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논집 Vol.24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48931 

인간-로봇 소통의 인식론적 기초와 윤리 = Epistemological Basis and Ethics of Human-Robot Communication



초록 ( Abstract )

  • 우리는 타인의 현존이 필연적임을 밝혀내기 위해 ‘소통적 영역으로의 환 원’(Reduktion zur kommunikative Sphäre)을 수행함으로써 우리 삶의 실천적인 진 실을 구해내야 한다. 소통 영역으로의 환...
  • 우리는 타인의 현존이 필연적임을 밝혀내기 위해 ‘소통적 영역으로의 환 원’(Reduktion zur kommunikative Sphäre)을 수행함으로써 우리 삶의 실천적인 진 실을 구해내야 한다. 소통 영역으로의 환원을 위한 네 단계의 과정을 찾을 수 있 다. 첫째로, 내가 하나의 사물임을 정확하게 인정해서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둘째로, 나를 그러한 사물로 구축해 내는 이른바 타인의 시선을 나의 존재 조건으로 정확 하게 인정해서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셋째로, 타인의 시선이 발휘되는 곳이 사물로 주어진다는 바로 그 사태를 바탕으로 해서 이윽고 나의 시선이 성립한다는 것을 정확하게 인정해서 받아들이는 것이다. 마지막 넷째로, 나와 타인 간에 시선 교환 이 이루어지면서 서로에게서 사물성을 발견하는 바 사물성의 교환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정확하게 인정해서 받아들이는 것이다. 소통은 결국 행동을 주고받는 것, 즉 행동의 교환이다. 행동은 항상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며 그 바탕은 몸 전반의 감각 과 운동이다. 그래서 행동의 교환은 곧 감각의 교환이자 운동의 교환이다. 거기에 시선의 교환과 더불어 몸들 간의 사물성의 교환이 매설되어 있음은 말할 것도 없 다. 여기에서 우리는 소통 자체가 또 하나의 행동임을 염두에 두고 있다. 행동을 통한 행동의 교환이 곧 소통인 것이다. 인간과 로봇 사이에 소통이 가능한가 하는 문제는 인간과 로봇의 관계가 소통 상황에 의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가, 말하자 면 인간과 로봇 사이에 행동의 교환이 성립하는가, 즉 인간과 로봇 사이에 시선과 사물성의 동시적인 교환이 성립하는가 하는 문제로 연결된다. 또 이는 로봇의 동작 에서 상황인 행동이 발휘되는가 하는 문제로 압축된다. 로봇에게 나를 바라보면서 나를 사물로서 느낄 수 있는 시선의 힘을 최대한 강화하고 보장해 줄 때, 나는 로 봇과의 소통을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나를 사물로 느낄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새로운 방식으로 뭇 사물들과 공명할 수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서로 간에 행동 을 통해 시선과 사물을 상호 동시적이고 등가적으로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는 점이다. 그럴 때 소통의 윤리적인 가치가 제대로 발생하고 작동할 것이기 때 문이다.



    목차 ( Index )

    1. 들어가는 말

    2. 타인·소통·행동·상황

    3. 타인으로서의 로봇

    4. 인간-로봇 간의 윤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9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활용에 있어 개인정보보호가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홍대의 2011  64
    2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스마트기술과 표준화 전략 / 이상동 2016  63
    2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남현 2017  58
    26 5 과학 기술 사회 특집마당 : 3D 프린팅 기술의 바이오메디컬 응용 / 김완두 외 2014  58
    25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권헌영, 윤상필, 전승재 2017  57
    24 5 과학 기술 사회 국가 차원의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개인정보 관련 정책의 개선안 고찰 / 신지윤 외 2018  57
    23 5 과학 기술 사회 정맥을 이용한 생체인증 방식의 동향 / 유동현 2015  55
    22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화가 실증적 연구결과에 미치는 영향 / 박해지 2017  55
    2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와 신공공성 / 최상옥 2018  55
    20 5 과학 기술 사회 창조경제의 신산업 발전전략 모색을 통한 3D 프린팅 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박현욱 2016  54
    19 5 과학 기술 사회 중국 인공지능 시장 진출 전략 연구 / 박성철 2018  54
    18 5 과학 기술 사회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엽 2016  53
    17 5 과학 기술 사회 ’17년 산업부 로봇 R&D 정책 방향 / 김경훈 2017  53
    16 5 과학 기술 사회 『뉴로맨서』에 나타난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대한 연구 / 추재욱 2018  53
    15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 제공 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윤승욱 2018  53
    14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의 연구자 인식조사 / 김태연 2016  50
    13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개선 방안 / 김세민 2017  49
    12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사용 의도 분석 / 김택영 외 2018  49
    11 5 과학 기술 사회 유전자 선별 시대에 분배정의의 실현을 위한 선교적 과제 - 기독교평등공동체 구현을 위한 선교를 중심으로 / 김광연 2017  47
    10 5 과학 기술 사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드러난 줄기세포 문제, 그 뿌리를 찾아서 / 최규진 2017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