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1 윤리학 조회 수 129 추천 수 0 2017.09.22 14:54:1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哲學論叢(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306593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 Consistency of Peter Singer's Ethical System


  • 저자명

    김성한(Kim, Sung-Han)

  • 학술지명

    哲學論叢(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 권호사항

    Vol.70 No.- [2012]

  • 발행처

    새한철학회(영남철학회@@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 발행처 URL

    http://www.saehanphilosophy.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29-250(2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2년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1

  • 주제어

    선호 공리주의 ,윤리 ,이익 동등 고려의 원리 ,일관성 ,피터 싱어 ,consistency ,ethics ,Peter Singer ,preference utilitarianism,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주)누리미디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동물해방』으로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된 피터 싱어는 이익 동등 고려의 원리 또는 선호 공리주의를 도덕 판단의 궁극적인 기준으로 삼아 이를 현실 문제에 일관되게 적용하고 있는 철학자다. 이와 같이 공리주의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그는 동물에게 일정한 도덕적 지위를 부여할 수 있었고, 빈곤의 문제에 더욱 적극적인 관심을 촉발해 낼 수 있었다. 하지만 인간의 생명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의 기존 관념을 다소 벗어나 일부 인간의 낙태와 안락사를 사실상 허용하는 입장을 취함으로써 사람들의 비난을 사기도 했다. 한편 그는 이익 동등 고려의 원리가 진리임을 보이기 위해 규범 윤리학적인 노력 외에 진화론적 사실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그가 다양한 현실 문제에 이러한 원칙을 적용하는 것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 할 것이다. 이밖에 그는 사유를 바탕으로 한 실천을 지향하는 실천적 윤리학자로서의 면모를 보이는데, 이 모두는 일관성이라는 틀 속에서 유기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이익 동등 고려의 원리가 궁극적인 선택 기준으로서의 자격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싱어의 노력, 그리고 이러한 원리를 일관성 있게 현실 문제에 적용하고자 하는 싱어의 구체적인 입장을 정리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48 15 유전학 의과학기술에서 본 생명과 행복 - 최근 발달된 크리스퍼기술을 중심으로 / 남명진 2018  131
1447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요인 / 배진현 2018  131
1446 17 신경과학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지은 외 2017  131
144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철학 상담 / 정영기 외 2017  131
1444 18 인체실험 마취와 관련된 임상시험에의 참여 요구 시 수술이 예정된 환자가 받는 심리적 부담이 환자의 기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김상덕 2012  131
1443 19 장기 조직 이식 미국 정부, 장기이식 연구에 2억 달러 투자 / 안형준 2016  131
1442 2 생명윤리 [시론] 생명의 가치와 삶의 질/정재우 2016  131
1441 8 환자 의사 관계 사회행동과학연구(SBR)의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도덕 판단 원리로서 ‘공감’의 의의 / 김진경 외 2016  130
144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의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연숙 2000  130
1439 14 재생산 기술 IVF로 세쌍둥이를 임신한 여성의 임신오조 치험1례 / 김정아 외 2015  130
1438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동향 / 박길하 2017  130
1437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1436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 : 연명 치료 중단을 중심으로 / 김태성 2009  130
1435 9 보건의료 환자 맞춤형 의약품 투약량 적정성 제공 시스템 / 김정훈 2019  129
1434 10 성/젠더 한국 직장기혼여성의 출산의도 영향요인 연구 : 노동 및 젠더 요인을 중심으로 / 박소영 2019  129
143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 박상철 2018  129
1432 20 죽음과 죽어감 “내가 죽으면”: 초고령화 일본사회에서 생명정치와 죽음윤리 / 김희경 2018  129
1431 9 보건의료 정치경제학으로 한국의 건강과 보건의료 들여다보기 / 우석균 외 2017  129
1430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적 해석을 통한 자기결정권의 재고 : 존엄사를 중심으로 / 김태일 2012  129
1429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