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경제와 사회(Economy and society )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105971 

* 연구원 및 도서관내에서 무료열람가능한 자료임.

 

 

 

생명정치의 사회과학, 어떻게 할 것인가? = How to Do the Social Scientific Study on Biopolitics?

 

 

 

  • 저자명 : 김환석
  • 학술지명 : 경제와 사회(Economy and society )
  • 권호사항 : Vol.- No.97 [2013]
  • 발행처 : 비판사회학회(구, 한국산업사회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criso.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3-38(26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3년
  • KDC : 305.00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생명권력 ,생명정치 ,통치성 ,생명사회성 ,생물학적 시민권 ,생명자본 ,생의료화 ,biopower ,biopolitics ,governmentality ,biosociality ,biological citizenship ,biocapital ,biomedicalization
  •  

    초록

     

    21세기가 되면서 서구에서는 인간의 건강과 생명 자체가 가장 중요한 정치적 쟁점과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서구의 사회과학자들은 푸코의 ‘생명권력’과 ‘생명정치’ 그리고 ‘통치성’ 개념들을 활용하여 생명에 관한 21세기의 정치를 분석하려는 시도를 활발히 전개해왔다. 이 글은 푸코 이래 그러한 시도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앞으로 한국의 생명정치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를 위해서 이들로부터 유용한 개념과 이론적 통찰 그리고 방법론을 도출하고자 시도한다. 먼저 생명정치의 연구에서 선구적으로 기여를 한 푸코의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수정하여 거대담론으로 발전시킨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이론과 하트 및 네그리의 ‘제국’과 ‘다중’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다음에 이런 거대담론과는 달리 생명정치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추구 해온 대표적 사회과학 이론들로서 네 가지를 검토하였는데, 그것은 래비노우의 ‘생명사회성’ 이론, 로즈의 ‘생명 자체의 정치’ 이론, 순데르 라잔의 ‘생명자본’ 이론, 그리고 클라크의 ‘생의료화’ 이론이다. 이들은 모두 인간게놈프로젝트로 대표되는 생명과학의 발전이 21세기 생명정치의 전개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주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생명정치를 생태정치나 기술정치 등과 함께 비인간 사물의 역할을 중요시하는 ‘사회물질적인 것의 정치’의 일부로 간주할 것을 제안하며, 한국 등 비서구 나라들의 생명정치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촉구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목차

     

  • 1. 문제의 제기
  • 2. 선구적 기여: 미셸 푸코
  • 3. 거대 담론의 대두
  • 4. 경험적 이론의 전개
  • 5. 평가와 대안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76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 개발 / 최예진 2017  53
    175 2 생명윤리 한국에서의 인종차별에 대한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오희순 2016  1350
    174 2 생명윤리 자유주의 우생학에 관한 생태신학적 비판 및 재구성 / 김광연 2018  554
    173 2 생명윤리 생명권에 관한 한국과 중국의 비교법적 고찰 / 정금지 2010  220
    172 2 생명윤리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를 통해 고찰한 존엄한 삶의 의미 / 최연수 2018  124
    171 2 생명윤리 한국사회의 도덕성과 도덕적 판단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과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최미라 2018  886
    170 2 생명윤리 한국 의생명연구 이해상충에 대한 기관 단위의 관리방안 연구 / 신연선 2018  103
    169 2 생명윤리 중국 인공 지능 기술의 인권 윤리 연구 / SONG YANYU 2019  98
    168 2 생명윤리 Q방법론을 활용한 생명존중의 인식유형과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이지영 2019  166
    167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신수경 2019  112
    166 2 생명윤리 존 롤즈의 정의론과 생태여성신학적 정의 연구 : ‘공정으로서의 정의’와 ‘생명 중심의 정의’ / 윤영숙 2019  192
    165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인체자원 관리 시스템 구축 연구 / 황윤환 2016  123
    164 2 생명윤리 A Portrait of Nanomedicine and Its Bioethical Implications 2012  46
    163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2014  1553
    162 2 생명윤리 인체 유래물 사용 연구와 생명윤리법 / 김용진 2018  57
    161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철학 :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 최경석 2013  693
    160 2 생명윤리 연명의료에 대한 윤리적 논쟁 / 홍준표 2018  345
    159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연구윤리 / 최경석 2009  572
    158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2013  1121
    » 2 생명윤리 생명정치의 사회과학, 어떻게 할 것인가? /김환석 2013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