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5609940 


임상연구 :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체질량지수가 체외수정시술에 미치는 영향 = Original Articles : The effect of body mass index of on the outcome of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n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저자전균호 ( Gyun Ho Jeon ),김정훈 ( Chung Hoon Kim ),김유진 ( Eu Gene Kim ),김소라 ( So Ra Kim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강병문 ( Byung Moon Kang )
학술지명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권호사항Vol.52No.1[2009]

발행처대한산부인과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75-82
발행년도2009
KDC516
주제어체질량지수,다낭성난소증후군,체외수정시술,Body mass index,Polycystic ovary syndrome,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초록목적: 다낭성난소증후군을 가진 불임여성에 있어 체질량지수가 체외수정시술 성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3년 3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불임클리닉에서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들 중 첫 번째 체외수정시술 주기를 완료했던 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환자를 체질량지수 23 kg/m2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분석 후, 다시 23 kg/m2 이상인 군을 23~25 kg/m2인 군과 25 kg/m2 이상인 군으로 나누어 세 군 간에 체외수정시술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체질량지수가 23 kg/m2 미만인 군과 23 kg/m2 이상인 두 군 간을 비교한 결과 환자의 나이, 기저 혈중 난포자극호르몬농도, hCG 투여 당일 자궁내막 두께는 차이가 없었고, 채취된 난자 및 이식된 배아의 수에서도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체질량지수가 23 kg/m2 미만인 군과 23 kg/m2 이상인 군에서 투여된 유전자 재조합 난포자극호르몬 (recombinant human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hFSH)의 용량은 각각 1,007.87±391.08 IU와 1,863.64±678.55 IU였으며, 과배란유도 기간은 10.10±1.03일, 11.02±1.80일로 23 kg/m2 이상인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0.001). 임상적 임신율은 체질량지수가 23 kg/m2 미만인 군에서 39.5%, 23 kg/m2 이상인 군에서 27.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0.14), 착상률에서는 각각 17.3%, 7.83%로 23 kg/m2 미만인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0.024). 한편, 23 kg/m2 이상인 군을 다시 23~25 kg/m2인군과 25 kg/m2 이상인 군으로 나누어 세 군간 비교하였을 때에도 각 군간 임상적 임신율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rhFSH 투여 용량, 투여 기간은 25 kg/m2 이상인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착상률은 25 kg/m2 이상인 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경계성 유의성을 보였다 (P=0.069). 결론: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체질량지수가 23 kg/m2 이상인 경우 과배란유도에 사용되는 rhFSG 용량 및 투여기간은 증가되고 착상률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 체질량지수는 다낭성난소 증후군 환자들에서 체외수정시술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초록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body mass index (BMI) on the outcome of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 in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Methods: Ninety-six patients with PCOS who completed their first cycle of IVF-ET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All patients were stimulated by GnRH antagonist multi-dose protocol.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one of two groups on the basis of BMI ≥23 kg/m2 vs. BMI <23 kg/m2, and their outcome of IVF-ET was compared. Additionally the patients with BMI ≥23kg/m2 were divided into patient group with 23 ≤BMI <25 kg/m2 and patient group with BMI ≥25 kg/m2, and these three groups were also compared in regard to the outcome of IVF-ET. Results: The total amount and duration of rhFSH administr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COS women with BMI ≥23 kg/m2 than in those with BMI <23 kg/m2 (P<0.001 in both). The implantation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women with BMI ≥23 kg/m2 (17.4% vs 7.8%, P=0.024). When compared three group divided on the basis of BMI <23 kg/m2 vs BMI 23~25 kg/m2 vs BMI ≥25 kg/m2, similar results were showed in women with BMI ≥25 kg/m2, although implantation rate in women with BMI ≥25 kg/m2 was lower with borderline significance (P=0.069). Conclusion: Obesity (BMI ≥23 kg/m2) has a detrimental effect on implantation rate and i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total amount and duration of rhFSH administration for ovarian stimulation in IVF-ET cycle. Consequently BMI may be a predictor for IVF outcomes in patients with PCO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68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자기결정 경험 연구 / 신향숙 2018  123
136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규제법 서설 / 김광수 2018  123
1366 9 보건의료 국민의 적정 부담을 위한 비급여 관리 방향 / 공진선 2017  123
1365 18 인체실험 미성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동의 요건 고찰 : 한국과 미국의 법적규제 중심으로 / 이예리 2014  123
136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을 위한 관리제도 개선방안 / 김원희 2009  123
1363 18 인체실험 전문가들의 미래기술 예측은 왜 빗나가는가? / 박보야나 외 2015  123
1362 2 생명윤리 [학술자료] 인격주의 생명윤리의 전망 안에서 방법의 문제/아드리아노 페씨나, 정재우 2016  123
1361 9 보건의료 의료행위와 대리승낙/이석배 2014  123
1360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중단 지침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논란에 대한 법적, 윤리적 검토 / 유호종 2002  123
135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상담 평가에서 기대되는 것 / 손예나, 이상엽 2017  122
1358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치료지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정아, 김영아, 정향인 2019  122
1357 9 보건의료 미국의 사과법 및 디스클로져법의 의의와 그 시사점 / 이원 외 2018  122
1356 15 유전학 장기 체외 증식이 인간 다분화능 신경세포의 유전적 안정성 및 종양형성능에 미치는 영향들 / 연제영 2018  122
1355 10 성/젠더 `자율성 중심의 성윤리`에서 `관계성에 입각한 행위자 중심의 성윤리`로: 성윤리 교육에의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천명주 2016  122
1354 8 환자 의사 관계 영국의 개인정보보호 법제와 개인정보 보호기관의 법적 실태에 관한 소고 / 김종호 2015  122
1353 9 보건의료 위약반응으로 바라본 우리 삶의 의학 / 임영채 2013  122
135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무의식을 고려한 통전(統全)적 죽음이해의 제도화에 대한 고찰 : 정신분석학과 내러티브 법학을 방법론으로 하여 / 민윤영 2017  122
1351 2 생명윤리 왕양명과 생명윤리와 전인적 인간관 / 양선진 2018  122
1350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체외수정 및 대리출산 법제 개관 / 이재열 2017  122
134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 관련 국내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윤영미 외 2017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