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41855 
비영리단체 돌봄사업의 가능성과 한계 : YWCA 돌봄사업구조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 저자

    구정혜                                       

  • 형태사항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한성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 사회복지학과 저출산고령사회복지 전공 2017.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비영리단체의 돌봄사업이 공공영역과 영리영역과는 구별되는 차별화된 특징을 통해, 이것이 돌봄서비스의 질과 돌봄일자리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
  • 본 연구는 비영리단체의 돌봄사업이 공공영역과 영리영역과는 구별되는 차별화된 특징을 통해, 이것이 돌봄서비스의 질과 돌봄일자리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비영리단체의 돌봄사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급격한 저출산, 고령화 현상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율이 높아지면서 우리 사회에서 사회적 돌봄에 대한 욕구가 상승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사회서비스 도입과 확대를 일자리 확충과 민간 중심의 시장 확대를 통한 공급효율화라는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추진해왔다. 이러한 정책은 돌봄사회서비스 일자리를 저임금, 비숙련, 비정규 일자리로 고착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때에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돌봄사회서비스의 질과 돌봄일자리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돌봄사회서비스의 공공성 확보와 전달체계이다. 우리 사회에서 사회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없었을 때부터 비영리단체는 돌봄서비스 직종을 개발하여 취약계층 여성들을 훈련시키고 취업을 알선하여 사회서비스를 제공해왔다. 비영리단체가 돌봄사회서비스 분야의 선도적 활동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돌봄시장 영역에서 비영리단체의 활동은 위축되어 있다. 공공부문을 제외한 비공식 민간시장에서 비영리단체가 차지하는 비율은 5% 미만이다. 돌봄사업을 하는 비영리단체는 대부분 무료소개사업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최근 돌봄시장의 경쟁구도 속에서 무료소개사업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으며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비공식 노동이 공식화 되는 과정에 시장화가 주요 기제가 됨으로서 비영리의 가치와 배치되는 영리화를 요구받고 있는 것이다. 현 정부도 공공일자리 확대를 최우선 국정과제로 삼고 사회서비스 영역의 공공일자리를 확대하겠다고 했지만 이는 현재 돌봄산업의 60% 이상 존재하고 있는 비공식 돌봄노동을 공식화 하고 돌봄사회서비스의 질을 담보한 좋은 일자리로서의 공급체계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지 않고서는 무의미하다. 선행연구자료 분석에 의하면 현재의 돌봄사회서비스 산업이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우리 사회에 바람직한 사회서비스 환경이 조성되기 위해서는 돌봄사회서비스의 공공성 확보를 기반으로 한 공급체계 개편, 서비스 제공자의 노동권과 사회권 확보, 서비스의 표준화와 전문화를 기반으로 한 공식화, 보편적 복지로의 확대와 사회적 인식 제고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는 곧 돌봄사회서비스의 질, 일자리의 질 제고와 관련된 것으로, 사례연구를 통해 드러난 비영리단체의 돌봄사업이 가진 장점 또는 차별성으로 부각되는 특징이 이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여지며 더 나아가 사회적인 정책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비공식부문 돌봄의 공식화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사례연구를 통해 알아본 비영리단체의 돌봄사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회원 기반의 공동체성을 견지한 돌봄사업을 진행함으로서 돌봄노동자와 조직의 관계가 단순히 알선 관계가 아닌 조직의 회원으로서 상호 지지 관계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둘째, 직업훈련의 역사 가운데 축적된 훈련 교재와 엄격한 교육훈련 과정이다. 셋째, 조직의 사회적 목적 지향성은 조직의 공신력뿐만 아니라 돌봄회원들의 자긍심과 만족도를 높여 서비스 현장에서 책임감을 갖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중앙조직을 중심으로 지역 기반의 서비스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다. 다섯째, 사회복지의 초기단계에서부터 협력자이자 비판자로 꾸준히 지속해온 정부와의 파트너십 관계는 돌봄사회서비스 정책의 방향 설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섯째, 조직이 갖는 돌봄사업에 대한 책임감과 사명감은 시대적 변천과 여성들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 연구와 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돌봄사업을 지속가능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돌봄사업의 변화의 흐름 속에서 비영리단체는 공급체계의 형태를 유료직업소개사업,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의 형태로 전환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사례조직인 한국YWCA의 경우 공급형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비영리조직의 차별성과 장점들이 그대로 유지되는 가운데 운영되고 있었는데, 이러한 특징들이 돌봄사업의 개선에 영향을 미치며 사업의 지속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는 반증으로 보여진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4
