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이화젠더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33294 

남녀고용평등법상 성차별 구제에 관한 최근 미국 판례의 시사점


= Workplace Gender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 and the Implications of a U.S. Supreme Court Decision


  • 저자[authors] : 이명화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이화젠더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9No.3[2017]

  • 발행처[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97-129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7

  • 주제어[descriptor] : 남녀고용평등법,평등권,증명책임전환,성차별,실효성,gender discrimination,burden shifting framework,effectiveness,EEOC,equal rights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성차별 구제 관련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임신한 여성과 관련한 최근 미국 판례를 분석한다. 고용평등에 관한 소송에서 미국 내 법은 일반적인 불법행위소송과 달리 입증책임에 대한 전환 규정을 두고 있다. 즉, 원고는 먼저 성차별과 관련한 주장과 근거를 제시하고, 사업주는 이에 대한 반증을 하게 된다. 원고는 사업주의 주장에 대해, 위법을 은폐하려는 구실에 불과하다는 재반증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간접차별이 흔한 성차별 사건에서 근로자에게 용이하며, 국내에도 도입이 된다면, 실무에 있어서 피해자 구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 또한 입증책임전환 규정과 함께 피해 근로자를 대신하는 소송권을 제3의 기관에 위임한다면, 기관을 통한 「남녀고용평등법」의 예방적 기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deals with South Korea’s Employment Discrimination Legisl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a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 on Korean law. According to the McDonnell Douglass burden shifting framework, an employee may present their initial case to the court, as to which an employer can argue that such discrimination was necessary for business purposes. The employee has an opportunity to argue that the employer’s reason for discrimination is merely pretext and that the employer should be held accountable for gender discrimination. Another characteristic of employment discrimination cases in the U.S. is that when gender discrimination occurs,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becomes involved from the initial stage of illegality. If such an institution can be established in South Korea, victims of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can rely on the institution for assistance in filing a case as well as enduring a trial.]


목차[Table of content]

Ⅰ. 들어가는 말   Ⅱ. 실효성을 갖추기 위한 「남녀고용평등법」 제도의 문제점 분석   Ⅲ. Peggy Young v. UPS (2015년 미국 연방 대법원 판례)   Ⅳ. 미국 판례를 통한 「남녀고용평등법」의 개선 방안   Ⅴ. 맺는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26 1 윤리학 회고적 시각에서 본 생명윤리 관련 법규 변천 / 이인영 2013  254
125 1 윤리학 빅데이터 활용과 인권보호 / 김영진 2017  254
124 1 윤리학 과학기술에 관한 윤리적 규범 모색을 위한 철학적 사회학적 신학적 관점에서의 융합적 연구 / 이창호 2018  255
123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지용수 2016  257
122 1 윤리학 불교에서 보는 생명의 탄생과 죽음의 문제/ 하유진 2009  260
121 1 윤리학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이미경 2018  260
120 1 윤리학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이재석 2013  266
119 1 윤리학 유럽연합(EU) 개인정보보호법의 특징과 최근 발전 / 문재완 2016  267
118 1 윤리학 21세기 생의학과 생명정치 / 과학기술학연구편집부 2014  272
117 1 윤리학 법률행위의 일부가 강행법규를 위반한 경우의 법률관계 / 강윤희 2017  276
116 1 윤리학 잊혀질 권리`` 도입의 정보윤리적 의미와 쟁점 / 임상수 2016  280
115 1 윤리학 인공지능으로 인한 법률 서비스의 파괴적 혁신과 시사점 / 양종모 2017  280
114 1 윤리학 연구논문 : 정치인의 이미지가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미국 대통령 예비선거 과정을 중심으로- / 박선영 2016  282
113 1 윤리학 연구논문 : 베트남 국제사법의 특징과 유의점 -재산관계의 준거법을 중심으로- / 한종규 2016  283
112 1 윤리학 생명윤리와 헌법의 상보성 : 뷰챔프와 칠드러스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헌법적 “인간” 개념 중심으로 / 류재한 2014  289
111 1 윤리학 생명정치와 디스토피아 문학 / 이정현 2018  290
110 1 윤리학 공정거래법상 행정지도에 따른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법적 검토 / 유성희 외 2016  293
109 1 윤리학 로봇윤리 vs. 로봇법학: 따로 또 같이 / 김건우 2017  294
108 1 윤리학 인간 개념의 혼란과 포스트휴머니즘 문제/백종현 2015  297
107 1 윤리학 독일의 성년후견인 제도와 자기결정권 / 조성혜 201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