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73372 
Study of the molecular and functional link between multiple familial Parkinsonism-linked genes and aging-associated gene products : Focusing on Sirtuin and FOXO family :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와 노화 관련 유전자 간의 분자적 기능적 연관성 연구

                             

  • 저자

    Yun Ju Lee                                       

  • 형태사항

    vi, 35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정광철

  • 학위논문사항

    Thesis(M.A.)--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 시스템생물학과 2015. 8

  • 발행국

    대한민국

  • 언어

    영어

  • 출판년

    2015                                                                                                                                                                         

  • 초록 (Abstract)
    •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에 분포하는 도파민의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되어 발생하며 안정 떨림, 경직, 운동완만 및 자세 불안정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함께 ...
  •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에 분포하는 도파민의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되어 발생하며 안정 떨림, 경직, 운동완만 및 자세 불안정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함께 노인들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신경계의 만성 진행성 퇴행성 질환이다. 발병원인으로 세포 기관의 산화적 손상, 뇌의 염증,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 단백질 분해 메커니즘의 손상 등의 환경적인 요인이 있고 일부 환자에게서는 여러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한 유전적인 요인이 나타나지만 현재까지도 파킨슨 질환의 병리원인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고 있어
    파킨슨병의 새로운 기여인자 연구가 필요하다. 파킨슨병은 대부분 노인들에게서 발병하기 때문에 노화가 파킨슨병 발병에 중요한 기여인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와 노화 관련 유전자 간의 분자적 기능적 연관성을 연구함으로써 노화 관련 유전자의 파킨슨병 기여인자로서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여러 가지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 중 여덟 개의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 α-synuclein (PARK1/4), parkin (PARK2), LRRK2 (PARK8), PINK1 (PARK6), DJ-1 (PARK7), FBXO7 (PARK15), HtrA2 (PARK13), TG2와 노화 관련 유전자인 Sirtuin (SIRT1-7)과 FOXO(FOXO1, 3, 4) 간의 1:1 스크리닝을 통하여 결합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많은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와 노화 관련 유전자가 서로 결합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 중 일부는 단백질 분해를 촉진하는 효소이기 때문에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와 노화 관련 유전자가 상호적으로 단백질 반감기에 영향을 주는 지 확인하였고 그 결과 많은 파킨슨병 유전자와 노화 관련 유전자가 서로의 단백질
    반감기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8종의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와 7종의 Sirtuin 단백질, 3종의 FOXO 단백질간의 결합여부와 단백질 반감기의 조절 여부를 확인 한 스크리닝 결과는 파킨슨병 유전자와 노화 유전자 간의 조절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데 기반이 될 것이다.
    본 학위 논문의 두 번째 연구에서는 스크리닝 결과의 여러 조합들 중 파킨슨병의 관련 유전자로서 PARK15의 발병과 진행에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FBXO7 (F-box only protein 7)과 노화 관련 유전자인 SIRT7와 FOXO4 간의 조절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FBXO7은 SCF-E3 ubiquitin ligase 복합체에서 기질을 인식하는 구성 요소로 작용하며, 그 수식화 기질이나 파킨슨병 발병에 작용하는 세포 내 역할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학위 논문 연구를 통해 FBXO7의 새로운 기질
    단백으로서 노화 관련 유전자인 SIRT7과 FOXO4를 규명하였다.
    첫 번째로 FBXO7과 SIRT7이 단백질-단백질 결합을 하고 FBXO7에 의해 SIRT7 단백의 반감기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한 스크리닝 결과를 토대로 실험을 시작하였다. FBXO7에
    의한 SIRT7 단백 양의 감소는 FBXO7이 SIRT7의 유비키틴화를 매개하고,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에 의한 분해를 촉진시킴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FBXO7에 의한 FOXO4 단백의 반감기 감소 조절 메커니즘을 알아내기 위해 여러 가지 분해 메커니즘을 방해하는 저해제를 처리하여 실험 하였고, 그 결과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나 자가 소화 작용에 의한 분해가 아닌 세포소멸 관련 단백인
    caspase 활성화에 의한 분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Caspase 활성화에 의한 FOXO4의 단백 분해는 FBXO7에 의한 FOXO4의 유비키틴화에 의해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든 결과를 토대로, 우리는 파킨슨병 연관 단백인 FBXO7 이 노화 관련 유전자인 SIRT7 와 FOXO4 의 신호 전달에 새로운 조절인자로 작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FBXO7-SIRT7 과 FBXO7-FOXO4 의 조절 메커니즘이 추후 파킨슨병의 진단과
    처방에 새로운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74
164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등결정에 관한 몇 가지 쟁점 - 헌법적 근거, 범위, 환자의 의사확인을 중심으로 - / 박승호 2018  147
1647 1 윤리학 임의후견에서 본인의 자기결정권과 법원의 감독 / 김수정 2017  147
1646 9 보건의료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노인환자의 의료이용량 / 이용재 2017  147
164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의 가족보호자가 지각하는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 / 이지현 2016  147
1644 9 보건의료 국내 헬스케어 빅데이터 현황과 신규 연구 방향 / 신수용 2017  147
1643 15 유전학 유전정보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특허 / 박영규 2009  147
1642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의 허용여부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 김수갑 2009  147
1641 18 인체실험 우리나라 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 현황 / 김옥주 2002  147
1640 9 보건의료 진료계약의 환자 측 당사자확정에 관한 소고 -제3자 진료요청행위의 해석을 중심으로-/박동진 2014  147
1639 20 죽음과 죽어감 서비스 제도화에 관한 의식조사 : 보호자 없는 병원 제도화를 위한 예비연구 / 김철원 2010  147
1638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남성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과 사전의사결정 태도 / 안순녀 2019  146
1637 20 죽음과 죽어감 현행법상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과제 / 주호노 2018  146
1636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의 윤리학적 고찰과 확산 방안 / 김항인 2007  146
1635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자진단의 가벌성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독일 배아보호법 제3조a를 중심으로 - / 김재윤 2012  146
1634 4 보건의료 철학 비판적 의료인문학과 거꾸로 의학교육 / 강신익 2018  146
163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위험책임의 역할과 한계-인공지능 로봇에 의해 발생한 손해의 책임귀속을 고려하여 / 서종희 2018  146
1632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정책수단 평가 및 해결방안 연구 / 김정기 외 2017  146
1631 9 보건의료 예외적 보건 위기와 위기 상황의 차단 - 프랑스 감염병 관리 및 위기 대응 체계를 중심으로/ 박혜미, 김대중 2017  146
1630 9 보건의료 희귀 의약품의 현재 상황과 발전 방향 / 손영배 2013  146
1629 9 보건의료 의약품 거래규제에 관한 일고찰 / 이종인, 이승신 2012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