

  • 권호사항

    Vol.13 No.2 [2014]                                                           

  • 발행처

    한국경찰연구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28(2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 KDC

    350.7

  • 등재정보

    KCI등재                                                                   

  • 초록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정보의 지속적인 유출 사고와 이에 따른 2차적 피해 발생에서 제기되는 잊혀질 권리의 필요성과 함의를 고찰하고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각국의 입법과정과 법률체계를...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정보의 지속적인 유출 사고와 이에 따른 2차적 피해 발생에서 제기되는 잊혀질 권리의 필요성과 함의를 고찰하고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각국의 입법과정과 법률체계를 비교한 후, 현행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의 실상과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최근 급속히 진척되고 있는 정보 사회의 도래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와 언제나 누구든 어떠한 정보에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이버스페이스 상의 빅데이터 환경을 만들었다. 이로 인해 공공기관과 민간 분야의 모든 영역에 걸쳐 개인정보가 대량으로 유 출되고 광범위한 전자통신망을 통해 빠르게 전파됨으로서 각 개인의 프라이버시권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신상털기 등 여러 가지 형태의 2차적 범법행위를 초래케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개인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잊혀질 권리를 둘러싼 논의와 더불어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고 자 한다. 이를 위하여 잊혀질 권리와 정보삭제권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더불어, 실 제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개인정보의 불법유출 실태와 신상털기로 이어지는 과정을 규명함으로 써 잊혀질 권리의 중요성을 살펴본다. 끝으로 잊혀질 권리를 위한 정보삭제권에 대한 각국의 입법과정과 법률체계를 개괄한 후, 한국 의 개인정보보호법이 내포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각국의 개인정보보호법 입법 과정과 법률체계
  • Ⅳ.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68 9 보건의료 주요국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예방의료서비스 현황 조사 / 김계현 2017  139
1567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조윤경 2017  139
1566 15 유전학 한국인에서 약년 성인형 파킨슨병 환자들의 임상 양상 및 유전자 분석 / 정은주 2007  139
1565 1 윤리학 정부기관의 정보열람 요구와 ISP의 협조의무 / 박훤일 2016  139
»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을 통해 본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방안 / 권혁빈 2014  139
1563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 케어산업 성장과 글로벌 보건 및 인력개발 / 최병목 2015  139
1562 5 과학 기술 사회 세상속으로: 해외동향 : 미국: IBM 왓슨(Watson)을 통해 살펴본 인공 지능 기술과 빅 데이터의 접목과 활용 가능성 / 윤창근 2012  139
1561 9 보건의료 병원경영진단 사례연구-문제점과 개선안을 중심으로 / 정기선 1995  139
1560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 생명공학 정책의제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 김훈기 2002  139
1559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역분화줄기세포의 유전체 수준 비교 / 백진아 외 2013  139
1558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규제개혁을 위한 핵심 덩어리 규제의 식별 / 김성준 외 2016  139
1557 15 유전학 산전 세포유전진단 시행에 있어서 유전상담의 효과 / 송찬호 외 1992  139
155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절차 및 재원조달을 중심으로 / 김효영 2008  139
1555 9 보건의료 국내 보건의료 빅데이터 법제의 구축에 관한 고찰 / 이서형 2018  138
1554 12 낙태 낙태에 관한 인터넷 포럼에서의 플레이밍 현상 / 이성범 2018  138
1553 9 보건의료 건강한 사람 대상 임상시험의 윤리적 위험성 최소화 방안 연구 / 방성윤 2018  138
1552 19 장기 조직 이식 대학생의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실천의지에 관한 조사연구 / 이선옥 2017  138
1551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도덕적 민감성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순희 외 2017  138
1550 22 동물복지 체세포 복제견의 임신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강배 2016  138
1549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박형욱 2017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