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1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26661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영적건강 및 장기기증 인식 간의 관련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 저자[authors] 최동원,임정혜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8No.5[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융합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65-27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간호학생, 죽음태도, 영적건강, 장기기증, 뇌사, Nursing students, Attitude to death, Spirituality, Organ donation, Brain death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영적건강 및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대상은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 214명이었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PAS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은 죽음 태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영적건강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장기기증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죽음태도(ß=-.159)와 영적건강(ß=.132), 뇌사자의 조직기증에 대한 생각(ß=.314), 전공만족도(ß=.134)로 나타났으며, 모형 설명력은 20.5%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 인식 함양을 통한 장기 이식률 향상을 위해 간호대학 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영적건강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간호사 대상의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convergence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 toward death(ATD), spiritual well-being(SW) and awareness about organ donation(AAOD). The survey was performed on 214 nursing students in one university. Data was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sed with PASW 20.0. Study findings revealed that AAOD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TD and SW. ATD(ß=-.159), SW(ß=.132), idea about brain death’s organ donation(ß=.314), and major satisfaction(ß=.134) about AAOD were most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20.5% of the variance in AAOD. The findings indicat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nursing students's ATD and SW for increasing positive AAOD and further rate of organ donation, and follow-up study.]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자료수집 절차 및 방법    2.3 자료수집 절차 및 방법    2.4 자료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특성    3.2 대상자의 죽음태도, 영적건강, 장기기증 인식 정도    3.3 대상자 특성에 따른 죽음태도, 영적건강, 장기기증 인식    3.4 죽음태도, 영적건강, 장기기증 인식 간의상관관계    3.5 장기기증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 보건의료 철학 한국에서의 의사 자율규제 현황과 발전방안 / 김휘원, 김정아

발행년 2016 

  • 조회 수 17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사윤리강령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 정계선

발행년 2017 

  • 조회 수 16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영적건강 및 장기기증 인식 간의 관련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 최동원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6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 영향요인 / 전윤화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59

4 보건의료 철학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에서 발생한 찔림사고 현황, 교수의 스트레스 및 사전동의서의 필요성 / 정승교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57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와의 관계 / 정지현

발행년 2019 

  • 조회 수 153

4 보건의료 철학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생명윤리 교육이 간호신입생의 좋은 죽음인식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 조옥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8

4 보건의료 철학 The Ethics of For-profit Healthcare and Medical Tourism in South Korea/John Michael Mcquire

발행년 2016 

  • 조회 수 145

4 보건의료 철학 Enhancement and Obsolescence: Avoiding an ``Enhanced Rat Race''

발행년 2015 

  • 조회 수 143

4 보건의료 철학 비판적 의료인문학과 거꾸로 의학교육 / 강신익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1

4 보건의료 철학 한국 의사들의 의학 전문직업성과 소명에 관한 평생교육에 관한 연구 / 최숙희

발행년 2012 

  • 조회 수 140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정당한 사유에 의한 의료계약 해지권 검토 : 환자의 진료협력의무 위반을 중점으로/ 민국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35

4 보건의료 철학 공공보건의료기관 간호사의 교육환경 및 간호실무교육 요구도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선정 / 양인숙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33

4 보건의료 철학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및 죽음불안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 박은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32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의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연숙

발행년 2000 

  • 조회 수 130

4 보건의료 철학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대응 양상 : Q 방법론 적용 / 최진규

발행년 2019 

  • 조회 수 128

4 보건의료 철학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문화역량 영향요인 / 안정원 외

발행년 2019 

  • 조회 수 126

4 보건의료 철학 의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의료행위의 법적 문제 / 배현아

발행년 2017 

  • 조회 수 120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 장난순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8

4 보건의료 철학 국립정신의료기관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 및 지각된 윤리풍토의 관계 / 조혜경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