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박은정

2 생명윤리 조회 수 338 추천 수 0 2016.01.13 17:33:27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78043 


[DBpia : 연구원 내 무료 열람 가능]


생명윤리 제16권 제2호, 2015.12, 1-16 (16 pages)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Between Bioscience and Bioethics
박은정


  • 발행기관 :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78043
  • 초록
  • 이 글에서 필자는 오늘날 생명 문제가 과학지식담론에 의해 그 외연이 정해질 수 있는 문제로 바뀌고 있음에 주목한다. 그리고 생명에 관한 과학지식 담론의 우위 속에서 인간의 체험적 삶에 대한 서사(敍事)에서 목적론적 의미 추구가 줄어들고 인과적 설명방식이 늘어난다는 점을 지적한다. 생명과학지식의 생산 및 그 축적과 함께 생명 문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증대하고 있다는 점, 생명현상과 생명 이슈를 바라보는 관점이 바뀌고 있다는 점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생명현상에 개입하는 과학기술의 증대가 가져오는 불확실성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과학적 판단과 윤리적 규범적 판단의 차이점을 분석해 본다. 마지막으로, 한 분과과학 진영에 속해있는 연구자로서 우리가 이 불확실성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고 생명 문제를 둘러싼 갈등해결을 위해 어떤 의미의 바람직한 협력을 할 수 있을지 묻는다.
    필자는 지난 2000년대 수년 동안 ELSI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을 통해, 과학기술 연구 분야에서의 ELSI 프로그램은 단순히 실험실에 대한 모니터링이나 평가, 공동연구 요청을 넘어서는 수준에서 기획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필자는 대안적 ELSI 모델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생명과학기술영역에서 사전예방원칙의 중요성, 내러티브의 생명윤리적 역할, 과학에서 인문학 교육의 제도화 필요성, 자연과학과 정신과학 내지 사회과학의 새로운 파트너십 조건 등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 목차
  • 국문초록
    Ⅰ. 출발점
    Ⅱ. 생명 문제를 대하는 관점의 변화
    Ⅲ. 과학적 판단과 윤리적 판단
    Ⅳ. 판단이 지나칠 때
    Ⅴ. 불확실성을 다루는 방법
    Ⅵ. 과학과 윤리 ‘사이’ 그리고 ‘너머’
    Abstract
  • 키워드
  • 생명윤리, 사회과학, 생명과학지식, 규범적 판단, 과학적 판단, 지식의 불확실성, 내러티브, bioethics, social science, knowledge of bioscience, normative judgment, scientific judgment, uncertainty of knowledge, narrative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46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4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소통(疏通)의 문제 : 황우석 스캔들에서 얻은 교훈/맹광호 2007  107
    44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이해 / 김광태 2015  113
    43 2 생명윤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김상돈 2006  114
    42 2 생명윤리 [시론] 생명의 가치와 삶의 질/정재우 2016  131
    41 2 생명윤리 2014년 미국 생명윤리와 인문학 학회 컨퍼런스 참관기 / 김수정 2015  153
    40 2 생명윤리 미국 생명의료윤리학의 최근 동향 / 엄영란 2001  172
    39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김현철 2016  176
    38 2 생명윤리 융합 계열간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과 자아존중감간 상관연구/박소연, 박경영 2015  235
    37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대한 운영평가와 향후 정책제언 / 이인영, 이정애, 이동익, 양윤선 2008  245
    36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진교훈 2017  248
    35 2 생명윤리 일 대학생의 성의식과 생명윤리의식이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권수빈 외 2016  249
    34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관련 지식, 인식 및 태도의 차이 / 박미라, 제남주 2018  259
    33 2 생명윤리 게임 이론을 통한 생명윤리법 입법과정 분석 / 현승효 외 2015  260
    32 2 생명윤리 작업치료사의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 사공봉, 이하영, 전병진 2018  260
    31 2 생명윤리 HEAVEN 프로젝트의 윤리적 문제 / 전방욱 2019  268
    30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황상익 2017  273
    29 2 생명윤리 생명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연구 / 조윤미 2003  275
    2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의 실천 방안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 고경수 2007  288
    27 2 생명윤리 스포츠과학연구에 있어서 생명윤리의 쟁점과 과제 / 김동규, 김현수 2014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