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公法硏究(Public La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748545 

사생활의 비밀의 절차적 보호규범으로서의 개인정보보호법리 :  개인정보보호법 및 위치정보보호법의 해석 및 적용의 헌법적 한계

=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as a Prophylactic Measure Guarding Privacy - the Resulting Constitutional Limits on Kore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Location Information Protection Act

                                    

  • 저자명

    박경신(Kyung-Sin Park)                                                           

  • 학술지명

    公法硏究(Public Law)                             

  • 권호사항

    Vol.40 No.1 [2011]                                                        

  • 발행처

    한국공법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pla.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9-162(34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1년

  • KDC

    360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16                                                                                                                           

  • 초록 (Abstract)
    • 개인정보보호법은 모든 개인에 관한 정보를 '개인정보'로 정하고 개인정보의 유통을 규제함으로써 타인에 대해 말할 권리를 제약하는 방식으로 해석될 우려가 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
  • 개인정보보호법은 모든 개인에 관한 정보를 '개인정보'로 정하고 개인정보의 유통을 규제함으로써 타인에 대해 말할 권리를 제약하는 방식으로 해석될 우려가 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의 제정에 심대한 영향을 준 EU디렉티브와 OECD가이드라인을 자세히 검토해보면 세계적으로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개인정보보호규범은 프라이버시권을 그 핵심적인 보호법익으로 두고 있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개인정보의 대규모집적 및 유통을 통해 프라이버시권 침해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개인정보보호규범은 프라이버시권을 '과잉'보호하기 위한 절차적 규범(prophylactic) 또는 적극적 규범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프라이버시권의 연혁을 워렌-브렌다이스 논문부터 프롯서 그리고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연혁을 검토해보면 나라마다 '사적인 정보'의 범위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프라이버시권은 '자신에 대한 사적인 정보의 공개 및 취득'의 통제를 핵심내용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범위도 '사적인 정보' 또는 '프라이버시권 침해의 가능성있는 정보'들로 한정함으로써 표현의 자유와의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법의 특별법인 위치정보보호법은 물건의 소유자를 식별해내지 않는 방법으로 그 물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행위까지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개정 또는 축소해석의 필요가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개인정보'의 정의와 개인정보보호권
  • Ⅲ. 프라이버시권의 의미와 개인정보보호권의 발전
  • Ⅳ.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제 평가에의 적용 - 위치정보보호법을 포함하여
  • Ⅴ. 결론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508 20 죽음과 죽어감 삶을 위한 죽음의 연습과 자발적 죽음 / 권수현 2014  113
3507 15 유전학 유전정보의 상업적 이용과 개인정보 보호/이준형 2017  113
3506 9 보건의료 NFC 기술 기반 병원의료정보 서비스 / 문용일 2016  113
3505 9 보건의료 한국, 호주, 캐나다, 영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에 대한 고찰 / 배그린 2014  113
3504 9 보건의료 노인 고혈압 환자의 외래진료와 복약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화영 2015  113
3503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선택의 결정요인 / 이성경, 최지호 2017  113
3502 15 유전학 인간유전학의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우생학, 인간 게놈 지도, 유전자 진단 및 치료 등의 유전자 개입을 중심으로 / 이동익 2003  113
3501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사이버 포렌식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중심으로 / 박기배 2015  113
3500 13 인구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정책도구에 대한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이기령 2018  113
3499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진화과정의 의미를 통해 살펴본 미래의 기술발전에 대한 고찰 / 이동현 외 2018  113
3498 9 보건의료 혼인상태에 따른 의료이용 행태 분석 / 이웅 2018  113
3497 14 재생산 기술 대리출산 자녀의 모자관계 결정기준 / 권재문 2010  113
3496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나라 국가 수혈가이드라인 인지도 및 활용도에 관한 조사 연구 / 김형석 외 2016  113
3495 18 인체실험 초대받은 임상시험 / 송화선, 박범순 2018  113
3494 16 환경 4차 산업혁명 시대 스마트 환경관리 체계로의 전환 / 이은환 외 2019  113
3493 1 윤리학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세대를 위한 목회적 대응방안/ 송준용 2019  113
3492 22 동물복지 물건인가, 생명인가? / 신홍임 2017  113
3491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방안/정복례 2014  114
349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와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고찰/김영태 2014  114
3489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른 검체사용 연구에 대한 법적 윤리적 적용 / 장윤정 외 2015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