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료기기산업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77678 


한국형 원격의료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저자조한나
발행사항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형태사항112 ; 26 cm
일반주기명지도교수: 이희상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료기기산업학과  2017. 8
발행국서울
언어한국어
출판년2017
주제어원격의료,빅데이터,의료정보,정보통신,개인정보보호
소장기관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초록본 연구에는 한국형 원격의료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이라는 주제를 통해  고령화 사회의 진전과 더불어 급증하는 보건의료 수요에 대하여 보다 정밀한 의료지원에 대하여 정확성 확보와 효율적 운영을 위한 원격의료분야의 의료정보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 하였다. 또한, 추진 중에 있는 원격의료분야에서 ICT 기술융합을 통해 폭발적으로 생성되는 의료정보에 대하여 빅데이터 기반의 의료서비스 활용사례 분석을 통해 아직도 그 접근이 부족한 국내의 원격의료 서비스 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한국형 원격의료정보의 안정적 정착과 효율적인 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
 이와 더불어 원격의료와 관련된 개인정보보호 및 데이터 활용을 대한 선진 의료국가와 국내의 법제 및 제도의 차이분석을 통해 국내 원격진료와 데이터 활용에 있어, 법․제도적 문제점들을 고찰하였으며, 더 나아가 원격의료 분야에 다양한 이해관계자간 상이한 목적과 사용 환경 하에 올바른 의료정보의 활용과 효율적 운영을 위해 가장 근간인 원격의료 정보의 효과적인 운용을 선진 의료국가의 사례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국내의 빅데이터 원격의료분야의 활용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
 세계의 사회(World Medical Association: WMA)는 원격의료를 “원거리로부터 원격통신체계를 통하여 전달된 임상자료, 기록, 기타 정보를 토대로 질병에 대한 중재, 진단, 치료를 결정하고 추천하는 의료행위”라고 정의하고 있다(WMA, 1999).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원격의료를  첫째, 중환자실 환자들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원격진료 사례, 둘째, 만성질환 환자들의 원격진료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례, 셋째, 기타 원격 의료서비스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사례 세 부류로 구분하여 원격의료와 빅데이터와의 사례에 대해 제시 하였다. 
;
 
사례분석 결과 정확한 환자의 상태 파악을 위해서는 환자의 과거 진료기록 및 병력, 가족력 등의 개인 의료정보 관련 빅데이터를 통해 환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다양한 약에 대한 임상실험 결과 및 부작용과 의료조치에 대한 분석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의료행위를 지원하고,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에 더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만성질환자와 원격진료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에서도 원격진료와 환자의 다양한 건강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과를 본 케이스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서울대 간호학과를 중심으로 이뤄졌던 실험에서는 고혈압을 앓고 있는 저소득층 노인들을 대상으로 원격진료를 실시한 사례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만큼 이제는 원격진료가 어느 단계까지 와 있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최근 원격의료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인도에서도 빅데이터를 활용을 통한 원격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내용은 주요 이동수단인 버스와 3G/4G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환자 빅데이터의 수집 및 공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 발생 시 치료에 정보를 활용하는 분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도출 되었다. ;
 이러한 여러 가지 본 사례연구 분석결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라이프 케어 서비스는 미래의 건강, 생활을 예측하고 전망하는 ‘예언가’역할 을 할 것이다. 또한 과거의 접근방법보다 훨씬 체계적이고 정확한 방법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원시적인 의료 접근 방법에서의 가장 최신 진료 방법인 원격진료와 의료계의 변화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머지않아 해결 될 것으로 전망된다.
목차목차 ;
 
;
제 1 장 서 론 1 ;
 
;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및 연구구성 5 ;
 
;
제 2 장 원격의료 시스템 이해와 고찰 7 ;
 
;
  
1. 원격의료 개요 및 체계 7 ;
     
가. 원격의료 개념 및 특징 7 ;
     
나. 원격의료서비스 발전 과정 15 ;
  
2. 주요 국가별 원격의료 발전 배경 및 현황 19 ;
     
가. 미국의 원격의료 발전배경 및 현황 19 ;
     
나. 일본의 원격의료의 발전배경 및 현황 23 ;
     
다. 국내현황 28 ;
  
3. 원격의료 법․제도 관련 이슈 31 ;
 
;
제 3 장 의료정보와 빅데이터 38 ;
 
;
  
1. 빅데이터와 원격의료 38 ;
     
가. 빅데이터 개념 38 ;
     
나. 빅데이터 특성 42 ;
     
다. 빅데이터 핵심기술 46 ;
  
2. 빅데이터와 원격의료 53 ;
     
가. 빅데이터와 원격의료의 연계성 53 ;
     
나. 의료정보 보호와 빅데이터 활용 59 ;
  
3. 주요활용 사례 분석 61 ;
     
가. 중환자실 환자들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원격진료 사례 61 ;
     
나. 만성질환 환자들의 원격진료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례 66 ;
     
다. 기타 원격 의료서비스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사례 73 ;
 
;
제 4 장 종합토의 및 빅데이터 활용 전략 76 ;
 
;
  
1. 종합토의 76 ;
  
2. 원격의료 관점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전략 제안 78 ;
     
가. 만성질환 빅데이터 분석과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전략 78 ;
     
나. 중환자실의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전략 83 ;
     
다. 법제 분석을 통한 환자 의료정보 빅데이터 활용 보호 법안 제언 85 ;
 
;
제 5 장 결 론 91 ;
 
;
참고문헌 9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448 9 보건의료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 김은성 2015  373
3447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 일부 병원에서 환자, 보호자, 의료진의 연명치료 중지 관련 의사결정에 관한 태도 연구 / 권복규 외 8인 2010  373
3446 10 성/젠더 미성년 미혼모와 그 자에 대한 권리보호 - 미성년 미혼모의 성년의제와 그 자에 대한 친권대행 문제를 중심으로 - / 조은희 2018  372
3445 15 유전학 인간배아줄기세포에서 조혈모세포로의 분화법 개발 / 김소정 2018  372
344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법 시행을 앞둔 윤리적 논쟁점과 방향제시 /김광연 2017  372
3443 10 성/젠더 성인여성의 모성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인식전환 단계에 대한 연구 / 최은아 2015  372
3442 2 생명윤리 <연가시>에 재현된 생명정치 : 초국적 자본 그리고 새로운 주권 / 김재철 2013  372
3441 17 신경과학 뇌과학의 발전과 형법적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연구(1) -뇌과학과 형법의 접점에 관한 예비적 고찰 / 탁희성, 정재승, 박은정 2012  372
3440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난임 부부 인식조사 / 김인화 외 2017  371
3439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이 책임과 권한의 주체일 수 있는가/고인석 2012  371
343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2015  371
3437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자녀 동반자살'을 통해 살펴 본 동아시아 지역의 가족 관념 : 한국, 중국, 일본 사회에 대한 비교문화적 접근 / 이현정 2012  371
3436 18 인체실험 말기 암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과 피험자의 자기결정권의 본질 / 송영민 2014  371
3435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연구에서 포괄적 동의 / 이상목 2012  371
3434 9 보건의료 한국의 예술치료와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창곤 2015  371
343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제도의 법적 문제 / 박동진 2005  370
3432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2014  370
»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형 원격의료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조한나 2017  369
3430 13 인구 저출산ㆍ고령사회에 따른 교육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 김주미 2007  369
3429 15 유전학 국제 공공재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의료 / 김한나 외 2016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