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幼兒敎育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111418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이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 및 활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
= he influ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R-Learning based education on teacher`s robot application ability and application Level

                                   

  • 저자명

    이연승 ( Yeon Seung Lee ),강민정 ( Min Jung Kang )                                                     

  •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 권호사항

    Vol.34 No.4 [2014]                                                        

  •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sece.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511-526(1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1                                                                                   

  • 초록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기관 내 로봇기기 현황과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 실태를 파악하고,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이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 및 수업에 로봇을 활용하는 정도에 ...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기관 내 로봇기기 현황과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 실태를 파악하고,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이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 및 수업에 로봇을 활용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로봇을 활용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 중 ``교사의 지도와 관리가 용이한 장소에 로봇 비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로봇기반교육과 관련된 교재 및 교구 구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과 로봇활용 능력, 그리고 수업에 로봇을 활용하는 정도가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관련성이 있으며, 로봇활용 능력과 로봇활용 정도의 상관계수가 매우 높은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로봇기반교육에서 로봇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컴퓨터 수가 많을수록, 물리적 환경의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물리적 환경이 다른 변수들보다 상대적인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로봇기반교육에서 물리적 환경의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가 수업에 로봇을 활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로봇활용 수업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실행을 위해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으며, 향후 로봇기반교육 정책 수립 시 물리적 환경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주장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388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19
3387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9
3386 1 윤리학 건강보험 재정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은경 2018  119
3385 9 보건의료 위암 한약제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한약제제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시험 고찰 / 한가진 외 2017  119
3384 17 신경과학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김남주 2018  119
3383 17 신경과학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와 댓글 분석: 자살예방 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 2019  119
3382 15 유전학 Council of Europe adopts protocol on genetic testing for health purposes 2009  120
3381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일본의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및 과제/치주루가부모토 2014  120
3380 9 보건의료 의약품 정의와 재분류에 대한 법적 연구 / 2012  120
3379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의 경제적 가치분석 : 이차전지 산업을 중심으로 / 배성훈 2015  120
3378 9 보건의료 의료용 케어로봇과 환자 간의 서사와 공감 관계의 가능성 / 송선영 2017  120
»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이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 및 활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이연승 2014  120
337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DNR) 결정에 대한 통합적 고찰 / 김상희, 이원희 2011  120
3375 15 유전학 유도만능줄기세포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이영희 2008  120
3374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비급여 의료행위에 대한 의료기관별 가격과 제공량의 관련요인 분석 / 박정훈 2017  120
3373 1 윤리학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문주 2017  120
3372 2 생명윤리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간호연구의 동향 / 최미선 2018  120
3371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 심리사회적 지지와 죽음준비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합감, 삶의 질의 매개효과 검증 / 조창운 2018  120
3370 20 죽음과 죽어감 젊은이의 죽음은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쁜가? / 김한승 2017  120
336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형이상학으로부터 공동체적 삶의 연대로 / 권수현 2018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