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OUGHTOPIA(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74382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저자명

    정인경                                             

  • 학술지명

    OUGHTOPIA(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                           

  • 권호사항

    Vol.30 No.1 [2015]                                                          

  • 발행처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 발행처 URL

    http://crhs.khu.ac.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5-34(3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생명공학 분야의 전문적 지식·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대하는 현실을 인간의 재생산에 초점을 맞춰 검토해 보고자 한다. 생명공학은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 유전자 조작 �...
  • 본 연구는 생명공학 분야의 전문적 지식·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대하는 현실을 인간의 재생산에 초점을 맞춰 검토해 보고자 한다. 생명공학은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 유전자 조작 및 배아 복제 시도와 재생산 과정에의 개입 두 가지로 대별되지만 기술적 차원에서 양자를 구별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양자 모두 난자와 배아를 다루는 조작과 개입을 필수적이고도 핵심적인 절차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재생산 기술은 배란, 수정, 착상, 분만 등의 과정이 한 여성의 몸에서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일 필요가 없도록 만들었다. 난자 공여, 배아 공여, 대리모 등의 선택이 가능해진 것이다. 또한 이로써 여성이 남성과 성적으로 결합하여 임신·출산하는 것을 전제로 한 모성 개념이 더 이상 당연한 것이 아니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의 활용은 여성을 그 직접적 대상으로 하며 그 영향에 있어서도 여성의 생물학적·사회적 현실을 뒤흔들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현 재생산 기술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것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여성의 시민권, 특히 재생산 권리와 재생산 건강의 측면에서 평가해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이 기술의 활용에서 여성의 욕구와 건강이 일차적인 고려사항이 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문제제기
  • Ⅱ. 재생산과 여성의 시민권
  • Ⅲ. 페미니스트 과학기술론
  • Ⅳ. 체외수정 기술과 재생산의 분절화
  • Ⅴ. 재생산 기술과 재생산 권리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08 19 장기 조직 이식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 수술 후 출혈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김미형 2015  335
1407 1 윤리학 본회퍼 『윤리학』 에서 자연적 생명의 권리에 대한 연구 / 김영수 2015  335
1406 12 낙태 공적개발원조(ODA) 출산조절을 통해 본 수원국 여성 행위자 : 라오스 터울조절과 라오룸(Lao-loum)족 여성들의 낙태를 중심으로 / 김양희 2016  335
1405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교육으로서의 로봇윤리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 변순용, 송선영 2014  336
1404 17 신경과학 뇌 과학의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 유경동 2014  336
1403 18 인체실험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등가상태"의 개념과 그 의의 / 홍세훈 2013  336
1402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지식재산권법학의 미래 / 정진근 2016  336
1401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전문직에 대한 태도 조사연구 / 김명희 1985  337
1400 2 생명윤리 고등학교 생명윤리 교육의 연구 / 김현진 2004  337
1399 9 보건의료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의 타당성 고찰 : 합헌성에 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이산해 2014  337
139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가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한 이유 / 김경운 2011  337
139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인간의 인격개념 사용 문제 : 신학적 인간학의 인격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김태오 2017  337
1396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고에 대한 경험 / 이미준, 강희경 2019  337
139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임무와 운영 / 김용진 2013  338
1394 8 환자 의사 관계 양방의료행위와 한방의료행위의 의의 및 중첩 양상에 관한 판례의 태도에 대한 고찰 / 백경희, 장연화 2014  338
1393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윤리에서 위험과 불확실성 / 서정임 2014  338
1392 1 윤리학 이항녕 선생과 법과 도덕 : 생명윤리법을 중심으로 / 이인영 2013  338
1391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유형과 인권감수성/김성은 2015  338
1390 1 윤리학 생명존중문화를 고양시키기 위한 기독교 책임윤리 : 한스 요나스와 윌리엄 슈바이커를 중심으로 / 홍동엽 2016  338
1389 2 생명윤리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경험 정도와 생명윤리의식과의 관계 / 문미영 2015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