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경제와사회 통권 제93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1627863 
한국어 초록
  생명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제기함에 따라 ‘생명 윤리’의 사회적 중요성과 영향력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생명윤리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는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들어 학문분과, 전문지식체계, 그리고 제도화된 실천으로서의 생명윤리 자체를 사회학적으로 탐구하는 ‘생명윤리의 사회학(sociology of bioethics)’ 연구가 축적되고 있으며, 학제 간 과학기술학(Science & Technology Studies) 분야에서도 유사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후자는 생명과학기술의 윤리적 문제를 공적으로 논의하는 숙의기구에 의해 정의되고 활용되는 생명윤리, 즉 ‘공공 생명윤리 (public bioethics)’의 장에서 과학, 윤리와 정치의 경계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과학과 생명윤리 전문성의 정치동학은 어떠한지 등에 대한 흥미로운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들의 문제의식을 수용하여 한국에서의 ‘공공 생명윤리’를 분석하고자 한다. 2000년 11년에서 2001년 8월까지 과학기술부 산하에 설치되어 (가칭)「생명윤리기본법」의 기본골격을 만들었던 생명윤리자문위원회를 사례로 하여 그 성격과 심의 활동 및 이에 수반되었던 전문성의 정치동학을 살펴볼 것이다.



영어 초록

  As rapid advances in the life sciences and technologies have raised a range of ethical issues, the social importance and influence of ‘bioethics’ are also increasingly being recognized. However, the issue of bioethics has not been given much attention by sociologists and other social scientists. More recently, the subfield of sociology of bioethics has emerged and begun to approach bioethics as an object of inquiry in itself, exploring it as an academic discipline, expertise, institutionalized practice, and discursive formation. The interdisciplinary field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STS) has also moved in that direction and produced a number of interesting case studies on bioethics. In particular, STS studies of ‘public bioethics’ ― that is, bioethics as defined and employed by deliberative bodies devoted to public ethical inquiry ― have provided interesting analyses of the political dynamics of scientific and bioethical expertise and of how the boundaries of science, ethics, and politics are (re)constructed at various public bioethics bodies. Relying on the insight from these studies, I will examine the Korean Bioethics Advisory Commission(2000.11~2001.8) ― the first public bioethics experiment in South Korea ― and its politics of expertise.



목차

1. 머리말
2. 생명윤리와 전문성의 정치동학: 사회학적 접근
3. 배경: 의료윤리에서 공공 생명윤리의 요구로
4. ‘생명윤리자문위원회’와 전문성의 정치
5. 나가면서
주요 용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sociology of bioethics, politics of expertise, boundary-work, biotechnology, govern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 Technology Studies(STS)



상세서지

  • 발행기관 : 비판사회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162786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 생명윤리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 김대식

발행년 2014 

  • 조회 수 106

2 생명윤리 태아의 권리능력 재논의 필요성에 대한 제언 / 유지흥

발행년 2014 

  • 조회 수 151

2 생명윤리 스포츠과학연구에 있어서 생명윤리의 쟁점과 과제 / 김동규, 김현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290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철학 :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 최경석

발행년 2013 

  • 조회 수 693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21

2 생명윤리 생명정치의 사회과학, 어떻게 할 것인가? /김환석

발행년 2013 

  • 조회 수 365

2 생명윤리 윤리 심포지엄_각종 의무기록 작성에 있어서 알아야 할 의료윤리 : 각종 증명서 발급의 윤리적 문제 / 권복규

발행년 2013 

  • 조회 수 232

2 생명윤리 의학교육에서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우리나라 의사들의 인식 / 허윤정, 권복규, 이옥진, 안덕선

발행년 2013 

  • 조회 수 306

2 생명윤리 <연가시>에 재현된 생명정치 : 초국적 자본 그리고 새로운 주권 / 김재철

발행년 2013 

  • 조회 수 372

2 생명윤리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인식 / 심형화

발행년 2013 

  • 조회 수 227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에서 결의론의 재조명 : 앨버트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을 중심으로 / 김시형

발행년 2013 

  • 조회 수 586

2 생명윤리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활과 윤리』를 중심으로 / 이필연

발행년 2013 

  • 조회 수 349

2 생명윤리 인격주의 생명윤리의 도덕적 단초 : 인간의 기본적 선, 인간 생명의 존엄성과 인격 / 김수정

발행년 2013 

  • 조회 수 234

2 생명윤리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부모교육 교재 분석 / 정명애

발행년 2013 

  • 조회 수 103

2 생명윤리 생식력자각이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숙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68

2 생명윤리 기획종설 : 전문직 윤리로서의 의료윤리-의사다움이란 / 권복규

발행년 2012 

  • 조회 수 320

2 생명윤리 공공 생명윤리와 전문성의 정치 : ‘생명윤리자문위원회’의 사례 / 김상현

발행년 2012 

  • 조회 수 396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발행년 2012 

  • 조회 수 4422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발행년 2012 

  • 조회 수 210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강미

발행년 2012 

  • 조회 수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