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372818 

기혼 여성의 난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social interaction of the women while experiencing infertility

                                         

  • 저자

    정영민                                       

  • 형태사항

    101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강선경
    참고문헌: p. 88-9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7. 2

  • DDC

    361 23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난임은 우리사회가 근래에 들어 주목하기 시작한 사회문제로, 저출산 현상이 사회적 위기라는 담론이 부상하고 사회구조적으로 만혼이 증가하면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맥...
  • 난임은 우리사회가 근래에 들어 주목하기 시작한 사회문제로, 저출산 현상이 사회적 위기라는 담론이 부상하고 사회구조적으로 만혼이 증가하면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기혼여성들이 난임 체험 중에 자신의 생태환경과 주고받는 상호작용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난임여성을 위한 사회복지 차원의 개입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혼여성들의 난임 체험 중 사회적 지지 체계와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해 당사자의 시각에서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하여 난임을 경험한 기혼여성 6명의 체험담을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이를 질적 연구방법 중에서 지오르지(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혼여성의 난임경험은 이들이 처한 생태환경 속에서 사회구조적으로 구성됨이 나타났다. 난임 체험 중에 기혼여성들은 출산에 우호적인 이데올로기(pronatalism)와 가부장주의 및 발전하고 있는 현대 보조생식술이 야기하는 난임의 의료화(medicalization)가 다소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적 맥락 안에서 사회적 행위자로서 자신의 생태환경에 대응하면서 사회적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조정해나가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난임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지지는, 사회 환경 차원의 맥락이 난임여성에게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그러한 부정적 영향을 줄이려는 사회적 노력에서 시작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그러한 노력은 난임과 난임여성에 대한 시각을 전환하는 데에서 출발하여 사회구성원 모두의 삶의 단계를 소중히 여기는 사회를 조성해나가는 방향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는 난임여성들의 권익을 옹호하고 신장시키기 위함에 더하여 보편주의적 사회복지 개입이 취해야 할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48 5 과학 기술 사회 보건의료분야 리베이트 규제의 현황 및 개선방향 / 김한나 외 2014  64
347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문화의 맥락에서 본 웰다잉의 조건과 방식 / 유권종 2008  64
346 9 보건의료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전달기법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2014  64
345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 관련 국제 특허성 연구(I) / 김소윤 2016  64
» 14 재생산 기술 기혼 여성의 난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정영민 2017  64
343 18 인체실험 줄기세포기반치료에 대한 미국의 규제 경향 고찰 / 박수헌 2016  64
342 19 장기 조직 이식 Mental Health Among Living Kidney Donors: A Prospective Comparison With Matched Controls From the General Population 2015  64
341 15 유전학 The challenge of personal genomics in Germany 2013  64
340 9 보건의료 보건의료의 위기와 한국 건강보험의 뉴 패러다임 선택 / 김명희 2014  64
339 9 보건의료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에 따른 외상 후 성장 / 김미영 2019  63
338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 방안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김유호 2018  63
337 9 보건의료 지능형 헬스케어 플랫폼 산업 및 국제 표준화 동향 / 김양중 2017  63
336 9 보건의료 고령사회에 대응한 보건의료체계 개편의 시급성 / 박은철 2018  63
335 13 인구 저출산 시대, 지역사회 위기극복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 서동희 2017  63
334 9 보건의료 입원환자의 위급 상황 시 위치추적이 가능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나한범, 장영주 2015  63
333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 관리 및 연구에 관한 법제와 개선방안 2010  63
332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
331 20 죽음과 죽어감 종교유무에 따른 한국인의 ‘연명의료’ 결정과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2017  63
330 15 유전학 CRISPR in the media 2017  63
32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스마트기술과 표준화 전략 / 이상동 2016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