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2
발행년 : 200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Vol.7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411325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The improvement plan for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 제어번호 : 82411325
  • 저자명 : 이인영(Lee In-Young)
  • 학술지명 : 생명윤리
  • 권호사항 : Vol.7 No.1 [2006]
  • 발행처 :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71-87(17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06년
  • KDC : 570
  •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 주제어 :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생명윤리 ,생명윤리법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Bioethics ,Bioethics Law



초록 (Abstract)

The rapid develop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increasingly affect our understanding of life and life itself, resulted in a strong demand for a global response to the ethical implications of such developments. Ethical issues raised by the rapid advances in science and their technological applications should be examined with due respect to the dignity of the human person and universal respect for human rights. In order to support for research, national or regional governments shall arrange all necessary measures to deal effectively with problems concerning bioethics that may arise dur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utilizing biotechnology.
According to Bioethics and Bio-safety Act (2005) in Korea, there shall exist a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responsible to the President, whose function it is to review the issues concerning bioethics and biosafety in the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The Committee will be composed of between 16 and 21 persons, including one Chairperson and one Vice-Chairperson. Membership in the Committee shall be as follows. The following ministers will all be members of the Committee: the Minister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Minister of Justice, the Minister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Minister of Commerce, the Minister of Industry and Energy,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er of Gender Equality, and the Minister of Government Legislation. The president will appoint not more than seven representatives of the academic, scientific, and industrial spheres, each of whom have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 fields of life science or medical science. The president will appoint not more than seven representatives of the fields of religion, philosophy, ethics, social science, law, NGO groups, or gender equality.
There is no question that bio-technological developments have been, and can be, of great benefit to humankind in increasing life expectancy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But we should emphasize that such developments should always seek in the recognition of the dignity of the human person and universal respect for human rights. Last year some serious accidents in relation to bioethics and research ethics occurred in Korea. We should recognize the need for such research and developments to occur within the framework of bioethical principles. To promote equitable access to bio-technological developments, we should foster multidisciplinary and pluralistic dialogue about issues within society.
First of all, independent and multidisciplinary ethics committees should be established and promoted at the appropriate level in order to assess the relevant ethical, legal, scientific and social issues related to research projects involving human beings. In the same way, ethics committees should provide advice and appropriate assessment on ethical problems. We should promote professionalism, honesty and integrity and transparency in ethical decision-making on all conflicts of interest and appropriate sharing of knowledge. The ethical committees should functionally fulfill its tasks and carry out their work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bioethics and biosafety.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운영 경과

    Ⅲ. 합의체로서 구성의 중립성 문제와 개선방안

    Ⅳ. 탈정치성에 의한 신뢰성 확보의 문제

    Ⅴ. 위원회 기능의 충실성 문제와 실질적 조사권한

    Ⅵ. 맺는 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72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토대와 한계/구인회 2015  106
    »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70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소통(疏通)의 문제 : 황우석 스캔들에서 얻은 교훈/맹광호 2007  107
    69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이해 / 김광태 2015  114
    68 2 생명윤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김상돈 2006  116
    67 2 생명윤리 [시론] 생명의 가치와 삶의 질/정재우 2016  132
    66 2 생명윤리 2014년 미국 생명윤리와 인문학 학회 컨퍼런스 참관기 / 김수정 2015  155
    65 2 생명윤리 교수개발로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 신임교원 대상 교육개발과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 김정아, 오승민, 김평만 2014  163
    64 2 생명윤리 미국 생명의료윤리학의 최근 동향 / 엄영란 2001  172
    63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김현철 2016  178
    62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목광수 2015  217
    61 2 생명윤리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인식 / 심형화 2013  227
    60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지각유형 / 조준아 외 2015  229
    59 2 생명윤리 간호대학 1학년 학생을 위한 생명의료윤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정계선 2016  231
    58 2 생명윤리 생명윤리문화에 있어서 낙태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8  233
    57 2 생명윤리 융합 계열간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과 자아존중감간 상관연구/박소연, 박경영 2015  235
    56 2 생명윤리 국내 생명의료윤리 전공자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 / 구영모 2014  240
    55 2 생명윤리 도덕 교과에서의 생명 교육 연구 / 육정란 2003  244
    54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대한 운영평가와 향후 정책제언 / 이인영, 이정애, 이동익, 양윤선 2008  245
    53 2 생명윤리 일 대학생의 성의식과 생명윤리의식이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권수빈 외 2016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