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51941 
한국, 호주, 캐나다, 영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에 대한 고찰
= Review of reimbursement recommendations of the oncology and the orphan drug in Korea, Australia, Canada and Britain

                                    

  • 저자명

    배그린 ( Green Bae ),  배승진 ( Seung Jin Bae ),유미영 ( Mi Young You )                                                   

  • 학술지명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20 No.2 [2014]                                                          

  • 발행처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0(2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1                                                                                     

  • 초록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평가를 급여 결정에 고려하는 한국, 호주, 캐나다, 영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 제고를 위해 적용되는 제도와 그 적용에 따른 급여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평가를 급여 결정에 고려하는 한국, 호주, 캐나다, 영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 제고를 위해 적용되는 제도와 그 적용에 따른 급여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경제성평가 결과와 관계없이 예외적으로 급여를 고려하는 기준, 즉 질병의 위중도에 근거하여 급여를 권고하는 기준을 국가별로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의 진료상필수약제, 호주의 Rule of Rescue, 영국의 End of Life 의 경우 대체약제 여부, 질병의 중증도, 임상적 개선, 환자 수등의 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하고 있으며 그 기준들은 대체적으로 유사하였다. 캐나다는 주 별로 평가 기준이 다르지만 온타리오 주의 평가기준의 경우 영국, 호주, 한국과 유사하였다. 각국에서 예외적인 급여권고 기준에 근거하여 급여된 품목들 (한국 9개, 호주 3개, 영국 3개, 겹치는 품목 제외 총 14개)중 외국에서 예외 기준으로 급여가 된 품목들은 우리나라에서 모두급여 되고 있었다. 2013년 현재 호주(life saving drug program, LSDP) 또는 영국(Patient Access Scheme, PAS)과 같이 희귀/고가 의약품의 접근성 제고를 위한 제도는 2013년 현재 없었으나, LSDP 와 PAS에 의하여 급여되는 품목 12개 중 한국에서 건강보험에 급여가 신청된10개 품목은 모두 건강보험에서 급여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 한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급여 권고 수준은 비교국 대비 비슷하거나 더 높아, 우리나라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이 비교국 대비 떨어진다는 근거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 초록 (Abstract)
    • Oncology drugs and orphan drugs are usually very costly, while their clinical benefits are marginal or uncertain, resulting in high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ratios(ICER) and unfavorable reimbursement recommendations. This study sought to compare...
  • Oncology drugs and orphan drugs are usually very costly, while their clinical benefits are marginal or uncertain, resulting in high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ratios(ICER) and unfavorable reimbursement recommendations. This study sought to compare the reimbursement criteria and recommendations of the oncology and the orphan drugs in Korea (Drug Reimbursement Evaluation Committee) with Australia (Pharmaceutical Benefit Advisory Committee), Canada (pCODR (the pan-Canadian Oncology Drug Review) and Common Drug Review) and Britain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where economic evaluation process has been formally considered as part of the drug reimbursement decision process, by referring to publicly available information. Criteria for life saving drugs, as well as drugs that are categorized as life saving drugs and recommended to be reimbursed regardless of the economic evaluation, were identified; Criteria for life saving drugs are similar across four countries, which includes the availability of the alternative treatment, the number of patients, the severity of diseases, and the clinical improvements of the drug. Of those 14 drugs which were reimbursed under the special criteria, all of them were reimbursed in Korea, 9 of which were reimbursed under the special criteria, whereas 3 of them were reimbursed under rule of rescue in Australia and 3 of them were covered under the End of Life program in Britain. Of those 14 drugs, 8 of them were considered and 6 of which were reimbursed in the Britain and 12 of them were considered and all of them were reimbursed in Australia. Korea does not have a separate funding program such as life saving drug program in Australia, yet most of the drugs that were reimbursed under the special funding program in Australia and Britain were already reimbursed in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Program. In conclusion, there were insufficient evidence to conclude that oncology drugs and orphan drugs are less likely to be reimbursed in Korea compared with other agencies where economic evaluation has been formally implement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508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선택의 결정요인 / 이성경, 최지호 2017  113
3507 15 유전학 인간유전학의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우생학, 인간 게놈 지도, 유전자 진단 및 치료 등의 유전자 개입을 중심으로 / 이동익 2003  113
3506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사이버 포렌식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중심으로 / 박기배 2015  113
3505 13 인구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정책도구에 대한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이기령 2018  113
3504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진화과정의 의미를 통해 살펴본 미래의 기술발전에 대한 고찰 / 이동현 외 2018  113
3503 9 보건의료 혼인상태에 따른 의료이용 행태 분석 / 이웅 2018  113
3502 14 재생산 기술 대리출산 자녀의 모자관계 결정기준 / 권재문 2010  113
3501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나라 국가 수혈가이드라인 인지도 및 활용도에 관한 조사 연구 / 김형석 외 2016  113
3500 9 보건의료 한국의 고령화와 의료산업 / 윤재중 2018  113
3499 16 환경 4차 산업혁명 시대 스마트 환경관리 체계로의 전환 / 이은환 외 2019  113
3498 7 의료사회학 한국의 의사상에 기반을 둔 일반역량 및 위임가능 전문직무(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선우 2019  113
3497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방안/정복례 2014  114
349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와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고찰/김영태 2014  114
349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이해 / 김광태 2015  114
349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교육 자료 개발 / 정윤중 2010  114
3493 9 보건의료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114
3492 18 인체실험 배아연구와 인간의 존엄과 가치 / 서종희 2011  114
3491 15 유전학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의 돌연변이 분석 / 우혜인 2012  114
3490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체계 내에서 진료정보교류의 법제 / 배현아 2016  114
3489 9 보건의료 민간의료보험료 가구부담 및 보험금 수령에 따른 의료비 부담완화 효과 분석 / 김유진 2017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