  •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8
  • 제1절 돌봄의 개념과 돌봄노동의 특징 8
  • 1. 돌봄과 돌봄사회서비스의 정의 8
  • 2. 돌봄의 공적가치 11
  • 3. 돌봄노동의 속성과 좋은 돌봄 14
  • 제2절 돌봄사회서비스의 제도화 방향 17
  • 1. 고용 중심의 사회서비스 정책 17
  • 2. 돌봄사회서비스 일자리의 질 21
  • 1) 괜찮은 일자리의 개념 21
  • 2) 돌봄사회서비스 공급체계와 일자리의 질 23
  • 제3절 돌봄사회서비스 일자리의 환경변화 31
  • 1. 돌봄사회서비스의 사회적경제로의 진입 31
  • 2. 가사노동자의 법적 권리 보장운동 40
  • 1) 비공식 돌봄노동으로서의 가사노동 40
  • 2) 가사노동 공식화를 위한 법, 제도 개선 42
  • 3) 가사서비스 이용자의 인식 개선 49
  • 4) 가사노동권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 연대활동 50
  • 5) 국가인권위원회 비공식부문 가사노동자 노동권 보호 권고 52
  • 제3장 사례연구 55
  • 제1절 한국YWCA 역사와 현황 55
  • 제2절 한국YWCA의 직업훈련과 돌봄사업의 흐름 57
  • 1. 돌봄직종을 포함한 직종개발 및 직업훈련 57
  • 2. 여성일자리 창출을 위한 돌봄사업 수행 60
  • 3. 사회서비스 정책에 따른 돌봄사업 변화 61
  • 4. 돌봄회원 주체성 고양을 통한 돌봄노동 사회화 운동 68
  • 5. YWCA 돌봄사업의 특징 75
  • 제3절 한국YWCA 돌봄사업의 공급체계 변화 양상 81
  • 1. 훈련과 알선 중심 무료직업소개사업 81
  • 1) 무료직업소개소 81
  • 2) YWCA 무료직업소개사업의 한계 84
  • 2. 사회적 일자리 참여- 돌봄사회적기업 87
  • 3. 영리사업 전환가능성 모색 - 사회서비스선도사업 95
  • 4. 새로운 돌봄사회서비스 모델 개발-모두를 위한 정의와
  • 사회복지서비스 모델(JW) 99
  • 5. 과도기적 유료소개사업으로의 전환 102
  • 6. JW모델 시범사업-협동조합으로의 전환 107
  • 7. YWCA 돌봄사업 공급체계 전환사례 분석 112
  • 제4장 결론 121
  • 1. 연구 결과 121
  • 2. 제언 125
  • 3.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과제 128
  • 참고문헌 129
  • ABSTRACT 139
  • 연구윤리서약서 14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648 18 인체실험 우리나라 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 현황 / 김옥주 2002  146
1647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보 관리자의 데이터 분석 능력 향상을 위한 색인 검색 프로그램 활용 방안 / 최준영 2018  145
164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연구 / 박미정 2018  145
1645 9 보건의료 바이오시밀러 임상시험에서 주평가변수가 이분형인 경우 평가방법 비교 : Risk Difference와 Risk Ratio / 길하영 2018  145
1644 12 낙태 낙태행위의 법적 체계와 그 이해 / 신동일 2018  145
1643 9 보건의료 예외적 보건 위기와 위기 상황의 차단 - 프랑스 감염병 관리 및 위기 대응 체계를 중심으로/ 박혜미, 김대중 2017  145
1642 9 보건의료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노인환자의 의료이용량 / 이용재 2017  145
» 16 환경 비영리단체 돌봄사업의 가능성과 한계 : YWCA 돌봄사업구조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 구정혜 2017  145
1640 9 보건의료 한미 FTA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바이오의약품 적용여부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2  145
1639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와 유언능력의 판단/김현진 2017  145
1638 9 보건의료 의약품 거래규제에 관한 일고찰 / 이종인, 이승신 2012  145
1637 12 낙태 출산정책과 낙태규제법의 이념과 현실 / 이인영 2010  145
1636 15 유전학 유전정보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특허 / 박영규 2009  145
163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인간지능` 개념에 대한 철학적 분석 시도 / 김형주 2016  145
1634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Advance Directives) 모형 개발을 위한 실증 연구 / 홍성애 2010  145
1633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치료 기술분야 특허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최호성 외 2013  145
1632 4 보건의료 철학 The Ethics of For-profit Healthcare and Medical Tourism in South Korea/John Michael Mcquire 2016  145
1631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02 - '유전자원접근과 이익공유' 법적 근거 마련/김행원 2011  145
1630 9 보건의료 맞춤의료를 위한 체외진단다지표검사(IVDMIA)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연구 / 최준석 2015  144
1629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저널리즘의 윤리 기준에 대한 제언/조병욱, 박병원 2017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