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복음과 선교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182597 

유전자 선별 시대에 분배정의의 실현을 위한 선교적 과제 - 기독교평등공동체 구현을 위한 선교를 중심으로


= The Missionary Task for Realization of Distributive Justice in the Age of Gene Selection : Focusing on the Missionary Task for the Implementation of Christian Equality Community


  • 저자[authors] 김광연 ( Kim Gwang Yeo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복음과 선교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9No.-[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1-8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수저계급론, 생명정치, 유전자 선별, 보편구원, 분배정의, Spoon-class, Bio-politic, Gene selection, Universal salvation, Distributive Justice


초록[abstracts]

[플라톤(Platon)의 《국가론》에는 인간의 타고난 본성과 신분에 따른 역할 분담을 통해 이상 국가 실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가 생각한 타고난 본성에 따른 계급 사회는 신분 상승뿐만 아니라 교육의 기회까지 박탈하고 있어서 철저한 계급 사회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플라톤의 《국가론》에서 보듯, 그 시대 사람들은 자신의 신분이 미리 정해진 삶과 마주쳐야 했고, 당시 이러한 계급사회는 한국 사회에서도 그대로 재현되고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 등장한 수저계급론에서 보았듯이, 이 사회는 소득 격차에 따른 신분 제도와 교육 및 사회적 지위의 차별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 신분 사회는 생명공학 시대의 유전자 선별 기술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윤리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우성 유전자 선별 기술은 새로운 계급 사회 곧 유전자계급 사회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 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수저계급론과 신분사회 그리고 유전자 조작의 혜택 여부에 따른 신분 사회의 윤리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국가론》에 나타난 계급사회를 시작으로 한국 사회의 수저계급론과 소득의 불평등 그리고 생명공학 기술과의 연결 가능성 살피고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 공정한 분배와 신분계급 사회에서 예수의 보편적 구원과 사랑에 관한 선교적 과제를 제시할 것이다.

A greek philosopher Plato, in his book 「The Republic」 came up with a possibility of a ideal nation state by implementing the inherent humanity and social status of human being. In his understanding, however, social classes classified by the inherent humanity is depriving of moving up chance in social ladder and even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seen in his work 「The Republic」, the contemporary of the age had to face a predetermined life. Such a phenomena is no exception in Korean society as well.  Like a spoon-class, which means born with a silver spoon from birth, a status determined by natural birth is another dimension of class conflict throughout the Western society. It came alive in Korea as well, by means of revenue, social status, and educational discrimination. Such a feudal society is coming up as an emerging hot issue in that it has a close relation with PGS (Pre-implantation Genetic Screening) manipulation. As a result, dominant DNA screened by PGS test, has more chances to climb up a new feudal society comparing to inferior DNA.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some ethical issues of feudal society in modern age comparing to Platos perspective on social classes described in his masterpiece 「The Republic」, from which will suggest a possibility of bio-political ethics to connect it with bio-technology, spoon-class-theory, income inequality, and a alternative for fair allocation in job opportunity and its revenue accordingly. Finally, I will suggest a missionary task concerning Jesus Universal Salvation of Jesus in the Social Clas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29 5 과학 기술 사회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 손경한, 박진아 2007  6801
428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의료영역에서 여성인권존중의 필요성 / 신옥주 2017  4975
427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 형법(Strafrecht fur Roboter)? / 김영환 2016  3631
426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로봇에 대한 사법적 규율 ― 유럽연합의 입법 권고를 계기로 하여 ― / 김진우 2017  2946
425 5 과학 기술 사회 왓슨과 인간 돌봄이론 / 남미순 2015  2472
424 5 과학 기술 사회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 김진형 2016  2040
423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 안상희 2016  1877
422 5 과학 기술 사회 AI(인공지능)과 IOT(사물인터넷)을 통한 Smart health Care Service 산업 활성화 방안 / 설민신 2016  1857
421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의 조건이란? -사이언스 픽션 영화에 재현된 복제인간의 정체성 문제 / 천현순 2018  1688
420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생명공학에 대한 윤리적 고찰 / 박은진 2007  1532
419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로봇의 범죄주체성과 형사책임 / 류화진 2016  1492
418 5 과학 기술 사회 윤리적 인공지능은 가능한가? - 인공지능의 도덕적, 법적 책임 문제 / 이상형 2016  1466
41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관한 법적 규율방안 / 임경숙 2019  1385
416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기본 원칙: 로봇 존재론으로부터 / 고인석 2014  1362
41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적 연구 : 저작물과 개인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양관석 2019  1223
414 5 과학 기술 사회 AI시대의 정신과학적 통합심신치유/ 조효남 2019  1181
413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의 권리 / 이창민 2016  1087
412 5 과학 기술 사회 특허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기술분야의 연구동향 / 노승민 2017  1063
411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로봇 소통의 인식론적 기초와 윤리 / 조광제 2011  980
410 5 과학 기술 사회 후쿠시마원전사고와 전문가 윤리- 공학윤리적 관점에서/이재숭 2014  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