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648028 

나노메디신이 초래한 질병관의 변화와 생명윤리 쟁점에 대한 고찰


  • 저자 : 최슬비
  • 형태사항 : ix, 99 p. : 삽화.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권복규
    참고문헌: p. 92-97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2012. 2. 졸업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2




초록 ( Abstract )

  • 나노메디신은 질병의 치료, 진단 및 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분자수준에서 설계 및 제조된 제제, 디바이스 등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나노메디신은 진단용과 치료용으로 ...
  • 나노메디신은 질병의 치료, 진단 및 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분자수준에서 설계 및 제조된 제제, 디바이스 등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나노메디신은 진단용과 치료용으로 구분된다. 나노메디신은 질병의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현실화 시키고, 질병의 치료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나노메디신이 가져다 줄 사회적, 경제적 이익은 매우 크다. 그러나 나노메디신에 대한 적절한 영향 평가가 이루어 지지 않은 채 성급한 임상적용은 인간을 위험에 노출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나노메디신은 질병의 개념을 변화시킬 것이다. 나노메디신은 1개의 암세포만 발견되어도 이를 감지하고 우리에게 알려줄 것이다. 분자수준에서 질병을 진단한다는 것은 증상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어도 질병에 걸린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병에 걸린 사람과 건강한 사람의 경계가 불분명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노메디신은 의사와 환자관계에도 영향을 줄 것이다. 나노메디신 시대에는 나노바이오센서나 나노로봇을 이용하여 환자 스스로의 진단과 치료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의사는 직접 시술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나노메디신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고 처방을 하는 상담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나노메디신에서 끊임없이 논쟁이 되는 것은 바로 안전성이다. 나노입자는 동일한 화학조성을 가진 큰 크기의 입자에 비하여 더 강한 독성을 가졌으나 기존의 독성평가 방법으로는 나노입자의 독성을 정확히 평가할 수 없다. 나노메디신의 임상시험은 나노메디신이 의약품과 의료기기의 성격을 모두 지닌 경우가 있기 때문에 현행 규정으로는 임상시험을 적절히 규제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기기의 소형화와 대량 정보의 획득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개인정보 침해의 가능성도 커진다. 인간능력증진도 나노메디신이 야기하는 문제 중 하나이다. 나노메디신 기술의 발달은 치료와 인간능력증진의 경계를 더욱 불분명하게 만들 것이다.
    따라서 나노메디신을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 우선 나노메디신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임상시험을 실시할 때 나노메디신을 적절하게 분류할 수 있는 새로운 제도나 기존의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 피험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인간능력증진이나 사회정의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합의가 이루어져야 하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존의 규제들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 과학 기술 사회 가습기 살균제 연구의 교훈과 의생명과학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 /김승훈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 박상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인문예술교육 - 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 / 김승현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31

    5 과학 기술 사회 현장을 외면해버린 짝퉁 과학기술 정책/이덕환

    발행년 2016 

    • 조회 수 132

    5 과학 기술 사회 온라인분쟁해결절차상 인공지능의 활용에 관한 연구 / 김도훈

    발행년 2016 

    • 조회 수 132

    5 과학 기술 사회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 개발/박주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32

    5 과학 기술 사회 디엔에이(DNA)신원확인정보의 수집 및 관리에 관한 제문제 / 서주연

    발행년 2015 

    • 조회 수 134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 시대의 시민윤리와 도덕교육적 함의 -인공지능형 로봇의 활용을 중심으로- / 송선영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결과물과 저작권 / 신창환

    발행년 2016 

    • 조회 수 135

    5 과학 기술 사회 탄소나노소재기술 연구동향에 대한 사회연결망 분석 / 배성훈

    발행년 2016 

    • 조회 수 136

    5 과학 기술 사회 보건의료산업 리베이트관행의 경쟁법적 쟁점과 과제 / 이봉의

    발행년 2009 

    • 조회 수 13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형 로봇시스템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 강문혜, 송선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137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 생명공학 정책의제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 김훈기

    발행년 2002 

    • 조회 수 139

    5 과학 기술 사회 세상속으로: 해외동향 : 미국: IBM 왓슨(Watson)을 통해 살펴본 인공 지능 기술과 빅 데이터의 접목과 활용 가능성 / 윤창근

    발행년 2012 

    • 조회 수 139

    5 과학 기술 사회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 정책 동향 및 시사점 / 최해옥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9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활성화 전략 연구(산업/기술/시장 분석을 기반으로)/김규영

    발행년 2017 

    • 조회 수 141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메트릭 데이터 활용 서비스에서 바이오정보 보호에 관한 연구 / 정부금

    발행년 2019 

    • 조회 수 14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상용화에 따른 성경적 관점의 윤리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이완형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2

    5 과학 기술 사회 온라인분쟁해결절차에서의 인공지능의 활용과 법적 함의 / 주강원

    발행년 2016 

    • 조회 수 14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의 형사책임 ―논의방향의 설정에 관한 몇 가지 발전적 제언 / 안성조

    발행년 2017 

    • 조회 수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