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Canon&Cultur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16156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와 『호모 데우스』의 인간이해에 대한 해석학적 진단- 호모 사피엔스, 호모 데우스, 호모 렐리기오수스”

  • 저자[authors] 왕대일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Canon&Culture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2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신학정보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35-25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초록[abstracts]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와 『호모 데우스』는 진화론의 입장에서 인류사의 과거, 현재, 미래를 되돌아보고, 진단하고, 조망하면서, 생물학적 존재인 호모 사피엔스가 생명공학적 존재인 호모 데우스로 대체되는 과정을 예고하는 글이다.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는 자연선택의 법칙이라는 진화론을 따라서 사피엔스의 생존과 성공을 풀이한다. 『사피엔스』가 인류사의 자취를 “지식의 나무”의 돌연변이가 낳은 인지혁명에서 시작해서 농업혁명과 과학혁명으로 치닫는 진화의 단계로 설명하지만, 해석학적으로 보면 그것은 창세기 원역사의 패러다임을 닮았다. 하라리에 따르면 약 7만 년 전에 일어났던 인지혁명은 1만 2천 년 전에 있었던 농업혁명을 거치면서 돈, 제국, 종교라는 허구적 실체를 조성하게 되고 그것으로 인류를 하나로 통합시키는 세상을 구축하였다. 그랬던 사피엔스가 500 년 전부터 시작된 과학혁명을 거친뒤 오늘날에 와서는 인간의 생명을 생물학의 DNA가 아닌 자연과학의 알고리즘으로 해독하고 유기체(인간)와 비유기체가 결합하는 사이보그 탄생을 비롯한 인간업그레이드를 이루는 시대에 들어서게 된다. 호모 데우스라 불리는 전혀 새로운 종(種)이 출현하게 된다는 것이다.    유발 하라리의 『호모 데우스』는 여기에서 진화론의 자연선택의 법칙을 따라 생존하던 시대가 끝나고, 진화론의 법칙이 아닌 지적설계의 법칙에 따라 성취되는 신세계를 조망한다. 그 신세계는 극단적으로는 “데이터교”라고 불리는 인공지능정보처리시스템이 주도하는 세상이 될 것이다. 그런 세상이 오면 인간 개인은 하나의 칩으로, 인류는 인간과 인간이 온 라인으로 연결된 시스템으로 간주되고, 사피엔스 시대에 누렸던 인본주의적 정체성을 잃게 되고야 말 것이다. 여기에서 유발 하라리는 호모 데우스의 세상이 도래하더라도 인간이 여전히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을 보존하면서 인간으로 살아가는 행복을 잃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를 묻는 질문으로 그의 글을 마친다.    유발 하라리의 글은 표면적으로는 반(反)종교적, 인본주의적, 생물학적, 생명공학적 인간이해를 펼친다. 그러나 그의 논리를 따라서 『사피엔스』와 『호모 데우스』를 읽어가다 보면 호모 사피엔스가 호모 데우스로 치닫다가 도리어 또 다른 차원의 호모 렐리기오수스에 들어서는 기막힌(!) 역전 현상을 목도하게 된다. 『호모 데우스』에서 조망하는 신세계가 “데이터교”라고 불리는 낯선 신세계이기 때문이다.]

목차[Table of content] 
1. 『사피엔스』와 『호모 데우스』  2. 이스라엘인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  3.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인간·생물학적 존재  4. 생물학적 호모 사피엔스에서 생명공학적 호모 데우스(Homo deus)로  5. 호모 데우스의 형상, 호모 렐리기오수스(Homo religiosus)  초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246 1 윤리학 의료에 있어서의 윤리와 법 / 주호노, 배현아 2009  117
245 1 윤리학 독일개인정보보호법 / 박경신 2016  117
244 1 윤리학 건강보험 재정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은경 2018  117
243 1 윤리학 고령화시대 정책과제와 정책 거버넌스 평가 / 최창용 2018  117
242 1 윤리학 인공지능 및 사이버휴먼 시대의 윤리적 논쟁과 규범윤리의 요청 / 김광연 2018  117
241 1 윤리학 저작권침해소송에서 저작물성 여부에 관한 중간판결(中間判決)의 의미와 실효적 운용방안 /차상육 2018  118
240 1 윤리학 인공지능은 법의 제국의 왕자가 될 수 있는가 / 서치원 2018  118
239 1 윤리학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문주 2017  119
238 1 윤리학 한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이 중국의 입법에 주는 시사점 / 나혜란 2018  119
237 1 윤리학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2011  121
236 1 윤리학 EU의 2016년 일반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그 시사점 / 함인선 2016  122
235 1 윤리학 의료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 전자건강기록(EHR) 시스템을 중심으로 / 엄도영 외 2018  124
234 1 윤리학 인간존엄의 기본권성에 관한 고찰 / 장영철 2018  124
233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 / 목광수 2018  127
232 1 윤리학 칸트의 도덕 감정 인식과 교육 / 박장호 2019  127
231 1 윤리학 취약한 존재를 위한 정의론 / 김은희 2018  128
230 1 윤리학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2012  129
229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에 대한 법적 고찰 / 한명수 2016  131
228 1 윤리학 자유주의 시민성과 도덕과 인성교육의 과제 / 조주현 2019  132
227 1 윤리학 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와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본원칙 / 이형석 2018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