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0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185718 
한국 생명공학 정책의제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 생명윤리 입법화 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licy agenda setting of bioethics in Korea

                    

   http://www.riss.kr/link?id=T8185718         

  • 저자

    김훈기                                       

  • 형태사항

    v, 147p. : 삽도 ; 26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p. 139-14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과학학협동과정 2002.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1


초록 (Abstract)

  • The policy agenda setting of bioethics in Korea started with the birth of cloned animal Dolly. The public agenda for opposition to human-cloning was shaped under the movement of NGOs. But the formulation of policy agenda began with the governmental pa...
  • The policy agenda setting of bioethics in Korea started with the birth of cloned animal Dolly. The public agenda for opposition to human-cloning was shaped under the movement of NGOs. But the formulation of policy agenda began with the governmental part.
    There were five attempts to legislate for bioethics from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Executive Branch from 1977 to 2001. Thre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during three year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OHW)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MOST) during two years were the major actors for the agenda setting. However, all of the attempts failed in legisl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questions: what were the main factors leading the actors to legislation for bioethics in Korea?; why were the trials failed during five years?
    To answer these questions systemically, this paper draws on the concept of policy networks developed by Rhodes & Marsh. According to the model of Rhodes & Marsh, there are four dimensions(membership, intergration, resources, power) distinguishing the two types of policy networks: policy community and issue network.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
  • 제1장 서론 = 1
  • 제1절 문제제기 = 1
  • 제2절 연구대상과 범위 = 3
  • 제3절 연구방법 = 3
  • 제4절 논문의 구성 = 4
  • 제2장 이론적 배경과 분석의 틀 = 6
  • 제1절 정책의제형성과정에 대한 이론적 검토 = 6
  • 1. 정책의제형성의 정의와 연구 의의 = 6
  • 2. 정책의제형성과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 = 8
  • 제2절 정책의제형성과정에 대한 정책네트워크 접근 = 12
  • 1. 정책네트워크의 개념 = 12
  • 2. 정책네트워크 이론의 종류 = 15
  • (1) 하위정부 모형 = 15
  • (2) 정책공동체 모형 = 16
  • (3) 이슈네트워크 모형 = 17
  • (4) Rhodes & Marsh 모형 = 18
  • 제3절 한국 정부의 정책의제형성 절차 = 23
  • 제4절 분석의 틀 = 25
  • 제3장 입법부 주도기: 이슈 조성기 = 28
  • 제1절 한국 생명윤리 정책의제형성의 태동 = 28
  • 1. 생명공학의 개념 = 28
  • 2. 유전자재조합실험지침의 등장 = 30
  • 제2절 장영달 의원 발의 생명공학육성법 개정안 = 34
  • 1. 정책 등장 배경 = 34
  • 2. 정책 내용 = 36
  • 3. 개정안 항목의 성격 = 37
  • 4. 정부의제 채택 과정 = 38
  • (1) 전문위원회의 검토 활동 = 38
  • (2) 소위원회의 계류 결정 = 45
  • 5. 소결 = 48
  • 제3절 이상희 의원 발의 생명공학육성법 개정안 = 51
  • 1. 정책 등장 배경 = 51
  • 2. 정책 내용 = 55
  • 3. 개정안 항목의 성격 = 60
  • 4. 정부의제 채택 과정 = 63
  • (1) 전문위원회의 검토 활동 = 63
  • (2) 소위원회의 계류 결정 = 65
  • (3)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의 전자공청회 실시 = 68
  • 5. 소결 = 70
  • 제4절 이성재 의원 발의 인간복제금지법안 = 73
