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교육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04407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저자 : 김선영

• 형태사항 : ⅳ, 89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양은주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교육전공 2018. 2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8

• 주제어 : 전문상담교사, 진로진학상담교사, 학교상담자, 연구동향


초록

최근 사회적 문제로까지 번지고 있는 학교폭력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진로교육과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학교상담 전문가의 역할은 더욱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상담의 주요 인적 자원인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전문상담교사의 배치가 시작 된 2005년부터 2017년까지의 연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배치가 시작 된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이루어진 두 직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분석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kr)를 이용하여 “전문상담교사”, “진로진학상담교사”, “학교상담자”와 관련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검색하여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118편과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36편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연구 동향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보편적인 분류에 의거하여 분석대상논문을 연구연도별, 연구주제별, 연구방법별, 연구대상별로 분류하여 코딩하였고, 의미 있는 결과를 찾기 위해 각 분석영역을 모두 크로스탭으로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을 각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연도별 동향분석 결과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배치가 시작되고 3~5년 이후부터의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별 동향분석 결과 8개의 연구주제 영역 중 전문상담교사는 직업적응 영역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역할 및 직무 영역, 상담활동 영역, 전문가발달 영역, 전문성 영역, 제도 영역, 심리특성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진학상담교사는 역할 및 직무 영역에서의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전문가발달 영역, 제도 영역, 직업적응 영역, 전문성 영역, 상담활동 영역, 심리특성 영역과 기타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현장에서 ‘상담’이라는 공통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두 직무교사에 대한 상담활동 영역에서는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연구가 2005년부터 최근까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는 초기에 진행된 단 2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별 동향분석 결과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모두 양적연구방법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별 동향분석 결과 단일대상의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현저하게 많았으며 학교상담의 수요자인 학생, 학부모, 일반교사, 학교행정가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상담에 있어서 큰 전환점을 가져온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가 배치 된 이후 두 직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학교현장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가 학교상담의 주요 인적 자원인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후속 연구의 방향성 제안 뿐 아니라 더 나아가 학교상담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 연구가 되길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학교상담 5

2. 학교상담의 변화과정 9

3. 전문상담교사 14

4. 진로진학상담교사 23

Ⅲ. 연구방법 30

1. 연구 분석대상 및 선정 30

2. 연구 분석영역 및 기준 32

Ⅳ. 연구결과 37

1. 전체분석대상 연구출처별 연도 분석 37

2.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38

3.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47

Ⅴ. 논의 및 제한점 57

참고문헌 66

부록 8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86 1 윤리학 미래의 인간상 / 이을상 2018  142
85 1 윤리학 민법상 친자관계의 결정 / 우병창 2018  140
84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을 통해 본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방안 / 권혁빈 2014  139
83 1 윤리학 정부기관의 정보열람 요구와 ISP의 협조의무 / 박훤일 2016  139
82 1 윤리학 한,중,일 3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비교 / 이현승 2016  134
81 1 윤리학 인공지능 시대에 있어서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 김영례 2018  134
80 1 윤리학 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와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본원칙 / 이형석 2018  133
79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에 대한 법적 고찰 / 한명수 2016  132
78 1 윤리학 자유주의 시민성과 도덕과 인성교육의 과제 / 조주현 2019  132
77 1 윤리학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2012  129
76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 / 목광수 2018  128
75 1 윤리학 취약한 존재를 위한 정의론 / 김은희 2018  128
74 1 윤리학 칸트의 도덕 감정 인식과 교육 / 박장호 2019  127
73 1 윤리학 의료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 전자건강기록(EHR) 시스템을 중심으로 / 엄도영 외 2018  124
72 1 윤리학 인간존엄의 기본권성에 관한 고찰 / 장영철 2018  124
71 1 윤리학 EU의 2016년 일반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그 시사점 / 함인선 2016  122
70 1 윤리학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2011  121
69 1 윤리학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문주 2017  120
68 1 윤리학 한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이 중국의 입법에 주는 시사점 / 나혜란 2018  120
67 1 윤리학 인공지능은 법의 제국의 왕자가 될 수 있는가 / 서치원 2018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