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3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411767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auses of low birth rate and the fertility policy in Korea

                                         

  • 저자

    김희경                                       

  • 형태사항

    vi, 89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최송식
    참고문헌 : p. 80-8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학과 사회복지학전공 2014. 2

  • DDC

    363.9 21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4                                                      

  • 초록 (Abstract)
    • Having through an industralization, having a low birth rate is appeared to be quite common. Among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countries, total fertility rate of Korea is the lowest, 1.3person in they ear of 2013. It...
  • Having through an industralization, having a low birth rate is appeared to be quite common. Among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countries, total fertility rate of Korea is the lowest, 1.3person in they ear of 2013. It is the fastest rate more than any other countries. In this research, the reasons for low fertility were categorized into two factors: the economic factor, such as the increase of the burden of child rearing expenses, the increased of female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the increase of phenomenon of avoiding having children because of the instability of employment; the demographic factor, such as the change in the outlook on marriage and children, the reality where it’s difficult to carry out work and family side by side, and the increase in the age of first marriage and childbirth.
    The social phenomenon of low fertility resulting from the factors above causes the rise of the expenditure for welfare including pensions, old-age pensions and medical cost while slowing down the supply of labor and the growth speed of economy and reaching the limiting the increase of the source of revenue, for example, tax and social security super annuation, in terms of economics. In the case of Sweden and France which have experienced low fertility already, they carried out active pronatalist policies, and their total birth rate was higher than 1.71 persons, the average birth rate of OECD nations in 2008. Sweden has established the social environment where both work and family can coexist by making an investment in the environment to give birth to and rear children.
    Through this, the rate of female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was recorded high, and simultaneously, childbirth was promoted as well. France that had to go through low fertility for the first time in Europe has made different benefit systems, such as children benefit, family benefit, and children education benefit, in order to lightenarents ’burden ofrearing cost. In addition, it has supported the coexistence of females’ participation in work and family by reinforcing the foundation for public childcare and setting up a family-friendly policy through a flexible work system. Through analysing foreign low fertility policies, the direction which Korea's low fertility policy should take is as follows.
    First is strengthening of work and family compatible support policy. In order for the women to deal with work compatible with family, a family-friendly social atmosphere favorable for child rearing should be
    formed in workplace and society. Furthermore, policies should be propelled towards invigorating men'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various and flexible forms of work such as flexible hours and flexible workplace, and leave before and after childbirth and reformation of maternity leave system.

    Second, various benefit systems should be introduced as in France to lighten the burden of child rearing of a family. Considering the result of the survey that one of the significant reasons why females stop giving birth to a child is the burden of the cost for child rearing and education, the benefit systems such as the general children benefit system in France will reduce it considerably.

    Third, a general child care service needs to be offered as in Sweden. Because the main reasons for the decrease of females’ economic activities are the burden of child rearing expenses and lack of child care facilities, national or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have to be increased as in Sweden and their effectiveness should be enhanced by supporting child rearing expenses for low-income groups, making the establishment of child care facilities at work compulsory, and regulating their execution.

    Fourth is system reformation of policies related to low fertility. Related law should be supplemented and legal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for the low fertility policy to produce actual results. Moreover, there's a need for a policy that recognizes out-of-wedlock childbearing just as Sweden and France does and system reformation that insures no disadvantage in various social insurance, which are suspended due to childbirth and infant care.
    The low fertility problem is not a phenomenon occurring by one individual cause and it cannot be solved with one individual measure. Thu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policies in each field should be pushed away in an integrative manner in order to boost the birthrate.


    요약
    산업화를 거치면서 출산율의 저하는 어느 나라에서나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이다. 우리나라 역시 OECD 국가 중 2013년 현재 합계출산율이 1.3명으로 가장 낮은 출산율을 보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그 속도 또한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저출산의 원인으로는 양육비용 부담의 증가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 및 고용불안에 따른 출산기피 현상의 증가와 같은 경제학적 요인과 결혼관·자녀관의 변화와 일과 가정을 양립하기 어려운 현실과 초혼·출산 연령의 상승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위의 요인으로부터 발생한 저출산이라는 사회적인 현상은 경제학적으로는 노동공급을 둔화시키고 경제의 성장속도를 점차 늦추면서 조세·사회보장기여금 등 재정수입을 늘리는데 한계를 보이게 되는 반면에 연금·노령수당 및 의료비 등과 같은 복지예산지출의 증대를 가져오게 된다.
    이미 저출산을 경험한바 있는 스웨덴과 프랑스의 경우, 적극적인 출산장려정책을 통해 합계출산율이 2008년 OECD 국가의 평균인 1.71명보다 높게 나타난바 있다. 스웨덴은 출산·보육환경에 대한 투자를 통해 일과 가정이 양립가능한 사회환경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여성의 높은 경제활동참가율을 기록하면서 동시에 출산을 장려했다.
    유럽에서 가장 먼저 저출산을 경험한 프랑스는 부모의 양육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아동수당, 가족수당, 자녀교육수당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당제도를 마련했다. 또한 공보육 기반을 강화하고 탄력근무제를 통한 가족친화적 정책으로 여성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했다.
    외국의 저출산 정책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저출산 정책이 나아가야할 방향은 아래와 같다.

