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홍익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38353 

의료법의 현대적 과제 : 인간대상연구에 있어 동의 관련 규범적 문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상의 동의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provisions of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related to obtaining informed consent for the human research : Focusing on the principal of obtaining informed consent and the allowance of exceptions to the principle / 김은애 


제어번호 100038353
저자명 김은애 ( Eun Ae Kim ) 
학술지명 홍익법학(The Law Reasearch institutute of Hongik Univ.)
권호사항 Vol.15 No.2 [2014] 
발행처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The Law Research Institute)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9(29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4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연구에 있어 연구대상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연구의 위험으로부터 연구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해 연구자가 동의능력이 있는 연구대상자에게 연구 참여 전에 연구에 대한 충분한 정보와 설명을 제공해주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자로부터 서면으로 동의를 획득하는 것은 국제적인 차원에서 준수가 요구되는 원칙인 동시에 국내법에 따른 의무이기도 하다. 그러나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전부개정으로 인해 법적 규제 대상이 되는 인간대상연구의 범주가 사람을 대상으로 물리적으로 개입하거나 의사소통, 대인 접촉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행하는 연구 또는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는 연구로까지 확대되었기에 그만큼 연구의 유형이나 특성이 상당히 다양해졌다. 이에 따라 실제로 연구수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나 연구대상자 인권 보호를 위해서, 이러한 동의획득의 원칙에 대한 예외로서 대리인으로부터의 동의획득뿐만 아니라 동의획득 면제나 동의 서면화 면제까지도 법적으로 인정해주어야 하는 경우가 존재하게 되었다. 이러한 예외 인정에 대한 내용은 이미 헬싱키선언과 같은 국제규범들에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예외 인정과 관련하여 비교적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해두고 있는 나라도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동의 획득의 원칙에 대한 준수 의무는 법에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는 반면, 그에 대한 예외의 인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근거가 될 수 있는 규정은 그렇다고 보기 어렵다. 이에 이 글에서는 「생명윤리법」에 포함되어 있는 인간대상연구를 위한 동의획득 관련 규정에 대해 동의획득의 원칙과 그에 대한 예외 인정을 중심으로 고찰해봄으로써 해당 규정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국제규범과 미국 연방규정 45CFR46 상의 내용을 참고하여 그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주제어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인간대상연구  ,동의  ,서면동의  ,생명윤리위원회  ,연구 심의  ,동의획득 면제  ,동의서면화 면제  ,Bioethics and Safety Act  ,human research  ,informed consent  ,documentation of obtaining informed consent  ,Institutional Review Board  ,research review  ,exemption of obtaining informed co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116 2 생명윤리 현행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내 생명윤리 관련 주제 분석과 고등학생들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 김현우 2001  1154
115 2 생명윤리 생명을 둘러싼 헌법적 문제 (상) / 김학성 2014  98
114 2 생명윤리 대학교육현장에서의 생명윤리교육 / 양재섭, 구미정 2009  100
113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관한 법규범력 확보와 그 한계 / 황만성 2011  49
112 2 생명윤리 간호대학 1학년 학생을 위한 생명의료윤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정계선 2016  229
111 2 생명윤리 생명윤리학의 탄생: 의학과 생명과학, 철학에 말을 걸다 / 김상득 2014  509
110 2 생명윤리 영미권의 생명의료윤리학, 어떻게 볼 것인가? : 응용윤리학적 접근법을 비판하며 / 정준영 2008  319
109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김진경 2004  304
108 2 생명윤리 샌델의 생명윤리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 박성민 2015  488
107 2 생명윤리 생명중심 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미선 2008  432
106 2 생명윤리 생명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연구 / 조윤미 2003  275
10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문화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5  378
» 2 생명윤리 의료법의 현대적 과제 : 인간대상연구에 있어 동의 관련 규범적 문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상의 동의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14  312
103 2 생명윤리 ';4원칙주의 생명의료 윤리'와 칸트 도덕철학=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and Kant`s Moral Philosophy / 김종국 2016  770
102 2 생명윤리 일 대학생의 성의식과 생명윤리의식이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권수빈 외 2016  249
101 2 생명윤리 기독교 생명윤리에 관한 윤리적 판단의 원리 / 권혁남 2016  651
100 2 생명윤리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혜림 외 2016  278
99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지각유형 / 조준아 외 2015  229
98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른 검체사용 연구에 대한 법적 윤리적 적용 / 장윤정 외 2015  114
97 2 생명윤리 생명의 윤리와 생명 공학 논쟁 / 김영건 2016  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