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국가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81768 


한국사회의 4차 산업혁명 수용과정과 대응전략의 시사점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South Korea: Discours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Response Strategies


  • 저자[authors] 윤정현 ( Junghyun Yoo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국가정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2No.1[2018]

  • 발행처[publisher]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1-5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4차산업혁명, 지능정보사회, 4차산업혁명위원회,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presidential committee on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초록[abstracts] 

[그 동안 한국정부는 고착화된 저성장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실천 수단으로서 4차 산업혁명 담론을 수용하고 주도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범정부 차원의 시도가 얼마나 효과적일지에 대해서는 많은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필자는 그 이유로 4차 산업혁명의 한국적 수용과정에 나타난 협소한 담론 환경과 기술 우선주의의 한계점에 대해 지적한다. 특히, 한국정부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전략에는 암묵적으로 산업진흥, 기술개발 중심적 담론이 자리하고 있었으며 급속한 변화의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한 윤리적·사회적 논의는 상대적으로 지체되어 있었다. 이는 결국 사회전반의 수용성 제고와 적극적인 대응에 커다란 난제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사회의 제한된 4차 산업혁명 담론과 전략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국적 현실을 고려한 구성원들의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고, 전통산업과의 균형발전 및 사회적 공진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accepted and l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scourse as a way to overcome as a way to overcome low growth. However, there are a lot of suspicions about how effective this government-wide attempt will be. I point out some limitations following of the narrow environment of discourse lacking various participation of members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Korea, and approach placing a high priority on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n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Korea, the government established strategies stressing on industrial improvement and technology development tacitly. Meanwhile, ethical and social discussions to mitigate the adverse effects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were relatively delayed. In particular, the environment lacking the various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members in the policy-making can lead to a social aversion against the rapid chan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sequently, it is more likely to have a great difficulty in encouraging people to accept social changes on the whole and actively responding to those chang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9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사회에서의 기본권 보호문제 / 성정엽 2006  121
148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빅데이터 분석, 의료 빅데이터 표준화, 의료 온톨로지, 의료 보안, 상호호완성, CDSS, 정밀의료, 지능형 의료 플랫폼 / 이승룡 외 2018  121
147 5 과학 기술 사회 여성스포츠선수의 인권보호에 대한 국제적 기준과 국내 이행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성폭력과 관련하여 / 권형둔 2017  121
»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사회의 4차 산업혁명 수용과정과 대응전략의 시사점 / 윤정현 2018  121
145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의 경제적 가치분석 : 이차전지 산업을 중심으로 / 배성훈 2015  120
144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이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 및 활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이연승 2014  120
14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 주강진 외 2017  120
14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을 통한 비본질주의적 사유에 대한 의철학적 전망 / 김준혁 2016  118
14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로봇 미래방향과 4차산업혁명에 따른 신사업 / 손진호 2016  118
140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에서의 본인확인수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신영진 2015  117
139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이미지 데이터의 비식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16  117
13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산업활성화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언 / 이종용, 조병선 2016  116
13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핵심, 산업인터넷 / 김병운 2016  116
136 5 과학 기술 사회 만성질환자 자가관리를 위한 국제표준 프로토콜 기반 다중 에이전트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2016  116
135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정보 활용 서비스 현황 및 GDPR 사례를 통한 바이오정보보호 법제 개선방안 / 정부금 외 2018  116
134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정책, 한국의 미래가 달렸다/박영준 2016  115
133 5 과학 기술 사회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민사상 구제방법에 관한 소고 / 계승균 2017  115
132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소통과 정부신뢰 빅데이터 감정분석을 통한 메르스 사례 분석 / 최미정 외 2017  114
131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 국가의 성패, 새로운 과학기술 정책에 달렸다/이명현 외 2016  113
130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사이버 포렌식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중심으로 / 박기배 2015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