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56071 
의약품 품질보증 시스템에서 Quality by Design 적용

                           

  • 기타서명

    Application of Quality by Design in pharmaceutical quality assurance system

  • 저자

    이혜민                                       

  • 형태사항

    vii, 56 p. ; 26 cm.

  • 일반주기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 :홍진태
    참고문헌 (53-54 p.)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약학과(원) 2014. 8

  • KDC

    518.44 5

  • 발행국

    충청북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4                                                                                                                                                   

  • 소장기관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In this study, “Quality by Design (QbD)”system was investigated as a current GMP upgrade trend in the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Furthermore, it was included on the fundamentals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QbD, implementation process, curren...
  • In this study, “Quality by Design (QbD)”system was investigated as a current GMP upgrade trend in the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Furthermore, it was included on the fundamentals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QbD, implementation process, current status in foreign pharmaceutical advanced countries, and comparative study of pharmaceutical quality assurance system between conventional approach and QbD based approach. Guidelines, implementation process and current status in foreign pharmaceutical advanced countries were investigated on the FDA, ICH (ICH Q8 R2), and EMA. In manufacturing process of solid oral dosage forms, the qualitative and financial differences between conventional approach and QbD based approach were studied by predictive modeling method. Investigating the precedential QbD implementation in the pharmaceutical advanced countries, for the advance in pharmaceutical quality assurance system, the QbD would improve the efficiency and flexibilit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while maintaining the high quality of pharmaceuticals products. As the results of predictive case study in the solid oral dosage forms, the conventional approach had a tendency to guarantee quality of pharmaceutical products by restricting various process parameters through the manufacturing process validation. It was just to focus on the optimization and reproducibilit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Meanwhile, the QbD based approach could guarantee the quality by the flexible and efficient methods centered at robustness, based on understanding of pharmaceutical products and processes. In detail, QbD based approaches could enhance productivity through shortening of process time related to the conventional approach and could manage the risk assessments through a design space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content uniformity and processing time in the mixing unit proces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moisture content and processing time in the drying unit process. The study presents QbD based approach could make the essential benefits in terms of pharmaceutical regulatory affair, drug development, manufacturing process, quality control and assurance system. Therefore it suggests the implementation of QbD should be acted in the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through the social consultation with the Korean regulatory authorities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GMP제도 도입배경 1
  • 2. QbD제도 도입의 국내 및 국외현황 6
  • 3. 연구 목적 11
  • Ⅱ. 방 법 12
  • 1. FDA, ICH, EMA 품질지침 자료조사 12
  • 2. 국내외 기존 연구결과 문헌조사 12
  • 3. 위험평가 및 실험설계 분석 12
  • 4. 공정능력지수 및 공정능력 분석 13
  • Ⅲ. 결 과 14
  • 1. FDA, ICH, EMA 품질지침 분석 14
  • 2. QbD방식의 일반적인 단계 및 현행방식과 QbD방식 비교 25
  • 3. 고형제 제조공정에서 현행방식과 QbD방식 비교 32
  • 4. 현행방식과 QbD방식 Benefit 비교 43
  • Ⅳ. 고 찰 49
  • Ⅴ. 결 론 52
  • Ⅵ. 참고문헌 53
  • Ⅶ. 영문요약(초록) 5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908 14 재생산 기술 여성의 난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기다림과 만남” / 정영민 외 2017  94
3907 12 낙태 출산억제정책으로서 모자보건법과 낙태에 대한 반성적 접근 / 김성진 2010  94
3906 9 보건의료 돌발성 암성 통증 약물 선택 요인과 사용 경험: 의사 대상 설문조사 / 신진영 외 2018  94
3905 7 의료사회학 의료전달체계 권고안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좌훈정 2018  94
3904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윤리와 의사면허 / 권복규 2016  94
3903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의 발전과정에 대한 행정법적 대응 /박용숙 번역 2018  94
3902 20 죽음과 죽어감 Sun-390 : 암환자에서 사전연명의료계획서의 작성과 호스피스 이용 / 김진항 외 2018  94
390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에 있어서 간동맥 재건을 위한 특수 미세혈관수술교육의 효과 : 미세수술교육부터 임상적용까지 / 허위광 2010  95
390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와 사전의료지시서 / 이재경 2008  95
3899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공공성 향상 방안 : 비교제도론을 통한 지역 연구윤리위원회 도입 검토를 중심으로 / 이경훈 2016  95
3898 9 보건의료 의료전문직의 이윤추구 동기가 의료재정정책과정에 미치는 영향 / 최희경 2010  95
389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일자리, 과학기술 / 정명애 2016  95
3896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규제 입법에 대한 각국의 현황과 그 영향 / 하정옥 2016  95
3895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관리 통합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이동희 2017  95
389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적 허용여부 논의를 위한 한국적 논의 모형 제안 2000  95
3893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빅 데이터를 활용한 종합병원에서의 포괄수가제 적용 전·후 재원일수와 진료비의 변화 / 정수진, 최성우 2017  95
3892 5 과학 기술 사회 왓슨의 진단 조력에 대한 현행법상 형사책임에 관한 소고 / 장연화 2017  95
389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교통데이터 처리ㆍ제공을 위한 플랫폼 개발 필요성 / 양충헌 2018  95
3890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상 환자안전사고의 범위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95
3889 12 낙태 A critical assessment of abortion law and its implementation in South Korea / 김효신 외 2018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