    첫째, 일.가정 양립 지원정책 강화이다. 여성들이 일과 가정을 양립하기 위해서는 직장과 사회에서 양육에 유리한 가족친화적 사회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하고, 탄력적 근무제와 유연근무제와 같은 다양하고 유연한 근로형태, 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남성의 양육참여 활성화 방향으로 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 프랑스와 같은 다양한 수당제도를 도입해 자녀가 있는 가정의 양육부담을 줄여야 할 것이다.여성이 출산을 중단하게 되는 이유로 자녀의 양육비와 교육비에 대한 부담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온 설문결과를 볼 때 프랑스의 보편적인 아동수당제도와 같은 수당제도의 지급은 자녀의 양육비·교육비에 대한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제도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셋째, 스웨덴과 같은 보편적인 보육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여성의 경제활동을 감소시키는 이유가 자녀 양육비용의 부담과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시설의 부족이라는 점에서 스웨덴과 같이 국·공립 보육시설을 늘려 저소득층이 이를 이용할 경우 보육료를 지원하거나 직장보육시설의 설치를 의무화해, 이행상황을 규제해 실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저출산 관련 정책의 제도개선이다. 저출산 정책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관계 법률의 보완 및 법적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고, 스웨덴, 프랑스와 같이 혼외출산을 인정하는 제도와 출산과 육아로 중단되는 각종 사회보험 등에서 불이익이 가지 않도록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저출산 문제는 어느 한 가지 원인으로 발생되는 현상이 아니며, 해결 또한 한가지의 대책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각 분야별 정책이 통합적으로 추진되어야 출산율 제고로 이어질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제2절 연구 방법 3
  • 제2장 한국의 저출산 현상 원인과 특징 3
  • 제1절 저출산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 1. 경제학적 접근 4
  • 2. 사회인구학적 접근 6
  • 제2절 한국의 저출산 원인 7
  • 1. 경제적 원인 7
  • 1) 자녀양육교육의 경제적 부담 8
  • 2)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증가 9
  • 3) 고용 불안에 따른 출산기피 11
  • 2. 사회인구학적 원인 12
  • 1) 결혼·자녀관의 변화 13
  • 2) 일과 가정양립 곤란 13
  • 3) 초혼·출산 연령의 상승 15
  • 제3절 저출산으로 인한 문제점 19
  • 1. 경제적 문제 19
  • 1) 생산인구의 감소, 경제성장의 둔화 19
  • 2) 노인부양비의 증가,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의 재정 악화 20
  • 2. 사회인구학적 문제 25
  • 1) 급속한 인구고령화 25
  • 2) 가족기능 약화 27
  • 제3장 국내외 저출산 대응정책의 현황 28
  • 제1절 프랑스의 저출산 대응정책 29
  • 1. 출산, 육아휴직 제도 29
  • 2. 보육 서비스 31
  • 3. 수당제도 33
  • 제2절 스웨덴의 저출산 대응정책 35
  • 1. 출산, 육아휴직제도 36
  • 2. 보육서비스 37
  • 3. 수당제도 38
  • 제3절 한국의 저출산 현황과 대응정책 40
  • 1. 저출산 현황 40
  • 2. 대응정책 52
  • 제4장 저출산 대응을 위한 정책방향 62
  • 제1절 경제적 지원 63
  • 1. 수당제도의 도입 63
  • 2. 보육서비스에 대한 지원 64
  • 3. 출산전후 휴가제도와 육아휴직제도 개선 66
  • 4. 불임부부 지원제도 확대 70
  • 제2절 사회인구학적 지원 71
  • 1. 가족친화적 사회문화 조성 71
  • 2. 남성의 양육참여 활성화 72
  • 3. 다양한 근로형태의 활용 73
  • 제5장 결 론 76
  • 참고문헌 80
  • Abstract 8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023 15 유전학 유전자 패널을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분자 유전학적 원인 규명 / 홍현대 2016  208
4022 15 유전학 한국의 산전 유전자 검사 제도와 법적 허용 질환에 대한 근거중심 가이드라인 / 송주선 2017  179
4021 15 유전학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의 돌연변이 분석 / 우혜인 2012  114
4020 8 환자 의사 관계 의대생의 임상 실습에 따른 환자-의사 관계 평가 비교 / 윤희정 2010  205
4019 18 인체실험 마취와 관련된 임상시험에의 참여 요구 시 수술이 예정된 환자가 받는 심리적 부담이 환자의 기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김상덕 2012  131
4018 9 보건의료 병원정보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임상남 2016  381
4017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지원시스템 모델 개발 / 장광수 2013  54
4016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 빅데이터의 민간활용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에 대한 연구 : 일반인 인식조사와 법제 개선방향 모색 / 손영주 2016  232
4015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지용수 2016  258
4014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영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소현정 2007  2623
4013 13 인구 한국 다출산·저출산 가정의 특성과 원인분석 / 강명화 2010  186
4012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2004  1112
4011 13 인구 저출산 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 김현무 2010  449
4010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 김지혜 2008  1154
4009 13 인구 저출산 현상에 대한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인식탐색 / 김정숙 2006  265
4008 13 인구 직장여성의 저출산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직종별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 이연주 2008  277
4007 13 인구 저출산 정책의 비판적 검토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임혜숙 2007  260
»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81
4005 13 인구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서상록 2009  134
4004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정부의 관리 전략 / 정순화 2012  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