  • 1. 정책 등장 배경 = 73
  • 2. 정책 내용 = 74
  • 3. 개정안 항목의 성격 = 76
  • 4. 정부의제 채택 과정 = 77
  • (1) 전문위원회의 검토 활동 = 77
  • (2) 소위원회의 계류 결정과 공청회 개최 = 78
  • 5. 소결 = 79
  • 제4장 행정부 주도기: 이슈 확립기 = 81
  • 제1절 보건복지부 주도 생명과학보건안전윤리기본법안 제정 추진 = 81
  • 1. 정책 등장 배경 = 81
  • (1) 윤리 이슈의 확대: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완성 임박 = 81
  • (2) 산업자원부의 생명공학 안전문제 법제화 추진 = 84
  • (3) 시민단체의 의견 수렴 = 86
  • 2. 정책 내용 = 87
  • 3. 생명과학보건안전윤리기본법안 항목의 성격 = 92
  • 4. 정부의제 채택 과정 = 94
  • (1) 과학계와 언론의 반응 = 94
  • (2) 과학기술부의 반발과 보건복지부의 보류 결정 = 96
  • 5. 소결 = 97
  • 제2절 과학기술부 주도 생명윤리기본법안 제정 추진 = 100
  • 1. 정책 등장 배경 = 100
  • (1) 윤리문제로의 의제 축소 = 100
  • (2) 생명윤리자문위원회의 활동 = 101
  • 2. 정책 내용 = 102
  • 3. 정부의제 채택 과정 = 105
  • (1) 과학계 및 산업계의 조직적 반발 = 105
  • (2) 의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의 적극적 반응 = 107
  • (3) 과학기술부의 유보적 입장 = 110
  • (4) 보건복지부의 반발 = 113
  • (5) 언론의 왜곡 보도 = 114
  • (6) 시민단체의 문제제기 = 116
  • 4. 소결 = 117
  • 제5장 종합 논의 = 120
  • 제1절 한국 생명윤리 정책네트워크의 유형 파악 = 120
  • 1. 정책공동체와 이슈네트워크의 특성 = 120
  • 2. 네트워크 유형의 변동 원인 = 123
  • 제2절 한국 생명윤리 입법화의 요소 = 126
  • 제3절 생명윤리 의제에 대한 한국 국회의원과 행정부의 태도 = 130
  • 제6장 결론 = 132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 132
  • 제2절 연구결과의 함의 = 134
  • 1. 이론적 함의 = 134
  • 2. 정책적 함의 = 136
  • 제3절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 = 138
  • 참고문헌 = 139
  • Abstract = 14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69 5 과학 기술 사회 가습기 살균제 연구의 교훈과 의생명과학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 /김승훈 2018  128
26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 박상철 2018  129
26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인문예술교육 - 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 / 김승현 외 2018  131
266 5 과학 기술 사회 현장을 외면해버린 짝퉁 과학기술 정책/이덕환 2016  132
265 5 과학 기술 사회 온라인분쟁해결절차상 인공지능의 활용에 관한 연구 / 김도훈 2016  132
264 5 과학 기술 사회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 개발/박주현 2018  132
263 5 과학 기술 사회 디엔에이(DNA)신원확인정보의 수집 및 관리에 관한 제문제 / 서주연 2015  134
262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 시대의 시민윤리와 도덕교육적 함의 -인공지능형 로봇의 활용을 중심으로- / 송선영 2017  134
26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결과물과 저작권 / 신창환 2016  135
260 5 과학 기술 사회 탄소나노소재기술 연구동향에 대한 사회연결망 분석 / 배성훈 2016  136
259 5 과학 기술 사회 보건의료산업 리베이트관행의 경쟁법적 쟁점과 과제 / 이봉의 2009  136
25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형 로봇시스템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 강문혜, 송선영 2019  137
»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 생명공학 정책의제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 김훈기 2002  139
256 5 과학 기술 사회 세상속으로: 해외동향 : 미국: IBM 왓슨(Watson)을 통해 살펴본 인공 지능 기술과 빅 데이터의 접목과 활용 가능성 / 윤창근 2012  139
255 5 과학 기술 사회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 정책 동향 및 시사점 / 최해옥 2017  139
254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활성화 전략 연구(산업/기술/시장 분석을 기반으로)/김규영 2017  141
253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메트릭 데이터 활용 서비스에서 바이오정보 보호에 관한 연구 / 정부금 2019  142
25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상용화에 따른 성경적 관점의 윤리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이완형 2018  142
251 5 과학 기술 사회 온라인분쟁해결절차에서의 인공지능의 활용과 법적 함의 / 주강원 2016  143
25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의 형사책임 ―논의방향의 설정에 관한 몇 가지 발전적 제언 / 안성조 2017  143