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탐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14328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 An Ontological Knowledge on Life and Life’s Politics of Aesthetics


   http://www.riss.kr/link?id=A100214328

       

  • 저자명

    김대식(Kim, Dei-Seek)                                                                                   

  • 학술지명

    철학탐구               

  • 권호사항

    Vol.36 No.- [2014]                                                       

  • 발행처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77-206(3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초록 (Abstract)

  • 지금 국가는 개별적인 인간의 생명을 돌보지 못하고, 자본은 그것을 수단화, 상품화하는 무사유(thoughlessness)에 대해 아랑곳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생명이 부유하고 있는 이 시대에 새로운 ...
  • 지금 국가는 개별적인 인간의 생명을 돌보지 못하고, 자본은 그것을 수단화, 상품화하는 무사유(thoughlessness)에 대해 아랑곳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생명이 부유하고 있는 이 시대에 새로운 생명 인식을 가능케 할 생명철학이 요청되고 있다. 자고로 생명은 모든 존재가 갖고 있는 그 고유성, 그것 자체가 되는 본래성이다. 이러한 생명이라는 텍스트는 콘텍스트 속에서 매순간 의미가 되고 가치를 획득할 수가 있다. 하지만 콘텍스트와의 관계에서 사건이 되는 생명의 텍스트가 자칫 패러디가 될 수 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생명의 자기자신성(Selbtheit/Selfness)이 왜곡된 도덕에 의해서 사멸성(mortality)으로 전락하는 일은 생명을 가변적인 콘텍스트와 일치시키고 유일회성을 패러디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는 생명을 보존하고 관리해야 하는 선의 명령을 부여받은 존재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생명의 본성을 반성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자기의 생명과 타자의 생명이 윤리적 숙고를 통해서 논해져야 하고, 나아가 심층적인 인문학적 사유를 통해서 생명을 깊이 있게 다루도록 해야 한다. 또한 그 무엇보다도 생명은 인간의 보편적 형식으로서 국가에 의해서도 유린될 수 없는 심미적(aesthetic) 경험 지평 속에 있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들어가는 말
  • 2. 생명의 본질과 생명철학의 요청
  • 3. 생명의 콘텍스트와 생명존재론
  • 4. 생명의 해석학적 이해와 생명인문학
  • 5. 생명미학적 정치의 가능성
  • 6. 나오는 말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 생명윤리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 김대식

발행년 2014 

  • 조회 수 106

2 생명윤리 태아의 권리능력 재논의 필요성에 대한 제언 / 유지흥

발행년 2014 

  • 조회 수 151

2 생명윤리 스포츠과학연구에 있어서 생명윤리의 쟁점과 과제 / 김동규, 김현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290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철학 :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 최경석

발행년 2013 

  • 조회 수 693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21

2 생명윤리 생명정치의 사회과학, 어떻게 할 것인가? /김환석

발행년 2013 

  • 조회 수 365

2 생명윤리 윤리 심포지엄_각종 의무기록 작성에 있어서 알아야 할 의료윤리 : 각종 증명서 발급의 윤리적 문제 / 권복규

발행년 2013 

  • 조회 수 232

2 생명윤리 의학교육에서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우리나라 의사들의 인식 / 허윤정, 권복규, 이옥진, 안덕선

발행년 2013 

  • 조회 수 306

2 생명윤리 <연가시>에 재현된 생명정치 : 초국적 자본 그리고 새로운 주권 / 김재철

발행년 2013 

  • 조회 수 372

2 생명윤리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인식 / 심형화

발행년 2013 

  • 조회 수 227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에서 결의론의 재조명 : 앨버트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을 중심으로 / 김시형

발행년 2013 

  • 조회 수 586

2 생명윤리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활과 윤리』를 중심으로 / 이필연

발행년 2013 

  • 조회 수 349

2 생명윤리 인격주의 생명윤리의 도덕적 단초 : 인간의 기본적 선, 인간 생명의 존엄성과 인격 / 김수정

발행년 2013 

  • 조회 수 234

2 생명윤리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부모교육 교재 분석 / 정명애

발행년 2013 

  • 조회 수 103

2 생명윤리 생식력자각이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숙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68

2 생명윤리 기획종설 : 전문직 윤리로서의 의료윤리-의사다움이란 / 권복규

발행년 2012 

  • 조회 수 320

2 생명윤리 공공 생명윤리와 전문성의 정치 : ‘생명윤리자문위원회’의 사례 / 김상현

발행년 2012 

  • 조회 수 396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발행년 2012 

  • 조회 수 4422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발행년 2012 

  • 조회 수 210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강미

발행년 2012 

  • 조회 수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