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816003 


고령 불임여성의 체외수정술시 최소자극법의 효용성 = Minimal Stimulation using rhFSH and GnRH Antagonist for IVF Treated Patients of Advanced Age


저자김소라,김정훈,이진경,전균호,김성훈,채희동,강병문,Kim, So-Ra,Kim, Chung-Hoon,Lee, Jin-Kyoung,Jeon, Gyun-Ho,Kim, Sung-Hoon,Chae, Hee-Dong,Kang, Byung-Moon
학술지명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권호사항Vol.36No.1[2009]
발행처대한생식의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63-70
언어Korean
발행년도2009
주제어최소자극법,임신율,체외수정술 고령 불임여성
초록

목 적: 본 연구는 전향적 무작위 배정법 연구로 40세 이상의 불임여성의 자연주기에서 소량의 재조합난포자극호르몬을 이용한 최소자극법의 효과를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길항제 다회투여법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불임크리닉을 방문하였던 환자들 중 나이가 40세 이상인 75명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군은 최소자극법으로 37명, 대조군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길항제 다회투여법으로 38명의 환자들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았다. 주기 취소율, 난포자극호르몬 종 사용량과 일수, 성숙난자의 수, 이식된 배아의 수, 배아이식 주기당 임신율, 착상율 등을 비교하였으며, 통계학적인 방법은 평균값의 비교를 위하여 Student's t-test를 이용하였고 분율의 비교를 위하여 ${\chi}^2$ 검정,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두 군간의 대상 환자들의 기본적인 특성은 차이가 없었다. rhFSH의 투여기간과 총용량에서 연구군의 경우 4.5${\pm}$1.2일, 632.2${\pm}$123.7 IU로 대조군에서의 11.3${\pm}$2.7일, 3124.6${\pm}$452.1 IU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고, 주기 취소율은 연구군에서 16.2%, 대조군에서 5.3%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회수된 난자의 수, 성숙한 제 2감수분열 중기 상태의 난자의 수 및 수정된 난자의 수, 양질의 배아수, 배아이식된 배아의 수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해서 연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배란유도를 시작한 주기당 임상적 임신율과 배아이식 주기당 임상적임신율은 연구군의 경우 각각 10.8%와 13.4%로 대조군에서 13.2%와 13.9%에 비하여 다소 낮긴 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착상율, 자연유산율에서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결 론: 40세 이상의 고령 여성에서 체외수정술을 시행하고자 할 때 배란유도의 방법으로 GnRH antagonist와 성선자극호르몬을 이용한 최소자극법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길항제 다회투여법과 비교하여 임신율이 감소하지 않으며 비용면에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초록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minimal stimulation using rhFSH and GnRH antagonist compared with GnRH antagonist multidose protocol (MDP) in IVF treated patients with aged 40 and above. Methods: Seventy-five patients with aged 40 and above were equally randomized to minimal stimulation group (n=37) or GnRH antagonist MDP group (n=38). For minimal stimulation group, ultrasound monitoring was started on cycle day 7 or 8. Daily injections of 0.25 mg cetrorelix together with 150 IU rhFSH were started from the day at 13${\sim}$14 mm of a leading follicle diameter. For GnRH antagonist MDP group, daily injections of 225 IU rhFSH were initiated from cycle day 2 and GnRH antagonist was started at a dose of 0.25 mg/day on rhFSH stimulation day 6 or the day at 13${\sim}$14 mm of leading follicle diameter. In both groups, transvaginal ultrasound-guided oocyte retrieval was performed. According to cleavage and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embryos, embryos were transferred 3 to 5 days after oocyte retrieval.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cycle cancellation rate between the two groups. Total dose and duration of rhFSH used were significantly fewer and shorter in minimal stimulation group than those in GnRH antagonist MDP group. The numbers of oocytes retrieved, mature oocytes and transferred embryos were also lower in minimal stimulation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pregnancy rate and miscarriage rat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minimal stimulation protocol provides comparable pregnancy rates to GnRH antagonist MDP with fewer dose and days of rhFSH used, and thus can be a cost-effective alternative in women aged 40 and abov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68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 이행을 위한 유전자원정보관리센터 운영방안 / 오선영 2017  65
367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정보사회에서 개인정보 법제정비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 이한주 외 2018  65
366 20 죽음과 죽어감 사형제도에 대한 그리스도교 이해 / 우석민 2018  65
365 5 과학 기술 사회 보건의료분야 리베이트 규제의 현황 및 개선방향 / 김한나 외 2014  65
364 14 재생산 기술 인공생식에 있어서 부자관계설정에 관한 소고 / 김상헌 2016  65
» 14 재생산 기술 고령 불임여성의 체외수정술시 최소자극법의 효용성 / 김소라 외 2009  65
362 9 보건의료 공공기관 생성 건강정보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 일개 공공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 이도화 2015  65
361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사별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인식 / 김지수 2017  65
360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주요 내용과 현실적용에서 쟁점과 과제 / 이석배 2017  65
359 15 유전학 유전질환 등록 시스템 운영, 유전자 정보 Database 구축 및 유전자 진단 시스템 확립 / 구수경 2000  65
358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 이정선 2011  65
357 15 유전학 Animal Biotechnology and the Non-Identity Problem 2008  65
356 19 장기 조직 이식 Engineering Human Tissue and Regulation: Confronting Biology and Law to Bridge the Gaps 2001  65
355 9 보건의료 보건의료의 위기와 한국 건강보험의 뉴 패러다임 선택 / 김명희 2014  65
354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정당화와 면책가능성 / 임상규 2019  64
353 9 보건의료 의약품 관리정책과 소비자권익 확보방안 - 주사제 관리체계의 개선 - / 문상혁 2018  64
352 9 보건의료 의료정보정책 및 디지털헬스의 국제동향, 18.02.19~20, 호주 캔버라 - / 최솔지 외 2018  64
35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봉사 경험이 삶과 죽음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민희 외 2018  64
350 9 보건의료 2018년 꼭 알아야 할 병의원 관련 개정세법 / 신진혜 2018  64
349 9 보건의료 고령사회에 대응한 보건의료체계 개편의 시급성 / 박은철 2018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