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의료법윤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215854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를 위한 PBL 문제개발 및 평가 : 윤리적 딜레마상황을 중심으로


  • 기타서명 : Issue development and its assessment in problem based learning for the nurses in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old : with ethical dilemma centered

  • 저자 : 김은정
  • 형태사항 : vii, 80장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소윤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의료법윤리학과 2008.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8
  • 주제어 : 윤리적 딜레마, PBL 문제, 노인의료복지시설



초록 (Abstract)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처했을 때 간호사들은 윤리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훈련과 준비가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게 되곤 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노인 간호 관련 교육과정은 법적·윤리적 문제 영역에 대해서 제한적이며 개괄적 언급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윤리적 딜레마를 대처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는 계속적인 교육방법이 요구되는데, 그 가장 효과적인 학습방법 중 하나가 문제중심학습법(PBL)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시설 임상간호사들을 중심으로 한 노인대상 간호 수행시 윤리적 딜레마 상황을 중심으로 한 실제적인 PBL 문제개발과 평가를 통하여 PBL학습의 궁극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는 실무대처능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PBL모듈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시도하였다.본 연구는 문제개발 과정은 조연순 등(2003)의 PBL 문제개발 절차를 일부 수정 및 적용하여 2007년 9-10월에 걸쳐 서울, 경기 3개의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 중인 간호사 6인과 두 차례 이상 아이디어 회의를 통해 실제임상사례를 수집하였으며, 국내외 문헌고찰 중에 제시된 사례와 판례 검색을 통해 알려진 사례를 통한 총 9건의 문제 중 6건을 추출하였고, 2007년 10월 31일부터 11월 20일까지 서울, 경기지역 10개의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된 PBL문제의 평가를 위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만을 상대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51부의 설문자료는 부호화하고 SPSS 12.0 for Window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로 분석하였다.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와 관련된 간호관리학과 간호윤리학, 노인간호학의 학습목표 및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개발될 문제가 윤리적 기본개념과 이론, 간호사의 법적책임과 윤리적 역할 및 입소노인의 권리와 연관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2. 질문지 방법을 이용하여 간호사들이 윤리적 딜레마상황에 대해 가지는 사전지식과 흥미를 파악한 결과 간호사의 법적책임으로 비밀유지의 의무, 주의의 의무 등의 간호사의 법적 의무와 윤리의 원칙인 자율성의 원리, 악행금지의 원리, 선행의 원리, 분배적 정의와 환자의 권리인 자기결정권과 생명권, 자유권에 관해 이해하고 있으며, 권리간의 갈등 및 법적책임,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대처방법에 관심이 높음을 발견하였다.3. 최근 기사, 논문 및 도서, 국내외 판례 검색,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실무자와 아이디어회의를 통해 문제가능성을 검토하여 국외문제 1개, 임상문제 5개를 선정하였다.4. 선정한 문제에 대한 문제지도와 교육과정 지도를 그렸으며, 각 문제의 역할과 상황을 현재형으로 설정하였고, 시나리오 형태로 유인물을 통해 학습자인 간호사에게 제시하기로 하였다.5. 작성된 문제를 전문가 집단에서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6개의 문제를 개발하였다.6. 본 연구자는 김기경(2007)이 개발한 학습자용 PBL 문제평가도구를 6개의 문제에 적용하여 설문조사 한 결과 문제1의 평균점수는 4.02(SD=.473), 문제2는 3.94(SD=.560), 문제3은 4.19(.535), 문제4는 4.13(SD=.522), 문제5는 3.62(SD=.651), 문제6은 3.96(.554)로 나타났다.7.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대한 경험유무에 따른 대상자의 평균 평가 점수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8. 윤리적 딜레마와 관련한 교육이 있다면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86.3%(44명)로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들이 윤리적 딜레마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결론적으로 윤리적 딜레마 상황이 주어졌을 때 간호사는 자신이 실제 경험하였다고 하여도 그 대처방법이 지식, 태도, 기술적으로 모색이 되지 않았다면 반복적으로 유사 상황에 처한다고 해도 또 다시 딜레마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윤리적 딜레마 상황은 경험을 통해서 대처방법이 마련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실질적인 업무환경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윤리 교육 및 재교육을 통해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올바른 의사결정과 윤리적 딜레마 감소를 도모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에 관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들 간의 정기적 사례관리 집담회를 이용한 정보교류의 계기 활용하여 정보 공유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16 2 생명윤리 해부실험 전에 실시한 생명윤리교육이 예비과학교사들의 생명에 대한 인식에 주는 효과 / 채승애 2014  778
215 2 생명윤리 문학교육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 신장 방안 연구 :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 이은민 2014  394
214 2 생명윤리 영화를 감상한 고등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생명윤리 관점 및 의사결정 유형 분석 / 김민정 2014  808
213 2 생명윤리 생명공학자의 연구윤리 고찰 / 이춘호 2003  656
212 2 생명윤리 생물II교과서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박혜정 2010  316
211 2 생명윤리 첨단생명의료분야에 있어서 인폼드 컨센트 법리의 전개와 윤리위원회의 역할 / 이정현 2008  353
210 2 생명윤리 생명윤리의 실천 방안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 고경수 2007  288
209 2 생명윤리 고등학교 생명윤리 교육의 연구 / 김현진 2004  337
208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에서 결의론의 재조명 : 앨버트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을 중심으로 / 김시형 2013  586
207 2 생명윤리 의료기관 윤리성 검토기구 정비를 위한 법률 개정 연구 / 김성희 2010  115
206 2 생명윤리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활과 윤리』를 중심으로 / 이필연 2013  349
205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105
204 2 생명윤리 도덕 교과에서의 생명 교육 연구 / 육정란 2003  244
203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대한 연구 / 최보람 2010  515
202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과에서의 생명윤리교육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전원주 2008  261
201 2 생명윤리 초등학생의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 변화를 위한 과학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적용 / 이하얀 2008  439
200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강미 2012  246
199 2 생명윤리 중등 교육 과정에서의 생명 존중 교육에 관한 연구 : 도덕·윤리 교과를 중심으로 / 장정훈 2002  760
» 2 생명윤리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를 위한 PBL 문제개발 및 평가 : 윤리적 딜레마상황을 중심으로 / 김은정 2008  1172
197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 / 한진아 2007  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