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382617 
저출산 관련 예산분석을 통한 정책적·비정책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아리마분석을 사용하여

                               

  • 저자

    정다운                                       

  • 형태사항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한동호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경성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정책학 2017. 2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what factors actually affected the fertility rate and to propose feasible policy measures against low fertility in Korea. The time range of the research is between 1970 and 2015, The space range of the researc...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what factors actually affected the fertility rate and to propose feasible policy measures against low fertility in Korea. The time range of the research is between 1970 and 2015, The space range of the research is Korea. We examine various factors pointed out as the factors of low fertility as policy factors and non-policy factors The data us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Policy factors analyzed the budget for childbirth-related appropriations for each year from 1970 to 2015. For non-policy factors, related statistics from 1970 to 2015 were collected and used.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Arima time series analysis by collecting the birth-related budget, which is used as a variable of policy factors, and the non-policy factor, birth-related statistics by year. As a result,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factors - the increase in the net population adjustment budget and the net birth incentive budget- and total fertility rate was zero. In other word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olicy factors - the increase in the net population adjustment budget, the net birth incentive budget and the total fertility rate This indicates that the government has invested a lot of money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but it can be seen that there has been little increase in the budget for the pure population and the budget for the promotion of net fertility, which are direct budgets that can increase the total fertility rate. Second, among the non-policy factors, the wife's first marriage age and youth unemployment rate were found to affect the total fertility rate. The higher the age of first marriage, the shorter the period of childbearing. Therefore, it affects the fertility rate. The youth unemployment rate also has an effect on the total fertility rate with a time lag of three years. Among the non-policy factors, the most prominent are the number of wedding figures, the ratio of education expenses,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umber of wedding figures, the ratio of education expenses,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did not affect the total fertility rate, but the relation of time after time was reversed, the total fertility rate affected the number of wedding figures, the ratio of education expenses,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wedding figures, a higher the ratio of education expenses, and a lower the participation rate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due to the total fertility rat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use the budget for low birthrate measures in a concentrated area with more accurate objective. And it is the biggest significance of the study, which has found that various non-policy factors are not directly affecting the results of the low birthrate, but the possibility that other mediating factors could exist.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절 연구의 목적 1
  • 제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1. 연구의 범위 5
  • 2. 연구의 방법 5
  • 제 2 장 이론적 논의 및 선행 연구 6
  • 제 1절 저출산의 원인에 대한 선행연구 6
  • 1. 국외 저출산 선행연구 6
  • 2. 국내 저출산 선행연구 16
  • 제 2절 저출산 해결 방안에 대한 해외 사례 27
  • 1. 프랑스의 저출산 대책 27
  • 2. 스웨덴의 저출산 정책 39
  • 3. 독일의 저출산 정책 43
  • 4. 해외사례의 시사점 45
  • 제 3절 연구 분석의 틀 48
  • 1. 연구 분석의 틀 48
  • 2. 분석 방법 49
  • 제 3 장 저출산현상의 현황 및 문제점 50
  • 제 1절 저출산현상 현황 50
  • 1. 현황 50
  • 제 2절 저출산현상의 문제점 54
  • 1. 생산가능 인구 감소 54
  • 2. 부양비 증가 56
  • 3. 학령인구 감소 및 군인 수 감소 58
  • 제 3절 저출산의 비정책적 요인 61
  • 1. 인구학적 요인 61
  • 2. 경제적 요인 68
  • 3. 사회문화학적 요인 76
  • 제 4절 저출산 대책의 정책적 요인 86
  • 1. 가족계획의 개념 86
  • 2. 가족계획의 필요성 87
  • 3. 정부 주도 가족계획사업 이전 시기 88
  • 4. 정부 주도 가족계획사업 시기 91
  • 5. 인구정책의 변환기(1996년~2003년) 99
  • 6. 정부의 출산 장려 정책시기(2004년~2020년) 101
  • 제 4 장 저출산 대책 효과분석 114
  • 제 1절 저출산과 관련된 정책적 요인 114
  • 1. 정책적 요인 114
  • 제 2절 저출산과 관련된 비정책적 요인 120
  • 1. 인구학적 요인 120
  • 2. 경제적 요인 121
  • 3. 사회문화적 요인 123
  • 제 3절 저출산 정책 예산분석 125
  • 1. 한 변수 모형짓기 125
  • 2. 여러 변수 모형짓기 129
  • 제 4절 저출산 비정책적 요인 분석 133
  • 1. 한 변수 모형짓기 133
  • 2. 여러 변수 모형짓기 143
  • 제 5 장 결론 161
  • 제 1절 요약 161
  • 1. 정책적 요인 한 변수 모형짓기 161
  • 2. 정책적 요인 여러 변수 모형짓기 162
  • 3. 비정책적 요인 한 변수 모형짓기 162
  • 4. 비정책적 요인 여러 변수 모형짓기 165
  • 제 2절 시사점 168
  • 1. 합계출산율과 인구 정책 예산 168
  • 2. 합계출산율과 비정책적 요인 169
  • 3. 정책제언 172
  • 참고문헌 176
  • <부록 1> 정책적 요인 사용변수 187
  • <부록 2> 비정책적 요인 사용변수 18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6
4148 1 윤리학 논문 : 미국 로스쿨의 임상법학교육이론과 방법론 -우리나라 임상법학교육의 전망과 과제- / 전해정 2008  74
4147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 사전심사에서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을 연구자적 입장에서 고찰 / 고재환 2018  74
414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연구개발사업 유형별 경제성평가항목 우선순위 도출 연구 /민희은 외 2017  74
4145 9 보건의료 암생존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 /이인정 2018  74
4144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 시행의 의의와 과제 / 이상일 2016  74
4143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자율성에 관한 논의/모효정 2014  74
4142 17 신경과학 의식에 대한 신경철학적 논란과 교육인식론의 과제 / 한일조 2019  74
4141 14 재생산 기술 코호트 완결출산율 분석 결과와 시사점 / 신윤정 2019  74
4140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제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미국을 중심으로 / 이송호, 정일환 2018  74
4139 5 과학 기술 사회 독점금지법상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 손진화 2009  75
4138 9 보건의료 건강관련정보(data concerning health)의 활용과 문제점 / 최규진,김병수 2017  75
» 13 인구 저출산 관련 예산분석을 통한 정책적·비정책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아리마분석을 사용하여 / 정다운 2017  75
413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를 통해 보는 한국적 사생학 구축을 위한 연구 / 지영임 2017  75
4135 5 과학 기술 사회 정보화시대의 지능형로봇 연구동향 / 백문홍 외 2008  75
4134 20 죽음과 죽어감 취약한 집단에서 연명의료 / 박소연 2017  75
4133 14 재생산 기술 이완술이 시험관아기 시술을 받는 불임여성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박점미 2000  75
4132 5 과학 기술 사회 남성돌봄자 증가와 젠더질서의 역동 : 일본남성의 노인돌봄을 둘러싼 담론과 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 지은숙 2017  75
4131 2 생명윤리 생명공학과 윤리 / 김명균 외 2017  75
413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조민석 2016  75
4129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죽음 교육 전과 후의 웰다잉 인식과 결정에 관한 연구 / 송현동 외 2018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