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74619 


일차의료 코호트에서 가족기능이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기타서명Family Functioning in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in a Primary Care Cohort
저자최은정
발행사항울산 :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형태사항vii, 58 p. : 삽화 ; 30 cm
일반주기명참고문헌(p. 51-54) 수록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박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5. 2
발행국울산
언어한국어
출판년2015
주제어가족 기능,가족 적응력-결속력 척도,대사증후군
소장기관울산대학교 도서관 (248009)
초록연구 배경: 가족은 물리적, 유전적, 정신사회적 환경을 공유하므로 건강 문제의 발생이나 치료 및 예방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족 기능을 객관적인 수치로 평가하고, 이에 따른 질병의 발생을 전향적으로 관찰한다면 가족의 정신사회적인 요소가 질병의 발생에 작용하는 여부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 적응력-결속력 척도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FACES III)라는 표준화된 가족기능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일차의료 코호트 내에서 가족기능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발생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전국 23개 대학병원 26명의 가정의학과 전문의들에 의해2009년 4월부터 2011년4월까지 30세 이상의 성인부부 총 1,034명이 일차의료 가족 코호트에 등록되었다. 이 대상자들의 가족기능 설문 결과를 이용하여 결속력과 적응력 척도의 평균값을 포함한 분포도를 구하였고 Olson의 원형모형 분포와 비교하였다. 가족기능의 두 척도를 각각 사분위수로 나눈 뒤 적응력 척도는 곡선형 가설을, 결속력 척도는 선형가설을 취하여 범주화하였고, 이를 종합하여 가족기능 형태를 조화형, 중간형, 극단형 세 가지로 범주화하여 대사증후군의 발생을 관찰하였다

자기 기입식 설문지와 병력청취 및 진찰, 신체계측 및 혈액검사를 통해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조사하였고, 가족기능은 한국어로 표준화된 20문항의 FACES III로 평가하였다. 대사증후군의 기준은 2009년 통합된 기준을 사용하였다.

대사증후군 발생의 상대위험도는 콕스 비례위험 모형으로 산출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ver. 21.0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검정은 0.05미만을 유의수준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한번 이상의 추적 관찰이 가능했으며, 가족기능 설문을 완료하였고 대사증후군을 평가하는 데 필요한 5가지 자료를 모두 갖춘 총 671명 중에서 245명이 등록 시점에서 대사증후군에 해당하였고, 이를 제외한 426명을 최종 코호트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7.5세, 성별은 남성이 전체의43.4%였다. 체질량지수는 평균 23.6kg/m2으로 비만에 해당하는 경우가 26.6%였다. 추적 관찰기간은 967인?년(person?years)이었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27.2개월이었다. 관찰기간 중에 새로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된 경우는 114명으로 1,000인?년 당 누적발생율은 117.8명이었다. 가족 기능의 결속력 점수가 낮은 군은 높은 군에 비해 대사증후군의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으며(RR=1.57, 95% CI 1.07-2.30) 가족기능 형태로 보면 조화형인 군에 비해 극단형에 해당하는 경우 대사증후군의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다. (RR=2.40 95% CI 1.39-4.13)

코호트 등록 당시의 대사증후군의 개수에 대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위험인자가 2개인 고위험군을 제외한 나머지 244명으로 하위집단 분석을 했을 때, 대사증후군 발생은 총27명, 추적관찰기간은 577인?년, 누적발생율은 1,000인?년 당 46.8명이었다. 하위집단 분석에서도 결속력 척도 점수가 낮을수록 대사증후군의 발생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경계역의 유의성이 있었다(P=0.060 RR=2.13 95% CI 0.97-4.71). 적응력이 양극단에 해당하는 경우 25~75분위수에 비해 대사증후군의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고(RR=2.76, 95% CI 1.20-6.36) 극단형 가족기능으로 분류된 군에서 조화형의 가족기능에 비해 대사증후군 발생이 현저히 높았으나(RR=5.24, 95%CI 1.68-16.31) 이상의 결과는 코호트 등록 당시의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 개수,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 교육수준, 당뇨, 고혈압, 이상지혈증의 과거병력이나 가족력 등 다른 위험요소를 보정하여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RR=7.52, 95%CI 2.00-28.34)

결론: 가족기능은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있어 독립적인 위험요인으로 가족기능이 원활하지 못한 극단형의 경우 대사증후군의 발생이 증가한다.

중심 단어: 가족 기능, 가족 적응력-결속력 척도, 대사증후군
목차 



국문요약 ii

표 목차 v

그림 목차 vi

서론 1

연구 방법 7

1. 연구 대상 7

2. 연구 도구 및 가설 9

3. 연구 자료의 수집 12

4. 연구 자료의 분석 15

연구 결과 19

1. 가족 기능 척도의 분포 19

2. 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 27

3. 대사증후군의 조발생률 및 상대위험도 29

4. 가족기능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의 위험도 31

5. 다변량 분석에서 가족 기능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의 상대위험도 37

고찰 39

1. 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39

2.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44

2. 연구의 제한점 49

결론 50

참고문헌 51

부록 55

영문요약 5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과 존엄사 / 김은철, 김태일

발행년 2013 

  • 조회 수 68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본 호스피스 암환자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호민

발행년 2009 

  • 조회 수 68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받은 여성의 선택적 감수술에 대한 의사결정 경험 / 장혜영

발행년 2014 

  • 조회 수 682

9 보건의료 2015년 메르스 사태의 사회의료학적 조명 / 김문조

발행년 2016 

  • 조회 수 682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 시대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에 관한 연구 : 인간복제를 중심으로 / 이동호

발행년 2002 

  • 조회 수 683

19 장기 조직 이식 길버트 증후군 기증자로부터 시행된 간우엽 생체 간이식에서의 기증자의 안정성 및 수혜자 간기능에 대한 연구 / 강우형

발행년 2016 

  • 조회 수 684

18 인체실험 수컷 생식줄기세포를 이용한 생식독성 동물대체시험법 개발 / 전혜련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685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사회윤리적 접근 : 체세포복제배아(SCNT) 정당성 여부에 대한 합의를 중심으로 / 김경순

발행년 2008 

  • 조회 수 687

14 재생산 기술 치료 발전을 위한 인간복제배아 연구의 허용성 여부에 대한 검토 및 관련 생명윤리법 규정의 타당성 / 오정한

발행년 2013 

  • 조회 수 688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발행년 2011 

  • 조회 수 689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이론적 기초 연구 / 변순용, 송선영, 김현수

발행년 2012 

  • 조회 수 690

18 인체실험 의학연구에서 위험성 평가 :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평가를 위해 고려할 사항들 / 이일학

발행년 2008 

  • 조회 수 691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철학 :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 최경석

발행년 2013 

  • 조회 수 693

9 보건의료 의료인의 의료기관 다중운영 금지 조항의 위헌성 - 의료법 제87조 제1항 제2호, 제33조 제8항을 중심으로 -/김선욱, 정혜승

발행년 2015 

  • 조회 수 693

9 보건의료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 임지연

발행년 2016 

  • 조회 수 695

18 인체실험 공동임상연구윤리위원회(공동IRB) 설립과 초기 운영과정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 대구공동IRB 사례 / 김향미

발행년 2015 

  • 조회 수 701

1 윤리학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의 가능성-마이클 샌델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하여 / 양천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703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대한 이론 윤리학 탐구 : 싱어, 칸트,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 곽영근

발행년 2018 

  • 조회 수 70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발행년 2019 

  • 조회 수 706

9 보건의료 2017년 보건의료정책 현황과 정책과제 / 김남순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