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도덕윤리과교육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02397 
사회신경과학에서의 사회적 고통 및 도덕성에 대한 이해와 도덕교육 

= Social Pain and Morality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Neuroscience and Moral Education

  • 저자[authors] 박형빈(Park Hyoung B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도덕윤리과교육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54[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7-10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도덕교육,도덕성,사회신경과학,사회적 고통,사회적 뇌,사회적 상실,전대상피질,전측 섬엽,Anterio Insula,Anterior Cingulate Cortex,Moral Education,Morality,Social Brain,Social Neuroscience,Social Pain


초록[abstracts] 
[근래 뇌 과학 연구들은 인간의 뇌가 사회적 기관이라는 인식으로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사회신경과학은 뇌신경과학의 시각 안에서 사회적 동물로서의 인간 삶을 규명하고자 하며 사 회적 뇌를 인간발달의 핵심으로 파악한다. 사회적 관계의 결핍 즉 사회적 거부와 사회적 상 실로 인한 사회적 고통은 실제 고통을 느끼게 만든다. 사회적 고통과 관련된 뇌의 영역 즉 전대상피질, 전측 섬엽 등의 영역은 도덕성 및 도덕성 발달과도 밀접하다. 뇌의 상태에서 볼 때 도덕성 발달에 있어 교육환경을 포함한 사회적 환경은 중요하게 작용한다. 뇌신경과학, 신경생물학, 교육학, 철학, 윤리학 등 학문들 간의 상호참조는 도덕교육의 방법 론을 논함에 있어 무엇을 고려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유의미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사회 신경과학의 논의에서 다음과 같은 도덕교육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환대는 온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의 시작이 된다. 둘째, 도덕성 발달의 출발은 자기 자신에 대한 관심이다. 이것 이 점차 가족, 친족 그리고 자기 삶의 테두리 밖의 누군가로 도덕 범위의 확대가 일어난다. 셋째, 사회적 외상은 도덕성 발달에 큰 영향을 주기에 이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적 상실, 사회적 거부 등으로 야기된 사회적 고통은 신체적 고통 이상의 것을 유발하며 도덕성 형성 및 발달에 영향을 준다. 다섯째, 대인관계의 장애는 뇌의 상태와 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여섯째, 사회적 자각, 사회적 고통, 타인의 마음 읽기, 감정이입 등과 관련된 뇌 부위는 이성적 추론을 하는 뇌 부위와 다소 다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186 1 윤리학 도덕적 목적이론으로서 칸트의 덕론 / 노영란 2019  184
185 1 윤리학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 박미정 2016  185
184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AMA) 윤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논리 연구 Ⅰ/최현철 외 2017  185
183 1 윤리학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윤리 규범의 관점에서 / 김준성 2017  186
182 1 윤리학 기본권으로서의 변호인의 변호권 / 윤혜원, 최효재 2019  186
181 1 윤리학 Authority of law at the foundations of a legal system = 법체계와 법의 권위 / 박준석 2007  187
180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7
179 1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론의 현재적 의미 재구성과 인성교육/ 김민수 2019  187
178 1 윤리학 독일에서 의료영역의 리베이트와 형법 / 이석배 2013  188
177 1 윤리학 유전정보 차별금지의 법적문제 - 외국의 규율 동향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 양지현 외 2017  190
176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박웅신 2016  190
175 1 윤리학 임상 치과위생사 양성제도와 법체계 개선을 위한 업무범위 분석 연구 / 송여주 2010  191
174 1 윤리학 개인의료정보보호에 관한 법제확립방안 / 정승일 2010  193
173 1 윤리학 정치인의 이미지가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 박선영 2016  196
172 1 윤리학 IoT 환경의 의료 정보보호와 표준 기술 / 우성희 2015  196
171 1 윤리학 남녀고용평등법상 성차별 구제에 관한 최근 미국 판례의 시사점 / 이명화 2017  196
170 1 윤리학 흄의 의료윤리와 정직의 덕 / 김다솜 2019  198
169 1 윤리학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이재성 2011  200
168 1 윤리학 인공 지능 시대의 정보 윤리학: 플로리디의 ‘새로운’ 윤리학 / 목광수 2017  200
167 1 윤리학 한국 생명공학감시운동에 대한 연구 / 김병수 2011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