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1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법의 신동향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966962 


의료인의 지시에 의한 비의료인 또는 의료인의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문제점에 관한 소고

- 우리나라 판례의 태도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Criminal Legal Problems of Unlicensed Medical Practices by Non-Medical Personnel or Medical Personnel Direction of Medical Person


  • 저자[authors] 장연화,백경희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형사법의 신동향

  • 권호사항[Volume/Issue] Vol.0No.61[2018]

  • 발행처[publisher] 대검찰청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28-25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국문 초록[abstracts]

최근 부산의 한 정형외과 의원에서 의사가 의료기기 영업사원에게 대리수술을 시키고 환자가 뇌사상태에 빠지는 사건이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충격을 주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대리수술’은 국립중앙의료원이나 군병원에서도 발생하였음이 밝혀졌다. 이로 인해 국민들의 불안감은 증폭되고 의료인과 의료기관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의료인인 의사가 의료기기 영업사원과 같이 의료인의 면허 자체가 없는 비(非)의료인에게, 혹은 의료인의 면허를 지니고 있으나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과 같이 단독으로 의료행위를 수행할 수 없는 자에게 무면허의료행위를 지시하거나 무면허의료행위를 하기로 공모한 경우 이들의 관계를 어떻게 파악하여야 하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의료법 제27조 제1항의 무면허의료행위의 의의가 무엇인지 및 무면허의료행위의 태양이 어떠한지를 살펴본 후, 의료인의 지시에 의한 비의료인의 무면허의료행위와, 의료인의 지시에 의한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의료인의 무면허의료행위로 유형을 나누어 우리나라의 형사판례의 태도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두 유형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와 어떻게 형법적 해석을 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In a recent incident in Busan, an orthopedic surgeon had ordered a medical device salesperson to perform a surrogate surgery on a patient and the surgery resulted a cerebral death for the patient. Similar surrogate surgeries have been found to occur in the National Medical Center or military hospitals. These fact findings cause anxiety on the public and distrust of medical personnel and medical institutions. Therefore, in case of medical doctors who order unlicensed non-medical personnel, such as a medical device sales person, or medical personnel, such as a nurse, or a nursing assistant, who cannot perform medical treatment independently, to perform or collude to perform unlicensed medical practice,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types of the unlicensed medical treatments in Article 27 (1) of the Medical Law. Then we categorize unlicensed medical treatment by unlicensed non-medical personnel and unlicensed medical treatment by medical personnel such as a nurse or a nursing assistant and examine the attitudes of criminal cases by the Korean courts. We will als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and how it is appropriate to make criminal legal interpreta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 보건의료 철학 덕 윤리와 의학전문직업성의 관련성 / 김수정

발행년 2011 

  • 조회 수 29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안전사고 경험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정도 / 문미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285

4 보건의료 철학 임상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 측정도구 개발 / 정민영

발행년 2017 

  • 조회 수 284

4 보건의료 철학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과 도덕적 고뇌 / 전유정 외

발행년 2019 

  • 조회 수 266

4 보건의료 철학 20세기 초 미국 의사들의 열대질병 연구와 상업적 후원 / 정세권

발행년 2015 

  • 조회 수 252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자긍심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미정

발행년 2013 

  • 조회 수 24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영향요인 : 윤리적 가치관과 간호조직문화를 중심으로 / 엄인향

발행년 2014 

  • 조회 수 240

4 보건의료 철학 인권개념에 기초한 간호연구윤리 교과과정/윤희상, 김경희

발행년 2015 

  • 조회 수 228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생명의료분야에서 개인정보 관련 법률 간의 대립과 모순/정창록

발행년 2015 

  • 조회 수 228

4 보건의료 철학 중소병원에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감성지능,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강윤지

발행년 2019 

  • 조회 수 212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형사범죄에 따른 면허취소처분의 쟁점과 고려사항 / 김성은

발행년 2018 

  • 조회 수 211

4 보건의료 철학 국내 문헌을 통한 의료기관 중심 가정간호서비스의 환자 성과 / 유진순

발행년 2018 

  • 조회 수 209

4 보건의료 철학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 김동진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99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과 윤리교육 요구 / 신자현

발행년 2013 

  • 조회 수 199

4 보건의료 철학 융합 시대의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영향요인 확인 / 조영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9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가 인식하는 완화의료도우미의 업무중요도 및 수행도 / 정미란

발행년 2018 

  • 조회 수 190

4 보건의료 철학 공공부문 유연근무제 활성화요인 연구 / 김민주

발행년 2017 

  • 조회 수 188

4 보건의료 철학 응급구조학 전공 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 최길순

발행년 2017 

  • 조회 수 176

4 보건의료 철학 의대생의 미흡한 의사소통역량에 피드백을 적용한 재교육 /이태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73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영성, 존엄사에 대한 태도와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의 관계 / 박미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